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골 형성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NG OSTEOGENESIS)

  • 기술번호 : KST2016008460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골 형성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와 상기 미립자의 표면에 고정된 골 형성 촉진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미립자는 생체적합성 고분자-카테콜 작용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복합체를 이용하여 표면이 개질된 골 형성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골 형성 촉진용 조성물은 개복할 필요 없이 주사 등을 통해 직접적으로 골 부분에 주입됨으로써 거부 반응을 최소화 시킬 수 있고 빠르게 치료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골 형성 촉진용 조성물은 약물이 지속적으로 방출되어 투여회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t. CL A61K 47/50 (2017.01.01) A61K 38/40 (2006.01.01) A61K 38/30 (2006.01.01) A61K 38/18 (2006.01.01)
CPC A61K 47/50(2013.01) A61K 47/50(2013.01) A61K 47/50(2013.01) A61K 47/5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40129752 (2014.09.29)
출원인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6-0037413 (2016.04.0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09.05)
심사청구항수 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송해룡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구로구
2 김학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3 김성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서구
4 최성욱 대한민국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5 윤영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6 이재용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양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충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산로 **, *층(양재동, 베델회관)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4.09.29 수리 (Accepted) 1-1-2014-0926303-79
2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4.09.29 수리 (Accepted) 1-1-2014-0922862-86
3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4.09.29 수리 (Accepted) 1-1-2014-0923285-19
4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5.05.27 수리 (Accepted) 1-1-2015-0505986-58
5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9.09.05 수리 (Accepted) 1-1-2019-0917661-71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0.10 수리 (Accepted) 4-1-2019-5210941-09
7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9.11.14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8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9.12.09 수리 (Accepted) 9-1-2019-0056974-03
9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0.07.1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488014-70
10 [지정기간연장]기간 연장신청서·기간 단축신청서·기간 경과 구제신청서·절차 계속신청서
2020.09.16 수리 (Accepted) 1-1-2020-0982258-11
11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0.10.14 수리 (Accepted) 1-1-2020-1085635-04
12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10.14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1085654-6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다공성 고분자 미립자 및 상기 미립자의 표면에 고정된 골 형성 촉진 물질을 포함하며,상기 미립자는 생체적합성 고분자-카테콜 작용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복합체를 이용하여 표면이 개질된 것인, 골 형성 촉진용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의 크기는 200 내지 1000 um이며, 10 내지 100um 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것인, 골 형성 촉진용 조성물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락트산(PLA), 폴리(락트산-코-글리콜산)(PLGA),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산, 폴리포스파진, 폴리이미노카보네이트, 폴리포스포에스테르, 폴리언하이드라이드 (polyanhydride), 폴리오르소에스테르(polyorthoester), 락트산/글리콜산과 카프로락톤의 공중합체,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발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아미노산 및 락트산과 아미노산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골 형성 촉진용 조성물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 형성 촉진 물질은 골 형성 성장인자 또는 골 형성 화합물이며,상기 골 형성 성장인자는 골 형성 단백질(BMP, bone morphogenic protein), 혈소판 유래 증식인자(PDGF,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 형질전환 성장인자-베타(TGF-beta,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염기성 섬유모세포 성장인자(bFG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1(IGF-1, Insulin like growth factor 1), 및 락토페린(lactofer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상기 골 형성 화합물은 알렌드로네이트(alendronate), 리제드로네이트(risedronate), 졸레드로네이트(zoledronate), 에티드로네이트(Etidronate), 클로드로네이트(Clodronate), 틸루드로네이트(Tiludronate), 파미드로네이트(Pamidronate), 올파드로네이트(Olpadronate), 이바드로네이트(Ibadronate), 아트로바스타틴(Atrovastatin), 플루바스타틴(Fluvastatin), 로바스타틴(Lovastatin),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 심바스타틴(simastatin), 프로스타글란틴 E2(PGE2, Prostaglandin E2), 신바로메틴(shinbarometin), 파이로포스페이트(pyrophosphate), 메드로네이트(medronate), 옥시드로네이트(oxidronate) 및 옥시스테롤(Oxyster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골 형성 촉진용 조성물
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골 형성 성장 인자는 1pg/ml 내지 3 mg/ml 농도로 포함되며, 상기 골 형성 화합물은 1ng/ml 내지 500mg/ml 농도로 포함되는 것인, 골 형성 촉진용 조성물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헤파린(Heparin), 헤파란설페이트(Heparansulfat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알지네이트(Alginate), 폴리아스파틱산[Poly(aspartic acid)], 폴리아크릴산 [Poly(acrylic acid)], 폴리글루타믹산[Poly(glutamic acid)],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젤라틴(Gelatin), 콜라젠(Collagen) 및 키토산(Chitosa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골 형성 촉진용 조성물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콜 작용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은 3,4-다이하이드록시페닐알라닌(L-3,4-dihydroxyphenylalanine), 도파민(Dopamine), 3,4-다이하이드록시벨질아민(3,4-dihydroxybenzylamine), 노르에피네피린(norepinephirine), 3,4-다이하이드록시벤즈알데히드(3,4-dihydroxybenzaldehyde), 3,4-다이하이드록시벤조익산(3,4-dihydroxybenzoic acid), 카페익산(Caffeic acid) 및 3,4-다이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3,4-Dihydroxyphenylacet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골 형성 촉진용 조성물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카테콜 작용기를 함유하는 화합물의 복합체는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아민그룹 또는 카르복시그룹의 작용기; 및카테콜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아민그룹, 카르복시그룹 또는 알데히드 작용기에서 선택된 작용기와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인, 골 형성 촉진용 조성물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보건복지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산학](4차년도)골절/골수염 부위 형태에 따른 환자 맞춤형 인공 지지체 개발
2 보건복지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보건의료연구개발사업 근골격계 연부조직 재생을 위한 지지체의 전임상 및 임상시험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