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탄소/금속/고분자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신축성/고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METHOD OF FABRICATING CARBON/METAL/POLYMER NANOCOMPOSITES AND METHOD OF FABRICATING HIGHLY STRETCHABLE/HIGHLY CONDUCTIVE FILM COMPRISING THE NANOCOMPOSITES)

  • 기술번호 : KST2016018594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탄소/금속/고분자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고신축성/고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금속/고분자 나노복합체 제조방법은, 양친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용매 내에 탄소 나노재료 및 금속 나노재료를 각각 첨가하여 탄소 나노재료 수용액 및 금속 나노재료 수용액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 나노재료 수용액 및 상기 탄소 나노재료 수용액을 혼합한 다음, 상기 혼합된 수용액에 폴리우레탄 수용액을 첨가하는 것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양친성 고분자를 이용하는 수계 공정을 통해 탄소/금속/고분자 나노복합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공정의 간소화 및 제조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으며, 상온·상압에서도 안정적으로 상기 탄소/금속/고분자 나노복합체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필름을 제조할 수 있어, 관련 분야에 적극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탄소/금속/고분자 나노복합체를 포함하여 제조된 필름은 고신축성 및 고전도성 성능을 나타내고 있어, 유연/연성/신축 전극용 소재로의 응용을 기대할 수 있다.
Int. CL C08J 3/20 (2006.01) C08K 3/08 (2006.01) C08K 3/04 (2006.01) C08J 5/18 (2006.01)
CPC C08K 3/041(2013.01) C08K 3/041(2013.01) C08K 3/041(2013.01) C08K 3/041(2013.01) C08K 3/041(2013.01) C08K 3/041(2013.01) C08K 3/041(2013.01) C08K 3/041(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50055649 (2015.04.21)
출원인 광주과학기술원, 한국화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6-0125035 (2016.10.3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광주과학기술원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2 한국화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함문호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2 기한길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3 정선호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최영민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5 조예진 대한민국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5.04.21 수리 (Accepted) 1-1-2015-0384573-55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5.05.11 수리 (Accepted) 1-1-2015-0447636-44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9.14 수리 (Accepted) 4-1-2017-5149265-52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9.14 수리 (Accepted) 4-1-2017-5149242-1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양친성(amphiphilic) 고분자를 포함하는 용매 내에,탄소 나노재료 및 금속 나노재료를 각각 첨가하여 탄소 나노재료 수용액 및 금속 나노재료 수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탄소 나노재료 수용액 및 상기 금속 나노재료 수용액을 혼합한 후, 폴리우레탄 수용액을 첨가하여 탄소/금속/고분자 나노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금속/고분자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양친성 고분자는 친수성 작용기를 갖는 탄화수소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금속/고분자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3 3
제2항에 있어서,상기 친수성 작용기는 아크릴산(acrylic acid), 카보닐기(carbonyl), 술폰산기(sulfonic acid)) 및 인산기(phosphate)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금속/고분자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용매에 포함된 상기 양친성 고분자의 농도는 0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소 나노재료는,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금속/고분자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소 나노재료 수용액은,교반(stirring), 중탕 초음파(bath sonication), 팁 초음파(tip sonication)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금속/고분자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소 나노재료 수용액에 포함된 상기 탄소 나노재료의 농도는 0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 나노재료는,금(Au), 백금(Pt), 은(Ag),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및 텅스텐(W)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금속/고분자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 나노재료 수용액은,교반(stirring), 중탕 초음파(bath sonication), 팁 초음파(tip sonication)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금속/고분자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금속 나노재료 수용액에 포함된 상기 금속 나노재료의 농도는 1mg/ml 내지 300m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금속/고분자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11 11
제1항에 있어서,상기 폴리우레탄 수용액에 포함된 상기 폴리우레탄의 농도는 0
12 12
제1항에 있어서,상기 폴리우레탄 수용액 첨가시 0
13 13
기판 상에,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의해 제조된 탄소/금속/고분자 나노복합체를 배치하는 단계; 및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탄소/금속/고분자 나노복합체를 건조시켜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축성/고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14 14
제13항에 있어서,상기 기판 상에 상기 탄소/금속/고분자 나노복합체를 배치하는 단계는,진공여과법(vacuum filteration), 스프레이 코팅법(spray coating), 침지법(dipping), 스핀코팅법(spin coating), 바코팅법(bar coating), 잉크젯 프린팅법(ink-jet printing) 및 그라비어 프린팅법(gravure printing)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신축성/고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광주과학기술원 일반연구자지원사업(신진) 탄소나노소재 기반 3차원 전극 구조의 나노 제어 및초고용량 슈퍼커패시터 응용
2 미래창조과학부 (재)하이브리드인터페이스기반미래소재연구단 글로벌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 인공 두뇌급 고성능 소자 구현을 위한 3D 집적 반도체소재 원천기술 개발
3 미래창조과학부 한국화학연구원 기관고유사업 3D 프린팅 기반 미래 소자용 플랫폼 소재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