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항생제에 반응하는 다중약물 내성 박테리아의 Hfq-결합 sRNA 및 이의 용도(Hfq-binding sRNA on multidrug resistant bacterial response to antibiotics, and use thereof)

  • 기술번호 : KST2016009855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항생제에 반응하는 다중약물 내성(multidrug resistence; MDR) 박테리아의 Hfq-결합 sRNA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과발현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주요 항생제에 대하여 모든 Hfq-의존적 sRNAs를 위한 항생제 감수성을 스크리닝한 결과, 17개 sRNAs는 항생제 감수성 조절에 관여하고, 이들 중 9개는 항생제 효능을 감소시키거나 강력하게 하였으며, 상기 신규 sRNA에 의해 매개된 조절 경로 및 세팔로틴(cephalothin) 내성 다중약물을 식별하기 위한 바이오마커로서 sRNAs를 활용할 수 있음을 밝히고, 다중약물 내성 상태로 교란되지 않은 보존된 박테리아에 대한 레보플록사신(levofloxacin) 작용을 강력하게 함을 확인함으로써, 항생제 감수성 조절용 치료 물질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Int. CL C40B 40/06 (2006.01.01) G06F 19/00 (2018.01.01) A61K 31/7105 (2006.01.01) C12N 15/113 (2010.01.01)
CPC C40B 40/06(2013.01) C40B 40/06(2013.01) C40B 40/06(2013.01) C40B 40/0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40148202 (2014.10.29)
출원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6-0050314 (2016.05.1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취하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광선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김태연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원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 성지하이츠빌딩*차 ***호 (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4.10.29 수리 (Accepted) 1-1-2014-1040352-93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2.05 수리 (Accepted) 4-1-2015-0007152-0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MicF, OxyS, RseX, RybD, ChiX, CyaR, MicC, RyeB 및 Sgr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원핵생물 유래 sRNA(small regulatory RN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생제 감수성 조절제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RNA는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MicF, 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OxyS, 서열번호 3으로 기재되는 RseX, 서열번호 4로 기재되는 RybD, 서열번호 5로 기재되는 ChiX, 서열번호 6으로 기재되는 CyaR, 서열번호 7로 기재되는 MicC, 서열번호 8로 기재되는 RyeB 및 서열번호 9로 기재되는 Sgr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원핵생물 유래 sRNA(small regulatory RN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생제 감수성 조절제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icF는 원핵생물 유래 cptA, hsdS, rfaE, 및 zwf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항생제 감수성 조절제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yeB는 원핵생물 유래 dnaK, lpxL 및 tolC 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감수성 조절제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핵생물은 대장균, 리조비움(Rhizobium),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로도코커스(Rhodococcus), 칸디다(Candida), 에르위니아(Erwinia), 엔테로박터(Enterobacter), 파스테렐라(Pasteurella), 멘하이미아(Mannheimia), 액티노바실러스(Actinobacillus), 아그레가티박터(Aggregatibacter), 잔토모나스(Xanthomonas), 비브리오(Vibrio), 슈도모나스(Pseudomonas), 아조토박터(Azotobacter), 애시네토박터(Acinetobacter), 랄스토니아(Ralstonia), 아그로박테리움(Agrobacterium), 리조비움(Rhizobium), 로도박터(Rhodobacter), 자이모모나스(Zymomonas), 바실러스(Bacillus), 스테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락토코커스(Lactococcus),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코리네박테리움(Corynebacterium), 스트렙토마이세스(Streptomyces),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및 사이클로박테리움(Cyclobacterium)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감수성 조절제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icF는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계 항생제, 퀴놀론(Quinolones)계 항생제 또는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계 항생제의 감수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감수성 조절제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xyS 또는 Rsex는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계 항생제의 감수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감수성 조절제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ybD는 아미노글리코시드(aminoglycoside)계 항생제의 감수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감수성 조절제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hiX 또는 CyaR은 세팔로스포린(cephalosporin)계 및 퀴놀론(quinolones)계 항생제의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감수성 조절제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icC 또는 RyeB는 퀴놀론계 항생제의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감수성 조절제
11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grS는 카바페넴(carbapenem)계 및 퀴놀론계 항생제의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감수성 조절제
12 12
OxyS, RseX 및 MicF의 원핵생물 유래 sRNA 또는 이의 상보가닥 분자가 집적된 항생제 내성 원핵생물 확인용 마이크로어레이 칩
13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는 세팔로스포린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원핵생물 확인용 마이크로어레이 칩
14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OxyS, RseX 및 MicF는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의 감수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원핵생물 확인용 마이크로어레이 칩
15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RyeB는 퀴놀론계 항생제의 감수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생제 내성 원핵생물 확인용 마이크로어레이 칩
16 16
제12항의 마이크로어레이 칩을 포함하는 항생제 내성 원핵생물 확인용 키트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요사업(창의연구사업) 세균 다제내성 획득의 small RNA 역할 규명
2 기초기술연구회 미래창조과학부 KRIBB 전문 연구사업 슈퍼박테리아의 내성획득 기전 및 제어연구: Gram(-) 슈퍼박테리아 adjuvant target 발굴 및 combination antibacterial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