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효모 세포벽 만노단백질 유래의 당사슬을 이용한 만노스-6-인산 당사슬이 부가된 당단백질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glycoprotein attached with mannose-6-phosphate glycans using glycans derived from yeast cell wall mannoproteins)

  • 기술번호 : KST2016020418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만노스-6-인산 당사슬의 제조방법 및 만노스-6-인산 당사슬이 부가된 당단백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Int. CL C07K 1/14 (2006.01) C12N 15/81 (2006.01) C07K 1/107 (2006.01)
CPC C07K 1/1077(2013.01) C07K 1/1077(2013.01) C07K 1/1077(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068937 (2016.06.02)
출원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6-0142254 (2016.12.1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50078235   |   2015.06.02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06.02)
심사청구항수 1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오두병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강지연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권오석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손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 *층(문정동)(특허법인한얼)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6.02 수리 (Accepted) 1-1-2016-0534909-67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6.08.1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6.10.10 수리 (Accepted) 9-1-2016-0044087-80
4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6.10.25 수리 (Accepted) 1-1-2016-1036502-75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7.09.1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659150-44
6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7.11.2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1154154-58
7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7.11.20 수리 (Accepted) 1-1-2017-1154153-13
8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8.03.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210022-9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효모로부터 분리된 세포벽 만노단백질에 프로나제 (pronase)를 처리하거나, N-당사슬을 유리하는 효소를 처리하여 당사슬을 분리하고, 분리된 당사슬에서 바깥쪽 만노스를 제거하여 만노스-6-인산 당사슬을 수득하는 단계; 및(b) 가교제 (crosslinker)를 사용하여 상기 만노스-6-인산 당사슬과 목적 단백질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만노스-6-인산 당사슬이 부가된 당단백질의 제조방법
2 2
삭제
3 3
삭제
4 4
삭제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만노스를 제거하는 과정은 약산 가수분해 또는 캡핑 제거 (uncapping) 효소를 이용하는 것인, 제조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 만노시다제를 상기 당사슬에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만노스-6-인산 당사슬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는 이산화티타늄 (TiO2)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제조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 (crosslinker)는 이의 한쪽 말단에 아스파라진 기 또는 알데하이드 기와 연결될 수 있는 반응기를 가지는 것인, 제조방법
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한쪽 말단에 엔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 (NHS, N-hydroxysuccinimide), 옥시아민 (oxyamine), 아이소티오시아네이트 (isothiocyannate), 아이소시아네이트 (isocyanate), 설포닐클로라이드 (sulfonyl chloride), 알데히드 (aldehyde), 카보디이미드 (carbodiimide), 아실아자이드 (acyl azide), 언하이드라이드 (anhydride), 플루오로벤젠 (fluorobenzene), 카보네이트 (carbonate), 이미도에스터 (imidoester), 에폭사이드 (epoxide) 및 플루오로페닐에스터 (fluorophenyl este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
11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다른 한쪽 말단에 말레이미드 (maleimide), DBCO (Dibenzocyclooctyne), DTME (Dithio-bis-maleimidoethane), BM(PEG)2(1,8-Bis-maleimidodiethyleneglycol), 비닐설폰 (vinylsulfone), 아자이드 (azide), 이오도아세틸 니트로페닐아자이드 (iodoacetyl nitrophenylazide), 아이소시아네이트 (isocyanate), 피리딜다이설파이드 (pyridyldisulfide), 하이드라자이드 (hydrazide) 및 하이드록시페닐 아자이드 (hydroxyphenyl az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
12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PEG (polyethylene glycol), 플루로닉 (pluronic),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olidone) 및 폴리옥사졸린 (polyoxazol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친수성 고분자; 또는 폴리 L-락트산 (poly-L-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 (poly-glycolic acid), 폴리-D-락트산-co-글리콜산 (poly-D-lactic-co-glycolic acid), 폴리-L-락트산-co-글리콜산 (poly-L-lactic-co-glycolic acid), 폴리-D,L-락트산-co-글리콜산 (poly-D,L-lactic-co-glycolic acid), 폴리-카프로락톤 (polycaprolactone), 폴리-발레로락톤 (polyvalerolactone), 폴리-하이드록시 부티레이트 (polyhydroxybutyrate) 및 폴리-하이드록시 발러레이트 (polyhydroxyvale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계 고분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
13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각 말단에 NHS 및 말레이미드 기를 가지는 PEG 중합체, 각 말단에 DBCO 및 NHS 기를 가지는 PEG 중합체, 각 말단에 NHS 및 아자이드 (azide) 기를 가지는 PEG 중합체, 또는 각 말단에 옥시아민 (oxyamine) 및 아자이드 (azide) 기를 가지는 PEG 중합체인, 제조방법
14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단백질은 병원체 단백질 (pathogen protein), 라이소좀 단백질 (lysosomal protein), 성장 인자 (growth factor), 사이토카인 (cytokine), 케모카인 (chemokine), 항체 또는 이의 항원-결합 단편 (antigen-binding fragment), 또는 융합 단백질 (fusion protein)인 것인, 제조방법
15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소좀 단백질 (lysosomal protein)은 라이소좀 분해효소인 것인, 제조방법
16 16
제1항에 있어서, 목적 단백질은 상기 가교제와 연결될 수 있는 시스테인, 라이신 또는 알지닌 잔기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
17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단백질은 당단백질인 것인, 제조방법
18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단백질에 산화 반응을 유도하여, 목적 단백질의 당사슬 부위에 알데하이드 기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
19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벽 만노단백질은 천연 효모에 비하여 만노스 인산이 과량 부가되도록 조작한 효모로부터 분리한 것인, 제조방법
20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만노스 인산이 과량 부가되도록 조작한 효모는 효모 특이적 당사슬 생합성 경로가 제거된 것인, 제조방법
21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만노스 인산이 과량 부가되도록 조작한 효모는 OCH1 결손, MNN1 결손, YlMPO1 과발현, 및 MNN4 과발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유전형질을 가지는 것인, 제조방법
22 22
삭제
23 23
삭제
24 24
삭제
25 25
삭제
26 26
삭제
27 27
삭제
28 28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6195394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6195394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요사업(2015-2018) 바이오부품/회로 및 합성생물학 기술 개발사업
2 지식경제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기술료사업(지경부) 바이오의약품 최적화를 위한 당사슬 핵심 기술 개발
3 농림축산식품부(농림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차세대 바이오그린21사업 인공 당사슬 생합성 경로를 이용한 효소 치료제 생산용 맞춤형 효모 개발
4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천기술개발사업(바이오의료기술) 글리칸 구조 분석 및 리모델링을 이용한 바이오의약품 최적화 기술 개발
5 지식경제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식물발현계로부터 희귀질환 바이오베타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