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비혈관계 광역동 치료용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광역동 치료용 스텐트

  • 기술번호 : KST2015227968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비혈관계 광역동치료용 스텐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광증감제 역할을 수행하는 아미노레블리닉산(ALA)으로 이루어진 약물 0.01 내지 5중량%와, 인체내에서 분해 되는 생분해성 고분자로써 상기 약물을 담지하는 고분자 담지체 95 내지 99.99중량%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약물이 담지된 고분자담지체가 전체에 대하여 3 내지 60중량% 되도록 용매에 용해하여 방사용액을 준비하는 단계;그리고 상기 방사용액을 비혈관계 스텐트 표면에 나노섬유 형태로 직접 코팅되도록 하는 단계; 또는 상기 방사용액을 방사노즐을 통해 임의의 거리에 떨어진 집전판에 분사하여 나노섬유 웹를 형성하고 이를 스텐트에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나노섬유의 경우 필름상에 대비 비표면적이 우수하고, 약물의 방출, 생분해 속도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Int. CL A61L 27/54 (2006.01) A61L 27/28 (2006.01) A61K 47/30 (2006.01) A61F 2/82 (2006.01)
CPC A61F 2/82(2013.01) A61F 2/82(2013.01) A61F 2/82(2013.01) A61F 2/82(2013.01) A61F 2/82(2013.01) A61F 2/8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10018038 (2011.02.28)
출원인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대학교병원
등록번호/일자 10-1271242-0000 (2013.05.29)
공개번호/일자 10-2012-0098228 (2012.09.0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30607)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소멸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1.02.28)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금정구
2 부산대학교병원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서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강대환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2 정영일 대한민국 경상남도 양산시
3 정정욱 대한민국 경상남도 양산시 양주로 **,
4 유진주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5 김찬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남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부경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연제구 법원남로**번길 **, *층 (거제동, 대한타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산광역시 금정구
2 부산대학교병원 부산광역시 서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1.02.28 수리 (Accepted) 1-1-2011-0146545-12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1.03.02 수리 (Accepted) 1-1-2011-0151312-10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2.01.13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2.02.15 수리 (Accepted) 9-1-2012-0008914-52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2.08.1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2-0472357-29
6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2.10.15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2-0835809-88
7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2.10.15 수리 (Accepted) 1-1-2012-0835775-13
8 최후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2013.02.2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123197-69
9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3.04.22 보정승인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3-0350413-59
10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3.04.22 수리 (Accepted) 1-1-2013-0350392-88
11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3.05.1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3-0327079-19
1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4.01.02 수리 (Accepted) 4-1-2014-0000027-56
1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6.01.13 수리 (Accepted) 4-1-2016-5004891-78
1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1.09 수리 (Accepted) 4-1-2017-5004005-98
1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1.10 수리 (Accepted) 4-1-2017-5004797-1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비혈관계 광역동 치료용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광증감제 역할을 수행하는 아미노레블리닉산(ALA)으로 이루어진 약물 0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담지체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에틸렌옥시드 (poly(ehtylene oxide), PEO),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irrolidone), PVP),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폴리락티드(Poly(lactide), PLA), 폴리클로코라이드(Poly(glycolide), PGA), 폴리락티드-코-클리코라이드(Poly(lactide-co-glycolide), PLGA), 콜라겐 (Collagen), 그리고 폴리카프롤락톤 (poly(ε-caprolactone), PCL)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혈관계 광역동 치료용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
3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H2O), 에탄올,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 acetamide, DMAc), 디메틸포름아미드(N,N-dimethylformamide, DMF), 메틸피로리딘 (N-methyl-2-pyrrolidinone, NMP),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테트라하이드라푸란(tetra-hydrofuran, THF),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디에틸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DEC),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DM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thyl methyl carbonate, EMC),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 초산(acetic acid), 개미산(formic acid),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혈관계 광역동 치료용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
4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하는 단계는,전기방사(electro-spinning), 전기분사(electro-spray), 전기분사방사(electro-brown spinning), 원심 전기방사(centrifugal electro-spinning), 플래쉬 전기방사(flash-electro-spinning), 버블전기방사(bubble electrospinning), 자장전기방사(magnetic electrospinning)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혈관계 광역동 치료용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
5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하는 단계는,전기방사법을 이용하고, 준비된 스텐트가 100 ~ 500rpm의 회전속도를 가지고, 인가전압은 0
6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는,0
7 7
비혈관계 광역동 치료용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광증감제 역할을 수행하는 아미노레블리닉산(ALA)으로 이루어진 약물 0
8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담지체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에틸렌옥시드 (poly(ehtylene oxide), PEO),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irrolidone), PVP),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폴리락티드(Poly(lactide), PLA), 폴리클로코라이드(Poly(glycolide), PGA), 폴리락티드-코-클리코라이드(Poly(lactide-co-glycolide), PLGA), 콜라겐 (Collagen), 그리고 폴리카프롤락톤 (poly(ε-caprolactone), PCL)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비혈관계 광역동 치료용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
9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H2O), 에탄올, 디메틸아세트아미드(dimethyl acetamide, DMAc), 디메틸포름아미드(N,N-dimethylformamide, DMF), 메틸피로리딘 (N-methyl-2-pyrrolidinone, NMP),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 테트라하이드라푸란(tetra-hydrofuran, THF), 에틸렌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디에틸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DEC), 디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DMC), 에틸메틸카보네이트(ethyl methyl carbonate, EMC),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 초산(acetic acid), 개미산(formic acid), 클로로포름(Chloroform),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및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혈관계 광역동 치료용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
10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는,전기방사(electro-spinning), 전기분사(electro-spray), 전기분사방사(electro-brown spinning), 원심 전기방사(centrifugal electro-spinning), 플래쉬 전기방사(flash-electro-spinning), 버블전기방사(bubble electrospinning), 자장전기방사(magnetic electrospinning) 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혈관계 광역동 치료용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
11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는,전기방사법을 이용하고, 인가전압은 0
12 12
삭제
13 13
삭제
14 14
삭제
15 15
제 1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하여 제조된 스텐트를 특징으로 하는 비혈관계 광역동 치료용 스텐트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보건복지가족부 양산부산대학교병원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간담도 질환치료 병원특성화 연구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