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유무기 복합 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전극-전해질 접합체 및 리튬이차전지, 및 상기 전극-전해질 접합체의 제조방법(Organic/inorganic composite electrolyte, electrode-electrolyte assembl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ectrode-electrolyte assembly)

  • 기술번호 : KST2016011659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유무기 복합 전해질, 이를 포함하는 전극-전해질 접합체 및 리튬이차전지, 및 상기 전극-전해질 접합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유무기 복합 전해질은 다공성 유무기 복합 전해질로서, 전체 기공분포도에서 기공 크기 100nm 내지 300nm 범위에 제1 기공 피크가 존재하고, 기공 크기 100nm 내지 300nm 범위의 기공이 차지하는 부피비율이 전체 기공 부피의 50% 이상이다. 상기 유무기 복합 전해질은 기공형성제를 이용하여 기공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무기 복합 전해질은 폴리올레핀계 분리막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리튬 이온 전도성을 갖는 무기계 입자를 사용함으로써, 유기전해액의 함량을 줄이면서도 높은 이온전도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유무기 복합 전해질을 리튬이차전지에 적용함으로써, 리튬이차전지의 사이클 특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t. CL H01M 10/056 (2010.01.01) H01M 10/0562 (2010.01.01) H01M 10/0565 (2010.01.01) H01M 10/052 (2010.01.01)
CPC H01M 10/056(2013.01) H01M 10/056(2013.01) H01M 10/056(2013.01) H01M 10/056(2013.01) H01M 10/05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40174261 (2014.12.05)
출원인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6-0068464 (2016.06.1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0.10)
심사청구항수 1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만석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2 신우철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3 김덕현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4 김문성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5 이정혜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6 김동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7 정윤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8 김슬기 대한민국 경기도 의왕시 모락로 ***-**,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리앤목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 강남구 언주로 **길 **, *층, **층, **층, **층(도곡동, 대림아크로텔)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4.12.05 수리 (Accepted) 1-1-2014-1187941-22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5.02.16 수리 (Accepted) 4-1-2015-5022074-70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05 수리 (Accepted) 4-1-2019-5155816-75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06 수리 (Accepted) 4-1-2019-5156285-09
5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9.10.10 수리 (Accepted) 1-1-2019-1033395-6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다공성 유무기 복합 전해질로서, 전체 기공분포도에서 기공 크기 100nm 내지 300nm 범위에 제1 기공 피크가 존재하고, 기공 크기 100nm 내지 300nm 범위의 기공이 차지하는 부피비율이 전체 기공 부피의 50% 이상인 유무기 복합 전해질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무기 복합 전해질은 전체 기공분포도에서 기공 크기 1000nm 내지 2000nm 범위에서 제2 기공 피크가 더 존재하는 유무기 복합 전해질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기공 크기 1000nm 내지 2000nm 범위의 기공이 차지하는 부피비율이 전체 기공 부피의 5 내지 20 %인 유무기 복합 전해질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유무기 복합 전해질은, 다공성의 유기계 매트릭스; 및 상기 유기계 매트릭스 내에 임베디드되어 분산된, 리튬 이온 전도성의 무기계 입자;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 유무기 복합 전해질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유기계 매트릭스는 젤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전해질
6 6
제4항에 있어서,상기 유기계 매트릭스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VdF-HFP 공중합체(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PVdF-TFE 공중합체(polyvinylidene fluoride-tetrafluoroethylene), PVdF-CTFE 공중합체(polyvinylidene fluoride-chlorotrifluoroethylene), PVdF-PFA 공중합체(polyvinylidene fluoride-perfluorovinylether), PAN(polyacrylonitril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PEO(poly(ethylene oxide)), PPO(polypropylene oxide), PVC(polyvinyl chloride), PVA(polyvinyl alcohol), PVAc(polyvinyl acetate), PVN (poly vinylnaphthalene), 폴리에스테르 설파이드(polyester sulfide), 폴리부타디엔(polybutadiene),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전해질
7 7
제4항에 있어서,상기 무기계 입자는 리튬 이온 전도성을 갖는 산화물계, 인산염계, 황화물계, 및 LiPON계 무기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전해질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계 무기물은 Li3xLa2/(3-x)TiO3(0003c#X≤2) 및 Li7-yLa3-xAxZr2-yMyO12(여기서, A는 Y, Nd, Sm 또는 Gd이고, M는 Nb 또는 Ta이고, 0≤x<3, 0≤y<2 이다) 중 적어도 하나로 표시되는 단일 성분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무기물이고; 상기 인산염계 무기물은 Li1+x+y(Al,Ga)x(Ti,Ge)2-xSiyP3-yO12 (여기서, 0≤x≤1, 0≤y≤l이다)로 표시되는 단일 성분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무기물이고;상기 황화물계 무기물은 Li2S, Li2S-P2S5, Li2S-SiS2, Li2S-GeS2, Li2S-B2S5, 및 Li2S-Al2S5 중 1종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무기물이고;상기 LiPON계 무기물은 Li3-yPO4-xNx (여기서, 0003c#y003c#3, 0003c#x003c#4)로 표시되는 단일 성분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무기물인 유무기 복합 전해질
9 9
제4항에 있어서,상기 유기계 매트릭스 및 상기 무기계 입자는 50:50 내지 1:99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유무기 복합 전해질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무기 복합 전해질 내에 함침된 액체 전해질을 더 포함하는 유무기 복합 전해질
11 11
전극; 및상기 전극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무기 복합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해질 층;을 포함하는 전극-전해질 접합체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층의 두께가 1μm 내지 200μm인 전극-전해질 접합체
13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및 상기 전해질 층의 두께비가 100:1 내지 100:1000인 전극-전해질 접합체
14 14
제11항에 따른 전극-전해질 접합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15 15
리튬 이온 전도성의 무기계 입자, 젤 고분자 전해질용 고분자, 기공형성제 및 제1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전해질 슬러리를 준비하는 단계;상기 전해질 슬러리를 전극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유무기 복합 전해질 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제2 유기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유무기 복합 전해질 층으로부터 상기 기공형성제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전해질 접합체의 제조방법
16 16
제11항에 있어서,상기 기공형성제로는 디부틸프탈레이트(dibuthyl phthalate, DBP),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DOP),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극-전해질 접합체의 제조방법
17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기 용매는 아세톤(acetone), THF(tetrahydrofuran), DMF(dimethylformamide), DMSO(dimethylsulfoxide), DMAc(dimethylacetamide), 및 NMP(N-methyl pyrrolidone)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극-전해질 접합체의 제조방법
18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기 용매로는 예를 들어,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헥산(hexane), 헵탄(heptane), 및 옥탄(octane),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극-전해질 접합체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10637097 US 미국 FAMILY
2 US20160164138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10637097 US 미국 DOCDBFAMILY
2 US2016164138 US 미국 DOCDBFAMILY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