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금속/이차원 나노소재 하이브리드 전도막 및 그 제조방법(Metal/two-dimensional nano material hybride conductive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기술번호 : KST2016021308
  • 담당센터 :
  • 전화번호 :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이차원 나노소재의 전구체 또는 전구체 화합물에 촉매금속이 분산되어 있는 혼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액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고 상기 미세기포의 붕괴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전구체 화합물을 분해시켜 상기 이차원 나노소재를 상기 촉매금속의 외벽에 합성하여 촉매금속/이차원 나노소재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도막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촉매금속/이차원 나노소재를 분산액에 분산시켜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잉크를 기판에 도포하고 급속 대기소성(Sinter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높은 산화도 특성을 가지는 비귀금속계 금속의 외벽에 이차원 나노소재를 합성하여 공기로부터 금속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광 흡수가 뛰어난 이차원 나노소재에 의해 고에너지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급속 대기소성이 가능하며, 급속 소성에 의해 금속의 산화를 최소화하고 공정시간을 단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t. CL H01B 1/22 (2006.01.01) H01B 13/00 (2006.01.01) B22F 3/10 (2006.01.01) C09D 11/52 (2014.01.01)
CPC H01B 1/22(2013.01)H01B 1/22(2013.01)H01B 1/22(2013.01)H01B 1/2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50088493 (2015.06.22)
출원인 한국전기연구원
등록번호/일자 10-2130663-0000 (2020.06.30)
공개번호/일자 10-2016-0150464 (2016.12.3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200706)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11.25)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기연구원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희진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2 이건웅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3 김호영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4 백강준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5 정승열 대한민국 경상남도 김해시
6 한중탁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부경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연제구 법원남로**번길 **, *층 (거제동, 대한타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기연구원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5.06.22 수리 (Accepted) 1-1-2015-0602986-56
2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9.11.25 수리 (Accepted) 1-1-2019-1210421-16
3 [우선심사신청]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9.11.26 수리 (Accepted) 1-1-2019-1214828-88
4 [우선심사신청]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9.11.27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5 [우선심사신청]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9.12.03 수리 (Accepted) 9-1-2019-0054004-05
6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0.03.2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211108-45
7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0.04.23 수리 (Accepted) 1-1-2020-0420414-12
8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20.04.23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0420388-12
9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20.06.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436653-72
10 [명세서등 보정]보정서(심사관 직권보정)
2020.07.02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5017025-4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이차원 나노소재의 전구체 또는 전구체 화합물에 촉매금속이 분산되어 있는 혼합액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혼합액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고 상기 미세기포의 붕괴 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전구체 화합물을 분해시켜 상기 이차원 나노소재를 상기 촉매금속의 외벽에 합성하여 촉매금속/이차원 나노소재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촉매금속/이차원 나노소재를 분산액에 분산시켜 잉크를 제조하는 단계; 및상기 잉크를 기판에 도포하고 급속 대기소성(Sinter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산화 방지를 위한 금속/이차원 나노소재 하이브리드 전도막 제조방법
2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급속 대기소성하는 단계는,대기 중에서 상기 기판에 고 에너지의 광을 조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이차원 나노소재 하이브리드 전도막 제조방법
3 3
제 2항에 있어서,상기 급속 대기소성하는 단계는,상기 광이 0
4 4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잉크를 기판에 도포하고 급속 대기소성하는 단계는,코팅(Coating), 패터닝(Patterning), 압출(Extruding), 블라스팅(Blasting), 스프레드(Spread) 또는 프린팅(Printing)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이차원 나노소재 하이브리드 전도막 제조방법
5 5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초음파는 100 내지 300W의 전력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이차원 나노소재 하이브리드 전도막 제조방법
6 6
기판; 및상기 기판에 도포되어 급속 대기소성된 금속과 이차원 나노소재의 하이브리드 입자층;을 포함하고,상기 하이브리드 입자층은,상기 이차원 나노소재의 전구체 또는 전구체 화합물에 촉매금속이 분산된 혼합액을 이용하여 상기 이차원 나노소재를 상기 촉매금속의 외벽에 합성하여 형성되되, 상기 혼합액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미세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미세기포의 붕괴 시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전구체 화합물을 분해시켜 상기 이차원 나노소재를 상기 촉매금속의 외벽에 합성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이차원 나노소재 하이브리드 전도막
7 7
제 6항에 있어서,상기 급속 대기소성은 대기 중에서 상기 하이브리드 입자층에 고 에너지의 광을 조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이차원 나노소재 하이브리드 전도막
8 8
제 7항에 있어서,상기 이차원 나노소재는 상기 광을 흡수하여 발열하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이차원 나노소재 하이브리드 전도막
9 9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이차원 나노소재는 그래핀(Graphene), 헥사고날 보론 나이트라이드(h-Boron nitride),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이차원 나노소재 하이브리드 전도막
10 10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은 MX2로 표현되며 M은 티타늄(Ti), 바나듐(V), 지르코늄(Zr), 나이오븀(Nb), 몰리브데늄(Mo), 테크네튬(Tc), 하프늄(Hf), 탄탈늄(Ta), 텅스텐(W), 레늄(Re) 중 하나로 구성되고, X는 황(S), 셀레늄(Se), 텔루륨(Te) 중 하나로 구성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이차원 나노소재 하이브리드 전도막
11 11
제 6항에 있어서,상기 촉매금속은 비귀금속계 금속인 구리(Cu), 니켈(Ni), 코발트(Co), 철(Fe), 크롬(Cr), 텅스텐(W), 백금(Pt), 팔라듐(Pd), 알루미늄(Al) 및 이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이차원 나노소재 하이브리드 전도막
12 12
삭제
13 13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2116223 KR 대한민국 FAMILY
2 US10421123 US 미국 FAMILY
3 US20180133794 US 미국 FAMILY
4 WO2016208886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전기연구원 기관고유사업 차세대 스마트기기용 나노카본기반 10^5 S/m 유연전극개발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