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합성된 고분자와 올레핀계 탄화수소 고분자의 가교 결합된 공중합체 제조방법(Method for synthesizing cross-linked copolymer of olefin hydrocarbon polymer and polymer prepared using carbon dioxide as raw material)

  • 기술번호 : KST2016017430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공중합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폭사이드 화합물과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합성된 고분자와 올레핀계 탄화수소 고분자의 가교 결합된 공중합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황반응 또는 클릭화학반응으로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합성된 고분자 및 올레핀계 탄화수소 고분자의 공중합체 제조방법은 짧은 시간내에 순도 높은 고분자를 합성할 수 있으며,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신장률(elongation), 인열강도(tear strength) 및 내열성(Heat Resistance)이 향상된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친환경 저비용의 고부가가치 고분자를 합성할 수 있다.
Int. CL C08G 64/34 (2006.01) C08F 283/01 (2006.01) C08J 3/24 (2006.01)
CPC C08J 3/24(2013.01) C08J 3/24(2013.01) C08J 3/24(2013.01) C08J 3/2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50041579 (2015.03.25)
출원인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674800-0000 (2016.11.03)
공개번호/일자 10-2016-0114987 (2016.10.0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61109)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5.03.25)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윤성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2 김남석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3 수다카르 파드마나반 인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4 박용해 중국 대한민국 세종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문환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 *층(두리암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5.03.25 수리 (Accepted) 1-1-2015-0292603-57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5.11.11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6.01.0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16-0017129-48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6.02.1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6-0129188-02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6.03.14 수리 (Accepted) 4-1-2016-5032192-73
6 [지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Designated Period Extension] Application of Period Extension(Reduction, Progress relief)
2016.04.15 수리 (Accepted) 1-1-2016-0359678-09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6.06.16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6-0580520-23
8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6.06.16 수리 (Accepted) 1-1-2016-0580548-01
9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6.10.3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6-0780649-9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합성된 고분자와 올레핀계 탄화수소 고분자의 가교 결합된 공중합체 제조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공중합 촉매 존재 하에 에폭사이드 화합물과 이산화탄소를 공중합하여 삼원 중합체를 합성하는 단계;상기 합성된 삼원 중합체를 정제하는 단계;상기 정제된 삼원 중합체에 올레핀계 탄화수소 고분자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상기 혼합물의 상기 삼원 중합체와 상기 올레핀계 탄화수소 고분자 사이에 가교가 형성되도록, 가황반응 또는 클릭화학반응으로 공중합체를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상기 에폭사이드 화합물은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1 종 이상의 올레핀 에폭사이드 또는 (C2-20) 알킬렌옥사이드와 올레핀 에폭사이드의 혼합물인, 제조방법
2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공중합 촉매는 금속-디카복실레이트계 화합물의 불균일 촉매이고,상기 디카복실레이트계 화합물은 옥살레이트(oxalate), 말로네이트(malonate), 숙시네이트(succinate), 글루타레이트(glutarate), 아디페이트(adipate) 및 피멜레이트(pime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지방족 디카복실레이트; 또는 테레프탈레이트(terephthalate), 이소프탈레이트(isopthalate) 및 호모프탈레이트(homophtha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향족 디카복실레이트이며,상기 금속은 아연(Zn), 티타늄(Ti), 바나듐(V), 크롬(Cr), 망간(Mn), 철(Fe), 코발트(Co), 니켈(Ni) 및 구리(Cu)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제조방법
3 3
삭제
