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치매환자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Dementia Pati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 기술번호 : KST2016005445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사람의 치매징후 및 증상을 예측 및 인지하여 치매환자의 발생을 예방하고 또한 치매환자의 일상관리를 도와줄 수 있는 치매환자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치매 징후 감지 장치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치매환자를 센싱하여 치매 관련 센싱신호를 포함하는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치매 징후 감지 장치가 생성한 상기 감지 데이터를 치매 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치매 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이 수신한 상기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매 징후 및 증상을 예측하여 치매 예방 서비스와 치매 증상에 상응하는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매 환자 관리 및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Int. CL A61B 5/00 (2006.01.01) A61B 5/04 (2006.01.01) A61B 5/01 (2006.01.01) A61B 5/11 (2006.01.01) A61B 5/08 (2006.01.01) G06F 19/00 (2018.01.01) G06Q 50/22 (2018.01.01)
CPC A61B 5/4088(2013.01) A61B 5/4088(2013.01) A61B 5/4088(2013.01) A61B 5/4088(2013.01) A61B 5/4088(2013.01) A61B 5/4088(2013.01) A61B 5/4088(2013.01) A61B 5/4088(2013.01) A61B 5/408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40085032 (2014.07.08)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6-0005924 (2016.01.1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취하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신현순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함찬영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이석희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4 남승윤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수영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길 **, 한양빌딩 (도곡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4.07.08 수리 (Accepted) 1-1-2014-0640336-45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2.02 수리 (Accepted) 4-1-2015-0006137-4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치매환자의 생체 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센싱신호로 생성하는 감지신호 센싱부;상기 센싱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H/W 필터링부;상기 센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부;상기 센싱신호를 치매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하기 전에 해당 신호의 포맷에 맞도록 변환하는 전처리를 수행하는 센싱신호 전처리부;전처리된 상기 센싱신호를 포함하는 감지 데이터를 치매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처리신호 전송부; 및치매 징후 감지 장치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메인플랫폼부;를 포함하는 치매징후 감지 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감지 신호센싱부;는,상기 치매환자의 생체반응을 센싱하여 이를 전기적인 생체신호로 생성하는 다채널 생체신호 센싱부;상기 치매환자의 맥박을 센싱하여 이를 전기적인 센싱신호로 생성하는 맥박신호 센싱부;상기 치매환자의 체온을 센싱하여 이를 전기적인 센싱신호로 생성하는 체온신호 센싱부;상기 치매환자의 배뇨작용을 센싱하여 이를 전기적인 센싱신호로 생성하는 배뇨신호 센싱부;상기 치매환자의 음성을 센싱하여 이를 전기적인 센싱신호로 생성하는 음성신호 센싱부;상기 치매환자 주변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이를 전기적인 센싱신호로 생성하는 영상신호 센싱부;상기 치매환자 주변의 환경 정보를 센싱하여 이를 전기적인 센싱신호로 생성하는 환경신호 센싱부;상기 치매환자의 활동량 및 동작의 강도를 센싱하여 이를 전기적인 센싱신호로 생성하는 기울기 및 가속도신호 센싱부; 및상기 치매환자의 동작 및 위치를 센싱하여 이를 전기적인 센싱신호로 생성하는 위치 신호 센싱부;를 포함하되,상기 다채널 생체신호 센싱부는, 상기 치매환자의 호흡을 센싱하여 이를 전기적인 센싱신호로 생성하는 호흡신호 센싱부;상기 치매환자의 맥박을 센싱하여 이를 전기적인 센싱신호로 생성하는 맥박신호 센싱부;상기 치매환자의 체온을 센싱하여 이를 전기적인 센싱신호로 생성하는 체온신호 센싱부; 및상기 치매환자의 배뇨작용을 센싱하여 이를 전기적인 센싱신호로 생성하는 배뇨신호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징후 감지 