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TUS FOR MODULATING BASEBAND SIGNAL IN BEAM SPACE MULTI-INPUT MULT-OUTPUT)

  • 기술번호 : KST2016007841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빔 공간 MIMO에서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기저대역 신호 변조 장치는 기저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로드 값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기저대역 신호 변조 장치는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기저대역 신호 또는 기저대역 신호보다 높은 주파수인 제1 대역 신호에 대한 위상 또는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Int. CL H04L 27/34 (2006.01.01) H04L 27/00 (2006.01.01) H04L 25/02 (2006.01.01) H04B 7/0413 (2017.01.01)
CPC H04L 27/3405(2013.01) H04L 27/3405(2013.01) H04L 27/3405(2013.01) H04L 27/340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50102619 (2015.07.20)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6-0031404 (2016.03.2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40121306   |   2014.09.12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5.13)
심사청구항수 1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유덕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팬코리아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길 **, 역삼***빌딩 (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5.07.20 수리 (Accepted) 1-1-2015-0703121-82
2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0.05.13 수리 (Accepted) 1-1-2020-0484482-8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며, 빔 공간 MIMO(Multi-Input Multi-Output) 신호를 방사하는 안테나 어레이,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기저대역부,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인 제1 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대역 변환부,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로드 값을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로드 값을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 설정하는 로드 계산부,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위상 및 크기 중 적어도 하나의 값에 대한 변경 값을 설정하는 신호 변경 제어부, 그리고 상기 변경 값에 대응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 및 상기 제1 대역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하는 신호 변경하는 신호 변경부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변조 장치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경 제어부는, 각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 별로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위상 변화 및 크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하도록, 상기 변경 값을 설정하는 기저대역 변조 장치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경 제어부는, 위상이 같은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 별로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위상 변화가 동일하도록, 상기 변경 값을 설정하는 기저대역 변조 장치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경 제어부는, 크기가 같은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 별로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크기 변화가 동일하도록, 상기 변경 값을 설정하는 기저대역 변조 장치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경부가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신호 변경부는 상기 기저대역부와 상기 대역 변환부 사이에 위치하는 기저대역 변조 장치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경부가 상기 제1 대역 신호를 변경하는 경우, 상기 신호 변경부는 상기 대역 변환부와 상기 안테나 어레이 사이에 위치하는 기저대역 변조 장치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변경부는 페이즈 쉬프터, 증폭기 및 감쇄기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는 기저대역 변조 장치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는 능동 안테나 소자, 복수의 기생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대역 변환부는 단일 RF체인인 기저대역 변조 장치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 신호는 IF(Intermediate Frequency) 대역 신호 또는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인 기저대역 변조 장치
10 10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며, 빔 공간 MIMO 신호를 방사하는 안테나 어레이,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기저대역부,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RF 체인부, 그리고각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 별로 상기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위상 변화 및 크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하도록,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로드 값인 제1 로드 값을 계산하며, 상기 제1 로드 값을 상기 안테나 어레이에 설정하는 로드 계산부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변조 장치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 계산부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로드 값인 제2 로드 값은 계산하고, 상기 각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 별로 상기 안테나 신호의 위상 변화 및 크기 변화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하도록 상기 제2 로드 값을 상기 제1 로드 값으로 변경하는 기저대역 변조 장치
12 12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는 능동 안테나 소자, 복수의 기생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RF 체인부는 단일 RF체인인 기저대역 변조 장치
13 13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하는 빔 공간 MIMO(Multi-Input Multi-Ouput)에서 기저대역 신호를 변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보다 높은 주파수인 제1 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기저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의 로드 값을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 또는 상기 제1 대역 신호에 대한 위상 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14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 또는 상기 제1 대역 신호에 대한 위상 또는 크기에 대한 변경 값을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상기 변경 값에 대응하여, 상기 기저대역 신호 또는 제1 대역 신호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15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 별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위상 변화 또는 크기 변화가 동일하도록, 상기 변경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16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위상이 같은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 별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위상 변화가 동일하도록, 상기 변경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17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크기 같은 기저대역 신호의 주파수 별로 상기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통해 방사되는 안테나 신호의 크기 변화가 동일하도록, 상기 변경 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18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 신호는 IF(Intermediate Frequency) 대역 신호 또는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인 기저대역 신호 변조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20160031949 KR 대한민국 FAMILY
2 US09692492 US 미국 FAMILY
3 US20160080046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차세대통신네트워크) LTE-A 기반 단일 RF 다중 스트림 지원 소형 기지국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