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오프 공명 라디오주파수 펄스를 사용하는 자기 공명 영상 시스템에서 인공물 및 원하지 않는 신호를 제거하는 자기 공명 영상 획득 방법

  • 기술번호 : KST2015208348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제1 오프 공명 RF 펄스와, 이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제2 오프 공명 RF 펄스를 인가하고, 제1 및 제2 오프 공명 RF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주 자장의 불균일도를 상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조 경사자장을 인가하고 보조 경사자장의 크기와 부호를 적절히 조절한다. 이에 따라 오프 공명 RF 펄스를 사용하는 영상 기법에서 주 자장의 불균일도에 의하여 발생하는 인공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공간적 전-포화 RF 펄스를 이용하는 영상 기법에 이를 적용할 경우, 전-포화 RF 펄스에 의해 여기된 스핀들이 오프 공명 RF 펄스에 의해 다시 한 번 여기됨으로써 신호들이 복귀되어 최종적으로 획득되는 신호에 원하지 않은 신호가 겹쳐 나타나는 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Int. CL A61B 5/055 (2006.01)
CPC A61B 5/05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30167785 (2013.12.30)
출원인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560463-0000 (2015.10.07)
공개번호/일자 10-2015-0080184 (2015.07.0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51016)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3.12.30)
심사청구항수 1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준영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남동구
2 박현욱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손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 *층(문정동)(특허법인한얼)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3.12.30 수리 (Accepted) 1-1-2013-1208390-78
2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5.09.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5-0645045-1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자기 공명 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시스템을 통해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으로서,제1 오프 공명 RF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상기 제1 오프 공명 RF 펄스에 의해 발생하는 주 자장의 불균일도를 상쇄시키는 제2 오프 공명 RF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 및상기 제1 및 제2 오프 공명 RF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발생하는 주 자장의 불균일도를 상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조 경사자장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보조 경사자장을 인가하는 단계는,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경사자장의 조합을 조절하는 단계; 및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경사자장의 부호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MRI 영상 획득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경사자장의 조합을 조절하는 단계는,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경사자장의 합이 0이 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경사자장의 조합을 조절하는 단계인 MRI 영상 획득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경사자장의 부호를 변경하는 단계는,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경사자장의 합이 0이 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경사자장의 부호를 변경하는 단계인 MRI 영상 획득 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경사자장의 부호를 변경하는 단계에서는,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경사자장 중 첫번째 보조 경사자장의 부호가 플러스(+)가 되도록 하는 것인 MRI 영상 획득 방법
5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경사자장의 부호를 변경하는 단계에서는,상기 하나 이상의 보조 경사자장 중 첫번째 보조 경사자장의 부호가 마이너스(-)가 되도록 하는 것인 MRI 영상 획득 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 스포일러 경사자장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RI 영상 획득 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경사자장은,상기 제1 오프 공명 RF 펄스의 인가 전, 상기 제1 오프 공명 RF 펄스 인가 후이며 상기 제2 오프 공명 RF 펄스의 인가 전, 상기 제2 오프 공명 RF 펄스의 인가 후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인가되는 MRI 영상 획득 방법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프 공명 RF 펄스는 상기 제1 오프 공명 RF 펄스와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것인 MRI 영상 획득 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경사자장을 인가하는 단계 이후에,지방 소거법, 자화전이법, 화학교환포화전이법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펄스 시퀀스를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RI 영상 획득 방법
10 10
제1항에 있어서, 제1 오프 공명 RF 펄스를 인가하는 단계 이전에,공간적 전-포화 RF 펄스(Spatial Pre-Saturation RF Pulse)를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RI 영상 획득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EP03089663 EP 유럽특허청(EPO) FAMILY
2 JP06181208 JP 일본 FAMILY
3 JP28504958 JP 일본 FAMILY
4 US09606211 US 미국 FAMILY
5 US20160154081 US 미국 FAMILY
6 WO2015102169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EP3089663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2 EP3089663 EP 유럽특허청(EPO) DOCDBFAMILY
3 JP2016504958 JP 일본 DOCDBFAMILY
4 JP6181208 JP 일본 DOCDBFAMILY
5 US2016154081 US 미국 DOCDBFAMILY
6 US9606211 US 미국 DOCDBFAMILY
7 WO2015102169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뇌과학원천기술개발 노인성 뇌혈관질환 영장류 모델 연구를 위한 최적의 뇌영상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