장치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센싱신호 전처리부;는,상기 다채널 생체신호 센싱부에서 생성된 센싱신호를 H/W적으로 처리하여 해당 생체신호로 생성하는 생체신호 전처리부;상기 음성신호 센싱부에서 생성된 센싱신호에서 음성을 추출하고 이를 해당 음성포맷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음성신호 전처리부;상기 영상신호 센싱부에서 생성된 센싱신호에서 영상을 추출하고 이를 해당 영상포맷신호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영상신호 전처리부;상기 환경신호 센싱부에서 생성된 온도 센싱신호, 습도 센싱신호, 풍속 센싱신호 각각을 해당 측정 단위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환경신호 전처리부;상기 기울기 및 가속도신호 센싱부에서 측정한 상기 치매환자의 활동량 및 동작의 강도를 해당 측정 단위로 변환하여 처리하는 기울기 및 가속도신호 전처리부;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치매환자의 동작 및 위치 파악을 위한 GPS신호 처리 모듈; 및AP(Access Point)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치매환자의 위치 파악 및 데이터의 무선전송을 위한 WIFI실내측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징후 감지 장치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처리신호 전송부;는,감응거리보장 RF 통신모듈;상기 센싱신호 전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감지 데이터를 상기 치매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감지신호 전송모듈;영상 및 음성 스트리잉 데이터를 전송처리하는 데이터 스트리밍 전송 처리부;상기 치매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과의 통신 연결을 위한 인증 및 셋업을 수행하는 인증부;개인정보 프라이버시 보장을 위한 전송 데이터의 보안처리를 수행하는 전송 데이터 보안 처리 모듈;상기 치매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송수신 데이터를 포맷에 맞게 변경하는 송수신 데이터 메시지 포맷팅부; 및상기 치매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과의 연동을 위해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연동통신 프로토콜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징후 감지 장치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메인 플랫폼부;는,외부 아날로그 장치들이 연결되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치매징후 감지 장치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부;치매징후 감지 장치의 동작에 따른 상태정보를 관리하는 상태정보 처리 모듈; 및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H/W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징후 감지 장치
6 6
치매징후 감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연동을 수행하고 감지 데이터를 수신하는 치매징후감지장치 연동부;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치매징후 감지정보 융합처리부;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매환자의 치매징후 및 치매증상을 종합 예측하고 인지한 결과를 산출하는 실시간 치매증상 예측 처리부;사용자 또는 상기 치매환자가 자신이 직접 입력한 정보를 관리하거나 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치매관련 정보를 관리하는 치매환자 정보 관리부;상기 치매환자가 스스로 치매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예측된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예측 및 인지기반 치매환자 관리 서비스부; 및사용자에게 치매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UI부;를 포함하는 치매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치매징후감지장치 연동부;는,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와의 통신거리를 보장하는 감응거리 보장 통신부;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인증 및 연동을 수행하는 감지장치간 인증 및 연동통신 셋업부;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와 연동을 위해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연동 통신 프로토콜 처리부;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 또는 인터넷과의 안정된 통신을 보장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멀티모달 다채널 신호 수신부;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다양한 데이터 포맷으로 파싱하여 치매 관리 및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로 생성하는 멀티모달 다채널 신호 파싱부; 및상기 감지 데이터가 해당 감지 채널을 통해 제대로 수신되는지를 관리하는 다채널 감지정보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
8 8
