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무선 랜에서의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METHOD FOR OPPORTUNISTIC INTERFERENCE ALIGNMENT IN WIRELESS LAN)

  • 기술번호 : KST2016010831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무선 랜에서의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이 개시된다.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은 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와 피드백 참여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피드백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전송 벡터 공간을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전송 벡터 공간에 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벡터 공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본 서비스 셋에 속한 단말기에 의해 계산된 간섭 누출(leakage of interference, LIF)에 관한 정보를 제1 전송 기회(TXOP)동안 상기 단말기로부터 피드백으로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nt. CL H04B 17/345 (2014.01.01) H04B 17/24 (2014.01.01) H04B 15/02 (2006.01.01) H04W 24/08 (2009.01.01)
CPC H04B 17/345(2013.01) H04B 17/345(2013.01) H04B 17/345(2013.01) H04B 17/34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50162785 (2015.11.19)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6-0060585 (2016.05.3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40162560   |   2014.11.20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1.17)
심사청구항수 1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재승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2 김일규 대한민국 충청북도 옥천군
3 박재우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이유로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5 최지연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무한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역삼동,화물재단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5.11.19 수리 (Accepted) 1-1-2015-1131430-03
2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11.17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1232646-11
3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0.11.17 수리 (Accepted) 1-1-2020-1232647-5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에 있어서,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와 피드백 참여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피드백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에 관한 전송 벡터 공간을 랜덤하게 선택하는 단계;상기 전송 벡터 공간에 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상기 전송 벡터 공간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기본 서비스 셋에 속한 단말기에 의해 계산된 간섭 누출(leakage of interference, LIF)에 관한 정보를 제1 전송 기회(TXOP)동안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함께 상기 제1 기본 서비스 셋을 구성하고, 상기 피드백 참여 액세스 포인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함께 제2 기본 서비스 셋을 구성하고, 상기 제1 기본 서비스 셋과 상기 제2 기본 서비스 셋은 서로 간섭하고,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최초로 채널에 접근하여 상기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의 피드백 프로토콜 시퀀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피드백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후보 액세스 포인트와 제1 피드백 프레임 및 제2 피드백 프레임을 교환함으로써 상기 피드백 프로토콜 시퀀스를 보호하는 단계; 및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제2 피드백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를 상기 피드백 참여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피드백 그룹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제1 피드백 프레임은, 기회적 간섭 정렬 송신 요구 프레임(OIA-RTS frame)이고, 상기 제2 피드백 프레임은 기회적 간섭 정렬 송신 준비 완료 프레임(OIA-CTS fra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제2 피드백 프레임은,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의 기본 서비스 셋에 포함된 단말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송 벡터 공간에 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상기 피드백 그룹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 및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하는 단말기에 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및상기 전송 벡터 공간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
6 6
제5항에 있어서,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 및 상기 단말기에 관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리스트 및 상기 리스트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에 대응하는 단말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피드백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하고,상기 제1 전송 벡터 공간을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전송 벡터 공간을 포함하는 제4 피드백 프레임을 브로드캐스팅하고,상기 제3 피드백 프레임은, 기회적 간섭 정렬 NDPA 프레임(OIA null data packet announcement frame)이고, 상기 제4 피드백 프레임은 기회적 간섭 정렬 NDP 프레임(OIA null data packet fra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간섭 누출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최적 수신 벡터(optimal receiving vector), 신호 대 잡음비(SINR) 및 예상되는 간섭 누출의 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
