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분산 어레이 매시브 MIMO 시스템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distributed-array massive mimo system)

  • 기술번호 : KST2016011026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단말에로부터 기지국과 연결된 복수의 어레이로 향하는 상향링크의 공간 공분산 매트릭스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할 송신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Int. CL H04B 7/06 (2017.01.01) H04B 7/0413 (2017.01.01)
CPC H04B 7/0602(2013.01) H04B 7/0602(2013.01) H04B 7/060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50165736 (2015.11.25)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6-0062731 (2016.06.0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40165654   |   2014.11.25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10.19)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성락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팬코리아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길 **, 역삼***빌딩 (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5.11.25 수리 (Accepted) 1-1-2015-1152253-54
2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0.10.19 수리 (Accepted) 1-1-2020-1099900-7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신호 송신 장치로서,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메모리, 그리고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하향링크에 대해 가역성이 보장되는, 단말로부터 상기 신호 송신 장치와 연결된 복수의 어레이로 향하는 상향링크의 공간 공분산 매트릭스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될 송신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고,상기 복수의 어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안테나를 각각 포함하는, 신호 송신 장치
2 2
제1항에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상기 단말로 전송할 파일럿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공간 공분산 매트릭스를 추정하는 단계,추정된 공간 공분산 매트릭스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 인덱스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신호 송신 장치
3 3
제2항에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상기 공간 공분산 매트릭스에 대해 고유-분해를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상기 고유-분해의 결과와, 상기 복수의 어레이로부터 상기 단말로 향하는 하향링크의 채널의 품질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선택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신호 송신 장치
4 4
제1항에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송신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블라인드 빔형성(Blind Beam-Forming, BBF) 방법을 바탕으로 상기 송신 빔을 형성하는, 신호 송신 장치
5 5
제4항에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BBF 방법을 바탕으로 상기 송신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상기 공간 공분산 매트릭스에 대해 고유-분해를 수행하는 단계,상기 고유-분해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중치 벡터를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상기 가중치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BBF 방법을 바탕으로 상기 송신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신호 송신 장치
6 6
제5항에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가중치 벡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상기 고유 분해의 결과인, 상기 공간 공분산 매트릭스의 최대 고유벡터 및 최대 고유값을 바탕으로 상기 가중치 벡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신호 송신 장치
7 7
제5항에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가중치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BBF 방법을 바탕으로 상기 송신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다른 단말에 대한 간섭량 및 송신전력 계수를 고려하여 상기 송신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신호 송신 장치
8 8
제1항에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상기 송신 빔을 RF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링크를 통해 상기 RF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신호 송신 장치
9 9
신호 송신 방법으로서,하향링크에 대해 가역성이 보장되는, 단말로부터 상기 신호 송신 장치와 연결된 복수의 어레이로 향하는 상향링크의 공간 공분산 매트릭스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를 통해 상기 단말로 전송할 송신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어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안테나를 각각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10 10
제9항에서,상기 선택하는 단계는,상기 단말로 전송할 파일럿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공간 공분산 매트릭스를 추정하는 단계,추정된 공간 공분산 매트릭스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선택 인덱스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11 11
제10항에서,상기 선택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는,상기 공간 공분산 매트릭스에 대해 고유-분해를 수행하는 단계, 그리고상기 고유-분해의 결과와, 상기 복수의 어레이로부터 상기 단말로 향하는 하향링크의 채널의 품질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선택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12 12
제9항에서,상기 송신 빔을 형성하는 단계는,블라인드 빔형성(Blind Beam-Forming, BBF) 방법을 바탕으로 상기 송신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13 13
제12항에서,상기 BBF 방법을 바탕으로 상기 송신 빔을 형성하는 단계는,상기 공간 공분산 매트릭스에 대해 고유-분해를 수행하는 단계,상기 고유-분해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중치 벡터를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상기 가중치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BBF 방법을 바탕으로 상기 송신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14 14
제13항에서,상기 가중치 벡터를 계산하는 단계는,상기 고유 분해의 결과인, 상기 공간 공분산 매트릭스의 최대 고유벡터 및 최대 고유값을 바탕으로 상기 가중치 벡터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15 15
제13항에서,상기 가중치 벡터를 이용하여 상기 BBF 방법을 바탕으로 상기 송신 빔을 형성하는 단계는, 다른 단말에 대한 간섭량 및 송신전력 계수를 고려하여 상기 송신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16 16
제9항에서,상기 송신 빔을 RF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그리고링크를 통해 상기 RF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호 송신 방법
17 17
신호 수신 장치로서,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메모리, 그리고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단말에서 상기 신호 수신 장치와 연결된 복수의 어레이로 향하는 상향링크의 채널에 대해 추정된 채널 벡터를 바탕으로, 상기 복수의 어레이 중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를 선택하는 단계, 그리고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를 통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신호를 바탕으로 수신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고,상기 복수의 어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안테나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장치
18 18
제17항에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상기 추정된 채널 벡터 및 상기 상향링크의 채널의 품질 임계값을 비교하여 선택 인덱스를 결정하는 단계, 그리고상기 선택 인덱스를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어레이를 선택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신호 수신 장치
19 19
제17항에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최대비결합(maximal ratio combining, MRC) 방법을 바탕으로 상기 수신 빔을 형성하는, 신호 수신 장치
20 20
제19항에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MRC 방법을 바탕으로 상기 수신 빔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빔형성 가중치 벡터 및 수신전력 계수를 이용하여 상기 MRC 방법을 바탕으로 상기 수신 빔을 형성하는, 신호 수신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09608701 US 미국 FAMILY
2 US20160191124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2016191124 US 미국 DOCDBFAMILY
2 US9608701 US 미국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통합과제 초연결 스마트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5G 이동통신 핵심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