제6항에 있어서,상기 치매징후 감지정보 융합처리부;는,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생체신호의 SW 필터링 및 특징추출 기능을 수행하는 생체신호 후처리부;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의 SW 필터링 및 특징추출 기능을 수행하는 음성신호 후처리부;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신호의 SW 필터링 및 특징추출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신호 후처리부;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환경신호의 SW 필터링 및 특징추출 기능을 수행하는 환경신호 후처리부;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치매환자의 활동량 및 동작의 강도를 포함하는 신호의 SW 필터링 및 특징추출 기능을 수행하는 기울기 및 가속도 신호 후처리부;상기 생체신호 후처리부, 상기 음성신호 후처리부, 상기 영상신호 후처리부, 상기 환경신호 후처리부, 상기 기울기 및 가속도 신호 후처리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들의 타임 도메인상의 신호동기화를 수행하는 멀티모달 다채널 신호 동기화부; 및치매환자 심리상태 및 징후 예측을 위해 상기 생체신호 후처리부, 상기 음성신호 후처리부, 상기 영상신호 후처리부, 상기 환경신호 후처리부, 상기 기울기 및 가속도 신호 후처리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들 중에서 치매와 연관된 신호들을 분리하여 분석하는 신호특성 분석 및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
9 9
제6항에 있어서,상기 실시간 치매증상 예측 처리부;는,치매증상 및 치매 증상에 따른 치료/예방관련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치매관련 데이터부;치매 인지 엔진들을 제어하고 해당 엔진에서 분석된 정보와 상기 치매관련 데이터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는 인지엔진 제어부;상기 치매환자 주변의 환경정보가 치매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환경정보분석 치매인지엔진;상기 치매환자의 활동량 및 동작의 강도가 치매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활동량기반 치매인지엔진;상기 치매환자의 동작을 분석하여 해당 동작이 치매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영상정보기반 치매인지엔진;상기 치매환자의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생체신호가 치매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생체정보기반 치매인지엔진;상기 치매환자의 음성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음성정보가 치매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음성정보기반 치매인지엔진;인지엔진들의 결과정보를 기반으로 치매징후증상별로 특징을 분석하여 치매관련 융합특징을 추출하고 치매 특징값의 백터화를 수행하는 융합특징추출 및 벡터화부; 및치매징후 및 치매증상을 종합 예측하고 인지한 결과를 산출하는 치매징후 및 치매증상 예측인지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
10 10
제6항에 있어서,상기 치매환자 정보 관리부;는,사용자 또는 상기 치매환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치매징후를 진단하는 자가진단정보 관리부;상기 치매환자의 심리상태를 관리하는 환자심리상태정보 관리부;상기 치매환자가 인지한 치매징후를 누적하여 관리하는 치매징후 인지 누적정보 관리부;상기 치매환자의 활동반경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환자 활동반경정보 관리부; 및치매환자 관리 및 도우미 서비스에 활용하도록 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 및 치매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에서 분석된 정보를 축적하여 저장하는 치매환자 서비스 UX 데이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
11 11
제6항에 있어서,상기 예측 및 인지기반 치매환자 관리 서비스부;는,상기 치매환자가 스스로 치매 진단에 도움이 되는 기억력, 걸음걸이, 인지력, 반응속도를 입력하면 이를 토대로 치매진단을 수행하는 자가진단 지원부;상기 자가진단 지원부에서 진단된 상기 기억력, 상기 걸음걸이, 상기 인지력, 상기 반응속도를 훈련을 통해 재활하도록 하는 정보를 제공하여 치매 증상을 완화 및 예방하는 증상완화 예방 서비스부;상기 치매 환자의 보호자에게 상기 치매환자의 상태, 위치를 알려주는 보호자 지원 서비스부;상기 치매환자가 일상생활에서 규칙적인 치매예방 활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치매환자 일상 도우미 서비스부; 상기 치매환자의 일상 생활 중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알려주는 안전 보호 서비스부; 및인지된 치매징후 및 치매증상에 맞는 치매 예방/치료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상황별 서비스 맵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
12 12
