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 기술번호 : KST2016001304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 상기 H형강의 상부 플렌지는 노출시키는 반면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 및 하부 플렌지를 매립할 정도의 두께로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는 보강철근; 및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 하면에 탈형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과, 상기 바닥 양측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 양측면에 탈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으로 구성된 거푸집;을 포함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에 관한 것이다.거푸집, 콘크리트 복합보
Int. CL E04C 3/293 (2000.01)
CPC E04C 3/293(2013.01) E04C 3/293(2013.01) E04C 3/29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050072516 (2005.08.08)
출원인 (주)엠씨에스공법
등록번호/일자 10-0761785-0000 (2007.09.19)
공개번호/일자 10-2007-0000950 (2007.01.0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070928)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050056520   |   2005.06.28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05.08.08)
심사청구항수 4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주)엠씨에스공법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홍원기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상용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 *층(서초동, 준영빌딩)(특허법인필앤온지)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주)케이에이치하우징솔루션스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2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서울특별시 종로구
3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부산광역시 영도구
4 금호산업주식회사 전라남도 나주시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2005.08.08 수리 (Accepted) 1-1-2005-0437259-10
2 서지사항보정서
Amendment to Bibliographic items
2005.10.06 수리 (Accepted) 1-1-2005-0564808-11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06.07.1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06.08.11 수리 (Accepted) 9-1-2006-0051802-48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6.10.24 수리 (Accepted) 4-1-2006-5152348-34
6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06.10.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06-0623556-10
7 출원인변경신고서
Applicant change Notification
2006.11.01 수리 (Accepted) 1-1-2006-0800611-39
8 서지사항보정서
Amendment to Bibliographic items
2006.11.20 불수리 (Non-acceptance) 1-1-2006-0847699-70
9 서류반려이유안내서
Notice of Reason for Return of Document
2006.11.2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06-0145255-39
10 서지사항보정서
Amendment to Bibliographic items
2006.11.22 수리 (Accepted) 1-1-2006-0858142-19
11 의견서
Written Opinion
2006.12.22 수리 (Accepted) 1-1-2006-0955199-19
12 명세서등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2006.12.22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06-0955190-09
1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6.12.27 수리 (Accepted) 4-1-2006-5186291-61
14 서류반려안내서
Notification for Return of Document
2006.12.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06-0156304-36
15 대리인변경신고서
Agent change Notification
2007.01.18 불수리 (Non-acceptance) 1-1-2007-0051966-08
16 대리인변경신고서
Agent change Notification
2007.01.29 수리 (Accepted) 1-1-2007-0086950-87
17 대리인변경신고서
Agent change Notification
2007.03.19 수리 (Accepted) 1-1-2007-0217459-10
18 최후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2007.04.1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07-0199867-58
19 명세서등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2007.05.31 보정승인 (Acceptance of amendment) 1-1-2007-0399647-10
20 의견서
Written Opinion
2007.05.31 수리 (Accepted) 1-1-2007-0399649-01
21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07.06.1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07-0333268-20
2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8.01.04 수리 (Accepted) 4-1-2008-5002127-02
2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09.12.02 수리 (Accepted) 4-1-2009-5233133-6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상기 H형강의 상부 플렌지는 노출시키는 반면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 및 하부 플렌지를 매립할 정도의 두께로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부재;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는 보강철근;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 하면에 탈형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과, 상기 바닥 양측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 양측면에 탈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거푸집;을 포함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복수의 매립용 너트가 구비되고, 체결볼트를 상기 거푸집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매립용 너트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철근은,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며 그 양단부가 상기 H형강의 웹의 양측면과 맞닿도록,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스터럽 철근;그 일단부가 상기 스터럽 철근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재;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거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 부재는, 상기 스터럽 철근의 상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매립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5 5
제2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철근은,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와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철근부와, 상기 수평철근부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 일부가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있는 중간철근부와, 상기 중간철근부의 선단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철근부로 구성되며,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스터럽철근;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인장/압축 철근 및 상기 연장철근부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6 6
제2항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 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공동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 부재로부터 상기 공동부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터드 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8 8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상기 H형강의 상부 플렌지는 노출시키는 반면 상기 웹의 적어도 일부 및 하부 플렌지를 매립할 정도의 두께(T2)로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는 메인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T1)를 가지는 서브 콘크리트 부재;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는 보강철근; 및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 양측면과 상기 서브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에 탈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측벽에 의해 콘크리트가 타설될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9 9
제8항에 있어서,상기 서브 콘크리트 부재는 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매립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10 10
제8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 양측면과 상기 서브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복수의 매립용 너트가 구비되고, 체결볼트를 상기 거푸집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매립용 너트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철근은,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며 그 양단부가 상기 H형강의 웹의 양측면과 맞닿도록,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스터럽 철근;그 일단부가 상기 스터럽 철근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재;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거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는, 상기 스터럽 철근의 상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매립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13 13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철근은,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와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철근부와, 상기 수평철근부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 일부가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있는 중간철근부와, 상기 중간철근부의 선단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철근부로 구성되며,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스터럽철근;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인장/압축 철근 및 상기 연장철근부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14 14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공동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15 15