4 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올레핀 에폭사이드는 알릴 글리시딜 에테르(Allyl glycidyl ether), 2-바이닐옥시란(2-vinyloxirane), 2-메틸-3-바이닐옥시란(2-methyl-3-vinyloxirane), 2-메틸-2-바이닐옥시란(2-methyl-2-vinyloxirane), 2,3-다이메틸-2-바이닐옥시란(2,3-dimethyl-2-vinyloxirane), 2-알릴옥시란(2-allyloxirane), 2-알릴-3-메틸옥시란(2-allyl-3-methyloxirane), 2-알릴-2-메틸옥시란(2-allyl-2-methyloxirane), 2-알릴-2,3-디메틸옥시란(2-allyl-2,3-dimethyloxirane), 2-(부트-3-엔-2일)옥시란(2-(but-3-en-2-yl)oxirane), 2-(부트-3-엔-2-일)-3-메틸옥시란( 2-(but-3-en-2-yl)-3-methyloxirane), 2-(부트-3-엔-1-일)옥시란( 2-(but-3-en-1-yl)oxirane), 2-(부트-3-엔-1-일)-3-메틸옥시란( 2-(but-3-en-1-yl)-3-methyloxirane), 2-(부트-3-엔-1-일)-2-메틸옥시란(2-(but-3-en-1-yl)-2-methyloxirane), 2-(부트-3-엔-1-일)-2,3-다이메틸옥시란( 2-(but-3-en-1-yl)-2,3-dimethyloxirane), 2-(펜트-4-엔-2-일)옥시란(2-(pent-4-en-2-yl)oxirane), 2-메틸-3-(펜트-4-엔-2-일)옥시란(2-methyl-3-(pent-4-en-2-yl)oxirane), 2-(2-메틸부트-3-엔-1-일)옥시란( 2-(2-methylbut-3-en-1-yl)oxirane), 2-메틸-3-(2-메틸부트-3-엔-1-일)옥시란(2-methyl-3-(2-methylbut-3-en-1-yl)oxirane), (E)-2-(부타-1,3-다이엔-1-일)옥시란((E)-2-(buta-1,3-dien-1-yl)oxirane) 및 (E)-2-(부타-1,3-다이엔-1-일)-3-메틸옥시란((E)-2-(buta-1,3-dien-1-yl)-3-methyloxir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조방법
5 5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올레핀계 탄화수소 고분자는 다이엔계 고무, 아크릴계 고무 및 올레핀계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제조방법
6 6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가황반응은 삼원 중합체 및 올레핀계 탄화수소 고분자 혼합물에 가황제, 가황촉진제 및 가황촉진조제를 첨가하고 100℃ 내지 200℃ 온도에서 10분 내지 48시간 동안 고상법으로 수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7 7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가황제는 황(elemental sulfur), 4,4'-다이티오다이모포린(4,4' - dithiodimorpholinr;vulnoc R), 알킬페논 다이설파이드(Alkylphenon disulfide;VUltac), N,N'-다이티오-비스-(헥사하이드로-2수소-아제피논-2(N,N'-dithio-bis-(hexahydro-2H-azepinone-2;Rhenocure S), 테트라메틸-티우람 다이설파이드(Tetramethyl-thiuram disulfide;TMTD), 테트라에틸-티우람 다이설파이드(Tetraethyl-thiuram disulfide;TETD), 및 테트라부틸-티우람 다이설파이드(Tetrabutyl-thiuram disulfide;TBTD)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며,상기 가황제는 삼원 중합체의 이중결합 당량에 대해 0
8 8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가황 촉진제는 2-멀캅토벤조티아졸(2-Mercaptobenzothiazole), 2,2,-다이티오비스벤조티아졸(2,2-Dithiobisbenzothiazole), N-사이클로헥실벤토티아졸-2-술펜아미드(N-Cyclohexylbenzothiazole-2-sulfenamide), N-t-뷰틸로벤조티아졸-2-술펜아미드(N-t-butylobenzothiazole-2-sulfenamide), 2-모르폴리노티오벤조티아졸(2-Morpholinothiobenzothiazole), N-디시클로헥실벤조티아졸-2-술펜아미드(N-Dicyclohexylbenzothiazole-2-sulfenamide), 테트라메틸티우람 모노설파이드(Tetramethylthiuram monosulfide), 테트라메틸티우람 다이설파이드(Tetramethylthiuram disulfide), 다이페닐구아니딘(Diphenylguanidine) 및 다이-오르소-톨릴구아니딘(Di-o-tolylguanid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제조방법
9 9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가황 촉진조제는 산화아연(Zinc oxide), 활성 산화아연(activated Zinc oxide), 산화 마그네슘(Magnesium Oxide), 리사아지(일산화연;litharge), 산화납 (Lead(II,IV) oxide), 탄산아연(Zinc(II) Carbonate), 수산화칼슘(Calcium Hydroxide), 스테아린산(Stearin acid), 올레산(Oleic acid) 또는 라우르산(Lauric Acid)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제조방법
10 10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클릭화학반응은 싸이올-엔(thiol-ene) 반응으로 삼원 중합체 및 올레핀계 탄화수소 고분자 혼합물에 폴리 싸이올 화합물을 첨가하고, 개시제 첨가에 의해 반응이 시작되고, -20℃ 내지 100℃ 온도에서 10분 내지 48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11 11
제 10 항에 있어서,상기 폴리 싸이올 화합물은 메탄다이싸이올(methanedithiol), 에탄-1,2-다이싸이올(ethane-1,2-dithiol), 프로판-1,3-다이싸이올(propane-1,3-dithiol), 부탄-1,4-다이싸이올(propane-1,4-dithiol), 펜탄-1,5-다이싸이올(pentane-1,5-dithiol),헥산-1,6-다이싸이올(hexane-1,6-dithiol), 옥탄-1,8-다이싸이올(octane-1,8-dithiol), 에탄-1,1-다이싸이올(ethane-1,1-dithiol), 프로판-1,1-다이싸이올(ethane-1,1-dithiol), 부탄-1,1-다이싸이올(ethane-1,1-dithiol), 펜탄-1,1-다이싸이올(ethane-1,1-dithiol), 헥산-1,1-다이싸이올(ethane-1,1-dithiol), 옥탄-1,1-다이싸이올(ethane-1,1-dithiol), 프로판-1,2-다이싸이올(propane-1,2-dithiol), 에탄-1,1,2-트리싸이올(ethane-1,1,2-trithiol), 프로판-1,1,3-트리싸이올(propane-1,1,3-trithiol), 프로판-1,2,3-트리싸이올(propane-1,2,3-trithiol), 2,3-다이머캅토-1-프로판올(2,3-dimercapto-1-propanol), 다이싸이오에리트리톨(dithioerythritol), 3,6-다이옥사-1,8-옥탄다이싸이올(3,6-dioxa-1,8-octandithiol), 다이싸이오다이글라이콜(dithioldiglycol), 2-메틸-1,4-부탄다이싸이올(2-methyl-1,4-butandithiol), 1-페닐프로판-1,1-다이싸이올(1-phenylpropane-1,1-dithiol), 글라이콜다이머캅토아세테이트(glycoldimercaptoacetate), 2-(1,2-다이메틸사이클로헥실)에탄-1,1-다이싸이올(2-(1,2-dimethylcyclohexyl)ethane-1,1-dithiol) 및 사이클로헥산-1,1-다이일다이메탄다이싸이올(cyclohexane-1,1-diyldimethanedithiol)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상기 폴리 싸이올 화합물은 삼원 중합체의 이중결합 당량에 대해 0
12 12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개시제는 광개시제, 열 활성화 개시제, 레독스(redox) 개시제, 이온성 개시제 및 자유라디칼 개시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제조방법
13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공중합촉매를 재사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orea CCS 2020 사업 CO2 수소화반응에 의한 포름산 및 포름산 유도체 생산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