8 8
제9항에 있어서,상기 간섭 누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제5 피드백 프레임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단말기로부터 제6 피드백 프레임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상기 제5 피드백 프레임은, 간섭 누출 피드백 폴 프레임(LIF feedback Poll Frame)이고, 상기 제6 피드백 프레임은 상기 간섭 누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간섭 누출 피드백 프레임(LIF feedback Fra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피드백 참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제2 기본 서비스 셋에 포함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기본 서비스 셋에 포함된 단말기에 의해 계산된 간섭 누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전송 기회 동안 완전히 수신하지 못한 경우, 제2 전송 기회를 획득하는 단계; 및상기 제2 전송 기회 동안 상기 피드백 참여 액세스 포인트에게 상기 제2 기본 서비스 셋에 포함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기본 서비스 셋에 포함된 단말기에 의해 계산된 간섭 누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기회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
10 10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에 있어서,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와 전송 참여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전송 참여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제1 기본 서비스 셋에 포함된 단말기 중에서 상기 단말기의 간섭 누출에 관한 피드백에 기초하여 가장 작은 간섭 영향을 가지는 제1 단말기를 선택하는 단계; 제1 전송 기회 동안 상기 전송 참여 액세스 포인트의 전송과 동시에 상기 제1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제1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함께 상기 제1 기본 서비스 셋을 구성하고, 상기 전송 참여 액세스 포인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기와 함께 제2 기본 서비스 셋을 구성하고, 상기 제1 기본 서비스 셋과 상기 제2 기본 서비스 셋은 서로 간섭하고,상기 마스터 액세스 포인트는, 최초로 채널에 접근하여 상기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의 전송 프로토콜 시퀀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
12 12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전송 참여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피드백 그룹에 포함된 액세스 포인트를 전송 참여 그룹의 후보 액세스 포인트로 설정하는 단계;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와 제1 전송 프레임 및 제2 전송 프레임을 교환함으로써 상기 전송 프로토콜 시퀀스를 보호하는 단계; 및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제2 전송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를 상기 전송 참여 액세스 포인트로서 상기 전송 참여 그룹에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제1 전송 프레임은, 기회적 간섭 정렬 송신 요구 프레임(OIA-RTS frame)이고, 상기 제2 전송 프레임은 기회적 간섭 정렬 송신 준비 완료 프레임(OIA-CTS fra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제1 피드백 프레임은, 상기 후보 액세스 포인트가 참조할 예상 데이터 전송 시간(expected data transmission dura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
14 14
제10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전송 시간(transmission duration)을 설정하는 단계;상기 전송 참여 액세스 포인트로 상기 전송 시간을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전송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전송 참여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전송 참여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선택된 제2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
15 15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전송 시간을 상기 전송 참여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 시간을 포함하는 제3 전송 프레임을 상기 전송 참여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고,상기 제3 전송 프레임은, 기회적 간섭 정렬 동기화 프레임(OIA synch fra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
16 16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제1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을 확인하는 단계는,상기 제1 기본 서비스 셋에 속한 단말기와 제4 전송 프레임 및 제5 전송 프레임을 교환함으로써 상기 제1 기본 서비스 셋에 속한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제4 전송 프레임은 BAR 프레임(Block Acknowledgement Request frame)이고, 상기 제5 전송 프레임은 BA 프레임(Block Acknowledgement fra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
17 17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전송 참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할 추가적인 데이터가 있고 상기 전송 참여 그룹의 상기 제1 전송 기회가 부족하고 전송 참여 그룹이 변경된 경우, 채널에 액세스함으로써 제2 전송 기회를 획득하는 단계; 및상기 제2 전송 기회 동안에 상기 제1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
18 18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전송 참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할 추가적인 데이터가 있고 상기 전송 참여 그룹의 상기 제1 전송 기회가 부족하고 전송 참여 그룹이 유지되는 경우, 채널에 액세스함으로써 제2 전송 기회를 획득하는 단계; 및상기 전송 참여 액세스 포인트와 제6 전송 프레임 및 제7 전송 프레임을 교환하거나 복수의 제8 전송 프레임 및 복수의 제9 전송 프레임을 교환함으로써 상기 전송 프로토콜 시퀀스를 보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6 전송 프레임은 mRTS(Multichannel RTS) 프레임이고, 상기 제7 전송 프레임은 mCTS(Multichannel CTS) 프레임이고, 상기 제8 전송 프레임은 송신 요구 프레임(RTS frame)이고, 상기 제9 전송 프레임은 송신 준비 완료 프레임(CTS fram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회적 간섭 정렬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ETRI연구개발지원사업 전파간섭 극복 기반 근거리 무선전송(Post-Wifi) 핵심 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