제14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로부터 상기 공동부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터드 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16 16
삭제
17 17
삭제
18 18
상부 플렌지, 하부 플렌지 및 상기 상부 플렌지와 하부 플렌지를 서로 연결하는 웹으로 구성된 H형강;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지지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며,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T3)를 가지는 콘크리트 부재;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는 보강철근;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 전체에 걸쳐 탈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측벽에 의해 콘크리트가 타설될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을 포함하고,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복수의 매립용 너트가 구비되고, 체결볼트를 상기 거푸집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매립용 너트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19 19
제18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철근은,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를 감싸며 그 양단부가 상기 H형강의 웹의 양측면과 맞닿도록,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스터럽 철근;그 일단부가 상기 스터럽 철근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재;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인장/압축 철근과, 상기 거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20 20
제18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철근은,상기 H형강의 하부 플렌지와 나란하게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철근부와, 상기 수평철근부의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그 일부가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어 있는 중간철근부와, 상기 중간철근부의 선단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철근부로 구성되며, 상기 H형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스터럽철근;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길이 방향으로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립 인장/압축 철근 및 상기 연장철근부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21 21
장방형의 콘크리트 부재;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는 보강철근;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 하면에 탈형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닥과, 상기 바닥 양측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 양측면에 탈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는 거푸집;을 포함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22 22
제21항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복수의 매립용 너트가 구비되고, 체결볼트를 상기 거푸집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매립용 너트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23 23
제22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철근은,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개의 후프철근; 및상기 후프철근과 결합되도록 콘크리트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24 24
제23항에 있어서,그 일단부가 상기 후프철근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재; 및상기 거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25 25
제22항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 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공동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26 26
제25항에 있어서,상기 콘크리트 부재로부터 상기 공동부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터드 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27 27
장방형의 메인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며 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의 두께(T5)보다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T4)를 가지는 서브 콘크리트 부재;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위에 놓이는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서포트;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는 보강철근; 및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 양측면과 상기 서브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에 탈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측벽에 의해 콘크리트가 타설될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28 28
제27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의 단부 양측면과 상기 서브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복수의 매립용 너트가 구비되고, 체결볼트를 상기 거푸집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매립용 너트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29 29
제27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철근은,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개의 후프철근; 및상기 후프철근과 결합되도록 콘크리트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30 30
제29항에 있어서,그 일단부가 상기 후프철근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재; 및상기 거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31 31
제28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공동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32 32
제31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콘크리트 부재로부터 상기 공동부로 연장되어 있는 복수개의 스터드 철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33 33
삭제
34 34
시공되는 보 구조물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T6)를 가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장방형의 콘크리트 부재;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는 보강철근; 및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 전체에 걸쳐 탈형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측벽에 의해 콘크리트가 타설될 공간을 형성하는 거푸집;을 포함하고,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양측면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복수의 매립용 너트가 구비되고, 체결볼트를 상기 거푸집의 측벽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을 통해 삽입하여 상기 매립용 너트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거푸집을 콘크리트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35 35
제34항에 있어서,상기 보강철근은,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 복수개의 후프철근; 및상기 후프철근과 결합되도록 콘크리트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36 36
제35항에 있어서,그 일단부가 상기 후프철근의 양측 모서리 상단에 고정되며, 타단부가 양측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는 복수개의 거치부재; 및상기 거치부재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출 인장/압축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37 37
제1항 내지 제15항 및 제2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서포트는,상기 콘크리트 부재 상면의 양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브라켓; 및상기 브라켓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콘크리트 부재에 매립되는 매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38 38
제1항 내지 제15항 및 제2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서포트는,상기 콘크리트 부재 상면의 양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브라켓; 및상기 양측단에 있는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부재 내에 매립되는 연결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39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상기 콘크리트 부재의 상면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스트립 형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40 40
제1항 내지 제15항, 제18항 내지 32항,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거푸집의 측벽의 상단부 에지에 구비되는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41 41
제40항에 있어서,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는,상기 거푸집 측벽의 상단부 에지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결합부; 및상기 결합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42 42
제41항에 있어서,상기 데크 플레이트 서포트는,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결합공 및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상기 체결볼트의 나사단부를 감싸서 콘크리트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매립용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43 43
제42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부에는 그 위에 놓여지는 데크 플레이트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44 44
제1항 내지 제15항, 제18항 내지 32항,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거푸집의 측벽 상호간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횡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45 45
제44항에 있어서,상기 횡보강부재는,나사산이 형성된 철근의 양단이 상기 거푸집의 측벽을 관통하여 너트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46 46
제1항 내지 제15항, 제18항 내지 32항, 제34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는 위로 볼록하게 만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47 47
제1항 내지 제15항,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H형강의 하부플렌지에는 상기 콘크리트 부재에 매립되는 스터드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콘크리트 복합보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