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고체상 이온선택성 막전극의 제조용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이온센서

  • 기술번호 : KST2015201094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고분자 매트릭스, 전도성 고분자, 이온 운반체를 포함하는 고체상 이온선택성 막전극의 제조에 사용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기판 등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고 막 저항성이 감소된 이온선택성 막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 등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한 조성물에 의해 단일상의 고체상 이온선택성 막전극 또는 이온센서의 제작에 유리하고 또한 제작된 이온센서의 경우 안정적인 신호, 빠른 감응 시간 및 수명특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실리콘 러버와 같은 저항성이 높은 고분자 매트릭스를 사용하고자 할 때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Int. CL H01B 1/12 (2006.01) C07D 417/10 (2006.01) G01N 27/333 (2006.01)
CPC H01B 1/12(2013.01) H01B 1/12(2013.01) H01B 1/1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30004966 (2013.01.16)
출원인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392666-0000 (2014.04.29)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20140514)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3.01.16)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노원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신재호 대한민국 서울 도봉구
2 허민 대한민국 서울 노원구
3 사비 아바스 자디 인도 서울특별시 노원구
4 김인태 대한민국 서울 노원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태훈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 A동 ****호(문정동, 엠스테이트)(특허법인 티앤아이)
2 오용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 A동 ****호(문정동, 엠스테이트)(특허법인 티앤아이)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 노원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3.01.16 수리 (Accepted) 1-1-2013-0044800-71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3.10.1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3.12.19 수리 (Accepted) 9-1-2013-0107439-55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3.12.2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889784-15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4.02.24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4-0179931-10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4.02.24 수리 (Accepted) 1-1-2014-0179929-17
7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4.04.2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4-0282638-77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6.03 수리 (Accepted) 4-1-2014-5067673-62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6.05 수리 (Accepted) 4-1-2015-5074994-12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6.05.09 수리 (Accepted) 4-1-2016-5056854-41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3.27 수리 (Accepted) 4-1-2017-5046666-1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고분자 매트릭스, 이온운반체 (ionophore) 및 하기 식 1 또는 2로 표현되는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 이온선택성 막전극 제조용 조성물:[식 1][식 2]
2 2
제 1항에서,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 (poly(vinyl chloride), 실리콘 러버 (silicone rubber), 폴리우레탄 (polyuretha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카복실레이트 (poly(vinyl chloride) carboxylate),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아미네이트 (poly(vinyl chloride) aminate),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poly(methylacrylate),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oly(ethylene oxide)), 크세로겔 (xerogel) 및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 이온선택성 막전극 제조용 조성물
3 3
