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커큐미노이드계 화합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influenza virus infection comprising curcuminoid and licorice extracts or fraction thereof)

  • 기술번호 : KST2016020575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사료 첨가제, 음용수 첨가제, 사료 및 음용수에 관한 것이다.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 사료 첨가제, 음용수 첨가제, 사료 또는 음용수를 이용하여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Int. CL A61K 36/484 (2006.01) A23L 33/10 (2016.01) A23L 33/105 (2016.01) A23K 10/30 (2016.01) A61K 36/9066 (2006.01) A61K 9/00 (2006.01) A61K 31/122 (2006.01) A23K 20/111 (2016.01)
CPC A61K 31/122(2013.01) A61K 31/122(2013.01) A61K 31/122(2013.01) A61K 31/122(2013.01) A61K 31/122(2013.01) A61K 31/122(2013.01) A61K 31/122(2013.01) A61K 31/122(2013.01) A61K 31/122(2013.01) A61K 31/12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164617 (2016.12.05)
출원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6-0143628 (2016.12.1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10-2014-0007164 (2014.01.21)
관련 출원번호 1020140007164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우송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류영배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김영민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4 노문철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5 박수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6 정형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7 권형준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손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법원로 ***, *층(문정동)(특허법인한얼)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12.05 수리 (Accepted) 1-1-2016-1192214-45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중량비가 1:100 내지 1:150인 것인, 약학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울금(Turmeric)으로부터 분리한 것인 약학 조성물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고병원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H5N1인 것인 약학 조성물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a)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제1 조성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제2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b) 상기 a) 단계에서 수득한 혼합물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인 약학 조성물
5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혼합물에 마이크로웨이브를 처리하기 전에 초음파를 처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용인 것인 약학 조성물
7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약학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8 8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중량비가 1:100 내지 1:150인 것인, 식품 조성물
9 9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로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중량비가 1:100 내지 1:150인 것인, 의약외품 조성물
10 10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사료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또는 음용수 첨가제로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사료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감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중량비가 1:100 내지 1:150인 것인, 사료 첨가제 또는 음용수 첨가제
11 11
제10항의 상기 사료 첨가제 또는 음용수 첨가제를 포함하는 사료 또는 음용수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20150086928 KR 대한민국 FAMILY
2 WO2015111904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농림수산식품부(농림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농림기술개발사업 조류인플루엔자 예방용 사료첨가제 및 식ㆍ의약 생물소재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