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항바이러스제-저항성 바이러스 검출 시스템(Antiviral agent-resistant virus detection system)

  • 기술번호 : KST2017000518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의 오셀타미비르 유사체 및 상기 유사체가 결합된 나노입자는 오셀타미비르 저항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강하게 결합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오셀타미비르 저항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육안으로 빠르고 편리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하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치료 계획을 세우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Int. CL A61K 31/215 (2006.01) G01N 21/25 (2006.01) C07C 233/07 (2006.01) C07C 69/76 (2006.01) G01N 33/543 (2006.01) G01N 33/569 (2006.01) G01N 33/52 (2006.01)
CPC G01N 33/52(2013.01) G01N 33/52(2013.01) G01N 33/52(2013.01) G01N 33/52(2013.01) G01N 33/52(2013.01) G01N 33/52(2013.01) G01N 33/52(2013.01) G01N 33/5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048823 (2016.04.21)
출원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7-0004838 (2017.01.1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50095144   |   2015.07.03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04.21)
심사청구항수 1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주연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임은경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안소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 *층 (역삼동, 운기빌딩)(안소영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4.21 수리 (Accepted) 1-1-2016-0384979-12
2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7.07.3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534622-4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하기 화학식 1로 기재되는 오셀타미비르 헥실티올(oseltamivir hexylthiol)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기재되는 오셀타미비르 헥실아민(oseltamivir hexylamine)
2 2
화학식 1로 기재되는 오셀타미비르 헥실티올(oseltamivir hexylthiol) 또는 하기 화학식 2로 기재되는 오셀타미비르 헥실아민(oseltamivir hexylamine)이 결합된, H275Y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오셀타미비르 저항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용 나노입자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는 금나노입자, 은나노입자, 또는 형광 나노입자인 나노입자
4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는 오셀타미비르 감수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보다 H275Y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오셀타미비르 저항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결합력이 더 높은 나노입자
5 5
대상체로부터 수득한 시료에 제2항의 나노입자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2항의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H275Y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오셀타미비르 저항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방법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은 비색법을 이용하는 방법
7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은 육안으로 수행되는 방법
8 8
제1항의 오셀타미비르 헥실티올 또는 오셀타미비르 헥실아민, 또는 제2항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H275Y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오셀타미비르 저항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
9 9
시료패드(sample pad), 컨주게이트 패드(conjugate pad), 니트로셀룰로오스 막(nitrocelluose membrane) 및 흡착패드(adsorption pad)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컨주게이트 패드는 오셀타미비르 헥실티올-금나노입자 또는 오셀타미비르 헥실아민-금나노입자가 담지되고, 시료패드를 통해 시료 전개시 상기 컨주게이트 패드에 담지된 오셀타미비르 헥실티올-금나노입자 또는 오셀타미비르 헥실아민-금나노입자는 시료와 함께 니트로셀룰로오스 막 및 흡착패드로 전개되고, 상기 니트로셀룰로오스 막에는 컨트롤 라인(control line) 및 테스트 라인(test ine)이 격리되어 구비되어 있고, 여기에서 상기 컨트롤 라인은 H275Y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오셀타미비르 저항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또는 H275Y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오셀타미비르 저항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뉴라미니데이즈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테스트 라인은 화학식 1로 기재되는 오셀타미비르 헥실티올 또는 화학식 2로 기재되는 오셀타미비르 헥실아민이 고정되어 있는, H275Y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오셀타미비르 저항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
10 10
1) 제9항의 H275Y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오셀타미비르 저항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용 키트의 시료 패드에 시료를 투입하여 전개시키는 단계;및2) 상기 키트의 니트로셀룰로오스 막의 컨트롤 라인 및 테스트 라인으로부터 색상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H275Y 돌연변이를 포함하는 오셀타미비르 저항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07850588 CN 중국 FAMILY
2 US10336693 US 미국 FAMILY
3 US20180346417 US 미국 FAMILY
4 WO2017007204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07850588 CN 중국 DOCDBFAMILY
2 CN107850588 CN 중국 DOCDBFAMILY
3 US10336693 US 미국 DOCDBFAMILY
4 US2018346417 US 미국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천기술개발사업(글로벌프론티어) 약물 저항성 바이오 유해물질 신속 검출을 위한 바이오 컨텐츠 설계 및 활용기술 개발
2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요사업(2015-2018) 나노바이오메디컬 융복합 기술개발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