제1항에서, 상기 이온 운반체는 포타슘 이온 (K+), 소듐 이온 (Na+), 수소 이온 (H+), 리튬 이온 (Li+), 루비듐 이온 (Rb+), 세슘 이온 (Cs+), 마그네슘 이온 (Mg2+), 칼슘 이온 (Ca2+), 스트론튬 이온 (Sr2+), 바륨 이온 (Ba2+), 구리 이온 (Cu2+), 은 이온 (Ag+), 아연 이온 (Zn2+), 카드뮴 이온 (Cd2+), 수은 이온 (Hg2+), 탈륨 이온 (Tl+), 납 이온 (Pb2+), 산화우라늄 이온 (UO22+), 사마륨 이온 (Sm3+), 암모늄 이온 (NH4+), 탄산 이온 (CO32-), 티오시안산 이온 (SCN-), 아질산 이온(NO2-), 수산화 이온(OH-), 인화수소 이온 (HPO42-), 아황화수소 이온 (HSO3-), 황산 이온 (SO42-), 염화 이온 (Cl-), 과염소산 이온 (ClO4-), 아이오딘화 이온 (I-), 삼요오드화 이온 (I3-) 및 불소 이온 (F-)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이온의 운반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 이온선택성 막전극 제조용 조성물
4 4
제1항에서, 상기 전도성 고분자는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
5 5
제1항에서, 상기 조성물은 CHCl3, CH2Cl2,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etrahydrofuran, THF)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포함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 이온선택성 막전극 제조용 조성물
6 6
제1항에서, 상기 조성물 중 고체 성분의 양은 10 ~ 40 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 이온선택성 막전극 제조용 조성물
7 7
제1항에서, 상기 조성물에는 포타슘 테트라키스(4-클로로페닐)보레이트(potassium tetrakis(4-chlorophenyl)borate (KTpClPB)), 포타슘 테트라키스[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potassium tetrakis[3,5-bis(trifluoromethyl)phenyl]borate (KTFPB)), 소듐 테트라키스[3,5-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보레이트(Sodium tetrakis[3,5-bis(trifluoromethyl)phenyl]borate (NaTFPB)), 소듐 테트라키스 (4-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디하이드레이트(Sodium tetrakis(4-fluorophenyl)borate Dihydrate (NaTpFPB)), 소듐 테트라페닐보레이트(sodium tetraphenylborate (NaTPB)), 테트라부틸암모늄 테트라페닐보레이트(Tetrabutylammonium tetraphenylborate (TBATPB)), 트리도데실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tridodecylmethylammonium chloride, TDMACl), 트리도데실메틸암모늄 나이트레이트(tridodecylmethylammonium nitrate), 테트라옥틸암모늄 브로마이드(tetraoctylammonium bromide), 테트라도데실암모늄 테트라키스(4-클로로페닐)보레이트(Tetradodecylammonium tetrakis(4-chlorophenyl)borate (ETH500)), 테트라헵틸암모늄 테트라페닐보레이트(Tetraheptylammonium tetraphenylborate (THATPB)) 및 테트라페닐포스포늄 테트라페닐보레이트(Tetraphenylphosphonium tetraphenylborate (TPPTPB))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상 이온선택성 막전극 제조용 조성물
8 8
기판 상에 인쇄된 은/염화은 전극 및 상기 은/염화은 전극 위로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체상 이온선택성 막전극 제조용 조성물이 드롭-코팅된 이온선택성 막을 포함하는 작업전극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센서
9 9
제8항에서, 상기 이온선택성 막은 하기 식 1 또는 2로 표현되는 전도성 고분자를 전체 막 중량에 대하여 0
10 10
제8항에서, 상기 이온선택성 막은 실리콘 러버를 고분자 매트릭스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센서
11 11
제8항에서, 상기 이온선택성 막은 100~300 μm의 두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센서
12 12
제8항에서, 상기 이온센서는 포타슘 이온 (K+), 소듐 이온 (Na+), 수소 이온 (H+), 리튬 이온 (Li+), 루비듐 이온 (Rb+), 세슘 이온 (Cs+), 마그네슘 이온 (Mg2+), 칼슘 이온 (Ca2+), 스트론튬 이온 (Sr2+), 바륨 이온 (Ba2+), 구리 이온 (Cu2+), 은 이온 (Ag+), 아연 이온 (Zn2+), 카드뮴 이온 (Cd2+), 수은 이온 (Hg2+), 탈륨 이온 (Tl+), 납 이온 (Pb2+), 산화우라늄 이온 (UO22+), 사마륨 이온 (Sm3+), 암모늄 이온 (NH4+), 탄산 이온 (CO32-), 티오시안산 이온 (SCN-), 아질산 이온(NO2-), 수산화 이온(OH-), 인화수소 이온 (HPO42-), 아황화수소 이온 (HSO3-), 황산 이온 (SO42-), 염화 이온 (Cl-), 과염소산 이온 (ClO4-), 아이오딘화 이온 (I-), 삼요오드화 이온 (I3-) 및 불소 이온 (F-)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이온에 대해 선택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센서
13 13
제8항에서, 상기 작업전극은 디스크 전극(disk electrode), 스크린 프린팅 전극(screen printing electrode) 또는 바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센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과학기술부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원천기술개발사업-미래기반기술개발사업-의학-첨단과학기술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차세대 압타머 기반 심혈관질환 조기진단 및 치료시스템 개발
2 교육과학기술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연구(공동연구) 전기화학적 특성을 갖는 나노입자의 합성과 바이오센서로의 응용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