치매 징후 감지 장치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치매환자를 센싱하여 치매 관련 센싱신호를 포함하는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치매 징후 감지 장치가 생성한 상기 감지 데이터를 치매 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치매 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이 수신한 상기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매 징후 및 증상을 예측하여 치매 예방 서비스와 치매 증상에 상응하는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매 환자 관리 및 제어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사용자 또는 치매환자가 상기 치매환자의 가족력 정보, 전문기관의 치매관련 검진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단계; 및상기 치매관련 정보의 주기적인 입력이 필요한지를 판단하여, 주기적인 치매관련 정보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치매환자의 일상적인 생활과 연관된 정보를 주기적으로 입력하고 이를 분석하여 정상적인 생활 패턴과 비교하여 차이점이 있는 경우에 이에 대한 정보를 치매 관련 정보로 생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 관리 및 제어방법
14 14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치매 징후 감지 장치에서 센서를 이용하여 치매환자를 센싱하여 치매 관련 센싱신호를 포함하는 감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상기 치매 환자의 자율신경계의 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인체의 생체신호를 센싱하는 생체신호 센싱단계;상기 치매환자의 음성을 센싱하여 이를 전기적인 센싱신호로 생성하는 음성신호 센싱단계;상기 치매환자 주변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이를 전기적인 센싱신호로 생성하는 영상신호 센싱단계;상기 치매환자 주변의 환경 정보를 센싱하여 이를 전기적인 센싱신호로 생성하는 환경신호 센싱단계;상기 치매환자의 활동량 및 동작의 강도를 센싱하여 이를 전기적인 센싱신호로 생성하는 기울기 및 가속도신호 센싱단계; 및상기 치매환자의 동작 및 위치를 센싱하여 이를 전기적인 센싱신호로 생성하는 위치 신호 센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 관리 및 제어방법
15 15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치매 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이 수신한 상기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매 징후 및 증상을 예측하여 치매 예방 서비스와 치매 증상에 상응하는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치매징후 감지정보 융합처리단계; 및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매환자의 치매징후 및 치매증상을 종합 예측하고 인지한 결과를 산출하는 실시간 치매증상 예측 처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 관리 및 제어방법
16 16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치매징후 감지정보 융합처리단계;는,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생체신호, 음성신호, 영상신호, 환경신호, 상기 치매환자의 활동량 및 동작의 강도를 포함하는 신호의 SW 필터링 및 특징추출 기능을 수행하고 정상적인 신호와의 차이인 변이률을 구하는 단계;상기 생체신호, 상기 음성신호, 상기 영상신호, 상기 환경신호, 상기 치매환자의 활동량 및 동작의 강도를 포함하는 신호들의 타임 도메인상의 신호동기화를 수행하는 멀티모달 다채널 신호 동기화 단계; 및상기 생체신호, 상기 음성신호, 상기 영상신호, 상기 환경신호, 상기 치매환자의 활동량 및 동작의 강도를 포함하는 신호들 중에서 치매와 연관된 신호들을 분리하여 분석하는 신호특성 분석 및 분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 관리 및 제어방법
17 17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치매징후 감지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매환자의 치매징후 및 치매증상을 종합 예측하고 인지한 결과를 산출하는 실시간 치매증상 예측 처리단계;는,치매 인지엔진들을 제어하고 해당 인지엔진에서 상기 감지 데이터 중에서 해당 엔진에 해당하는 치매관련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된 정보와 치매관련 데이터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상기 인지엔진들의 결과정보를 기반으로 치매징후증상별로 특징을 분석하여 치매관련 융합특징을 추출하고 치매 특징값의 백터화를 수행하는 융합특징추출 및 벡터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 관리 및 제어방법
18 18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치매 환자 관리 서비스 플랫폼이 수신한 상기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치매 징후 및 증상을 예측하여 치매 예방 서비스와 치매 증상에 상응하는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상기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응급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연동모드 프로세스를 구동하여 상기 치매환자의 정보를 구하는 단계;상기 응급메시지의 응급상황에 맞는 도우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예측된 치매 징후 및 증상의 등급에 따라 상기 치매환자에게 경고 메시지를 안내하거나 상기 치매환자의 보호자나 전문기관에 상기 치매환자의 상태를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치매 환자 관리 및 제어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지식경제부 숙명여자대 산학협력단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정보통신) 안전한 주거환경을 위한 실시간 위험요소 예측/방지용 스마트 홈 서비스 플랫폼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