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보안 키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ecret key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기술번호 : KST2016019379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무선 채널의 상반성(reciprocity)을 이용하여 랜덤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 랜덤 시퀀스를 바탕으로 보안 통신을 위한 보안 키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무선 채널의 측정 결과로부터 측정된 평탄도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보안 키의 생성을 중단하는 단계를 통해 보안 키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Int. CL H04L 9/08 (2006.01)
CPC H04L 9/0838(2013.01) H04L 9/0838(2013.01) H04L 9/0838(2013.01) H04L 9/083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057231 (2016.05.10)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6-0132777 (2016.11.2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50065133   |   2015.05.11
대한민국  |   1020150129291   |   2015.09.11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곽병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하정석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임상훈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4 윤상석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동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팬코리아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길 **, 역삼***빌딩 (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5.10 수리 (Accepted) 1-1-2016-0446384-00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4.24 수리 (Accepted) 4-1-2019-5081392-49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보안 통신을 위한 보안 키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무선 채널의 상반성(reciprocity)을 이용하여 랜덤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랜덤 시퀀스를 바탕으로 상기 보안 키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상기 무선 채널의 측정 결과로부터 측정된 평탄도를 바탕으로 상기 무선 채널이 평탄한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보안 키의 생성을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키 생성 방법
2 2
제1항에서,상기 랜덤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는,수신된 수신 신호의 세기 지시자를 양자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키 생성 방법
3 3
제2항에서,상기 수신 신호는, 수신된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또는 송신된 프로브 요청에 대해 수신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인, 보안 키 생성 방법
4 4
제2항에서,상기 수신 신호는,수신된 송신 요청(request to send, RTS) 메시지 또는 송신된 송신 요청 메시지에 대해 수신된 송신 확인(clear to send, CTS) 메시지인, 보안 키 생성 방법
5 5
제1항에서,상기 랜덤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는,상기 무선 채널에 대한 임펄스 응답을 양자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키 생성 방법
6 6
제5항에서,상기 양자화 하는 단계는,상기 무선 채널이 다중 경로로 구성된 경우, 상기 다중 경로에 대한 임펄스 응답 중 우세한 경로의 임펄스 응답을 양자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키 생성 방법
7 7
제1항에서,상기 랜덤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는,상기 무선 채널에 대한 주파수 응답을 양자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키 생성 방법
8 8
제1항에서,상기 보안 키의 생성을 중단하는 단계는,상기 무선 채널에 대한 주파수 응답으로부터 얻어진, 역 첨두 대 평균 전력비(inverse peak-to-average power ratio, IPAPR), 첨두 대 평균 전력비(peak-to-average power ratio, PAPR), 스펙트럼 평탄 척도(spectral flatness measure, SFM), 또는 상관 대역폭(coherence bandwidth)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평탄도로서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키 생성 방법
9 9
제1항에서,상기 보안 키를 생성하는 단계는,상기 랜덤 시퀀스와 상기 보안 통신의 상대 장치에 의해 획득된 랜덤 시퀀스 간의 차이를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상기 두 랜덤 시퀀스 간의 차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유출될 수 있는 랜덤성에 대한 정보를 상기 랜덤 시퀀스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키 생성 방법
10 10
제9항에서,상기 두 랜덤 시퀀스 간의 차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유출될 수 있는 랜덤성에 대한 정보를 상기 랜덤 시퀀스에서 제거하는 단계는,유니버설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두 랜덤 시퀀스 간의 차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유출될 수 있는 랜덤성에 대한 정보를 상기 랜덤 시퀀스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키 생성 방법
11 1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메모리, 그리고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무선 채널의 상반성(reciprocity)을 이용하여 랜덤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랜덤 시퀀스를 바탕으로 보안 통신을 위한 보안 키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상기 무선 채널의 측정 결과로부터 측정된 평탄도를 바탕으로 상기 무선 채널이 평탄한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보안 키의 생성을 중단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보안 키 생성 장치
12 12
제11항에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랜덤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 수신된 수신 신호의 세기 지시자를 양자화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보안 키 생성 장치
13 13
제12항에서,상기 수신 신호는, 수신된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또는 송신된 프로브 요청에 대해 수신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인, 보안 키 생성 장치
14 14
제12항에서,상기 수신 신호는,수신된 송신 요청(request to send, RTS) 메시지 또는 송신된 송신 요청 메시지에 대해 수신된 송신 확인(clear to send, CTS) 메시지인, 보안 키 생성 장치
15 15
제11항에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랜덤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상기 무선 채널에 대한 임펄스 응답을 양자화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보안 키 생성 장치
16 16
제15항에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양자화 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상기 무선 채널이 다중 경로로 구성된 경우, 상기 다중 경로에 대한 임펄스 응답 중 우세한 경로의 임펄스 응답을 양자화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보안 키 생성 장치
17 17
제11항에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랜덤 시퀀스를 획득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상기 무선 채널에 대한 주파수 응답을 양자화 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보안 키 생성 장치
18 18
제11항에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보안 키의 생성을 중단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상기 무선 채널에 대한 주파수 응답으로부터 얻어진, 역 첨두 대 평균 전력비(inverse peak-to-average power ratio, IPAPR), 첨두 대 평균 전력비(peak-to-average power ratio, PAPR), 스펙트럼 평탄 척도(spectral flatness measure, SFM), 또는 상관 대역폭(coherence bandwidth)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평탄도로서 측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보안 키 생성 장치
19 19
제11항에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보안 키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상기 랜덤 시퀀스와 보안 통신의 상대 장치에 의해 획득된 랜덤 시퀀스 간의 차이를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상기 두 랜덤 시퀀스 간의 차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유출될 수 있는 랜덤성에 대한 정보를 상기 랜덤 시퀀스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보안 키 생성 장치
20 20
제19항에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두 랜덤 시퀀스 간의 차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유출될 수 있는 랜덤성에 대한 정보를 상기 랜덤 시퀀스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할 때,유니버설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상기 두 랜덤 시퀀스 간의 차이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유출될 수 있는 랜덤성에 대한 정보를 상기 랜덤 시퀀스에서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보안 키 생성 장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10038517 US 미국 FAMILY
2 US20160337122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통신표준기술력향상사업(지정공모) IEEE802.15.8의 완전분산형 대상인식 무선통신기술 표준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