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리튬 이차 전지용 인산염계 양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Phosphat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기술번호 : KST2016018253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용 인산염계 양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사정계 Li3V2(PO4)3에 철 및 티타늄이 코-도핑(co-doping)된 Li3V2-2xFexTix(PO4)3(x≥0.015)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Li3V2(PO4)3에 철(Fe) 및 티타늄(Ti)을 코-도핑(co-doping)하여 Li3V2-2xFexTix(PO4)3를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로 적용하여 리튬 이차 전지의 방전용량을 증가, 고출력 특성, 사이클 특성과 같은 제반 전기화학적 특성이 향상되어 저가, 고안전성, 고용량, 장수명 이차전지를 제조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t. CL H01M 10/052 (2010.01) H01M 4/525 (2010.01) H01M 4/62 (2006.01) H01M 4/58 (2015.01)
CPC H01M 4/5825(2013.01) H01M 4/5825(2013.01) H01M 4/5825(2013.01) H01M 4/5825(2013.01) H01M 4/5825(2013.01) H01M 4/5825(2013.01) H01M 4/5825(2013.01) H01M 4/5825(2013.01) H01M 4/582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50051537 (2015.04.13)
출원인 한국전기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6-0121833 (2016.10.2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3.26)
심사청구항수 1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기연구원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진봉수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2 김현수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3 정민찬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부경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연제구 법원남로**번길 **, *층 (거제동, 대한타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5.04.13 수리 (Accepted) 1-1-2015-0355625-62
2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20.03.26 수리 (Accepted) 1-1-2020-0316637-1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에 있어서,단사정계 Li3V2(PO4)3에 철 및 티타늄이 코-도핑(co-doping)된 Li3V2-2xFexTix(PO4)3(x≥0
2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Li3V2-2xFexTix(PO4)3는 카본소재(Carbon material)와 혼합된 Li3V2-2xFexTix(PO4)3/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3 3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카본소재는,활성탄(Activated carbon), 그라파이트(Graphite), 그래핀(Graphene), 소프트카본(Soft carbon), 하드카본(Hard carbon), 카본블랙(Carbon black),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CNT), 탄소나노섬유(Carbon nano fiber, CNF), 변형탄소(Modified carbon), 탄소복합소재(Carbon composite)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4 4
제 1항에 있어서,상기 Li3V2(PO4)3는 산화바나듐(Vanadium oxide, V2O3), 옥살산(Oxalic acid, C2H2O4), 탄산리튬(Lithium carbonate, Li2CO3) 및 인산암모늄(Ammonium phosphate, NH4H2PO4)을 혼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5 5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철은 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TiO2)을, 상기 티타늄은 질산철(Iron nitrate, Fe(NO3)3)을 이용하여 코-도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6 6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제조방법에 있어서,단사정계 Li3V2(PO4)3를 준비하는 단계와;상기 Li3V2(PO4)3에 철 및 티타늄을 졸-겔(Sol-gel) 방법을 통해 코-도핑(co-doping)하여 Li3V2-2xFexTix(PO4)3(x≥0
7 7
제 6항에 있어서,상기 단사정계 Li3V2(PO4)3를 준비하는 단계는,산화바나듐(Vanadium oxide, V2O3) 및 옥살산(Oxalic acid, C2H2O4)을 증류수 또는 물에 용해시켜 교반하는 단계와;탄산리튬(Lithium carbonate, Li2CO3) 및 인산암모늄(Ammonium phosphate, NH4H2PO4)을 혼합 및 교반하여 Li3V2(PO4)3 혼합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제조방법
8 8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철 및 티타늄을 코-도핑하는 단계는,상기 혼합용액에 질산철(Iron nitrate, Fe(NO3)3) 및 산화티타늄(Titanium dioxide, TiO2)을 혼합 및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제조방법
9 9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철 및 티타늄을 코-도핑하는 단계 이후에,카본소재(Carbon material) 용액을 혼합 및 교반하는 단계와;상기 용액을 건조시켜 Li3V2-2xFexTix(PO4)3/C 전구체를 형성하는 단계와;상기 Li3V2-2xFexTix(PO4)3/C 전구체를 열처리하여 Li3V2-2xFexTix(PO4)3/C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제조방법
10 10
제 9항에 있어서,상기 Li3V2-2xFexTix(PO4)3/C를 형성하는 단계는,아르곤(Ar) 분위기에서 300 내지 800℃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전기연구원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 고전압 복합전이금속 인산염계 양극활물질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