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목적 단백질 생산을 위한 발현 벡터 및 이를 이용한 목적 단백질의 과발현 방법(Expression Vector for Producing Target Protein and Producing Method of Target Protein Using the Same)

  • 기술번호 : KST2017008450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목적 단백질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벡터 및 이를 이용한 목적 단백질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벡터는 1) 숙주세포의 내인성 증폭 가능 유전자의 mRNA의 3'-UTR을 표적으로 하는 RNA 간섭을 위한 유전자 절편; 및 2) 목적 단백질의 유전자와 외인성 증폭 가능 유전자를 포함하는 컨스트럭트;를 포함하며, 이를 숙주세포에 도입하였을 때, 목적 단백질 생산이 가능하므로 식품 분야, 의학 분야에서 필요한 단백질을 생산하기 위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Int. CL C12N 15/85 (2015.12.10) C12N 15/67 (2015.12.10) C12N 15/113 (2015.12.10) C12N 9/06 (2015.12.10)
CPC C12N 15/85(2013.01) C12N 15/85(2013.01) C12N 15/85(2013.01) C12N 15/85(2013.01) C12N 15/8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50156106 (2015.11.06)
출원인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7-0053500 (2017.05.1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5.11.06)
심사청구항수 1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은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김연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강신영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4 류경화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5 안정오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6 이홍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태평양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 *층(다동, 예금보험공사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5.11.06 수리 (Accepted) 1-1-2015-1084638-00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5.11.09 수리 (Accepted) 1-1-2015-1086348-11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6.03.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6.06.10 수리 (Accepted) 9-1-2016-0025339-01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7.04.1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265880-70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7.06.13 수리 (Accepted) 1-1-2017-0563961-35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7.06.13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0563962-81
8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7.10.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748697-61
9 [명세서등 보정]보정서(재심사)
Amendment to Description, etc(Reexamination)
2017.11.29 보정승인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1193784-50
10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7.11.29 수리 (Accepted) 1-1-2017-1193783-15
11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2017.12.0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857834-5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숙주세포의 내인성 증폭 가능 유전자의 mRNA의 3'-UTR을 표적으로 하여 상기 내인성 증폭 가능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RNA 간섭을 위한 유전자 절편; 및 목적 단백질의 유전자를 클로닝할 수 있는 클로닝 자리와 외인성 증폭 가능 유전자를 포함하는 유전자 컨스트럭트;를 포함하고,상기 내인성 증폭 가능 유전자와 상기 외인성 증폭 가능 유전자는 동일한 유전자이며,상기 증폭 가능 유전자는 디히드로엽산 환원효소(dihydrofolate reductase, DHFR)이고,상기 RNA 간섭을 위한 유전자 절편은 서열번호 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짧은 헤어핀 RNA(short-hairpin RNA, shRNA)인, 목적 단백질 생산을 위한 발현 벡터
2 2
삭제
3 3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RNA 간섭을 위한 유전자 절편은 증폭 가능 유전자의 mRNA의 3'-UTR에 상보적인 염기 서열인 발현 벡터
4 4
삭제
5 5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유전자 컨스트럭트에는 상기 클로닝 자리와 상기 외인성 증폭 가능 유전자 사이에 내부 리보솜 유입 자리(IRES), 2A 펩티드를 암호화하는 염기 서열, 및 외인성 증폭 가능 유전자의 발현을 개시할 수 있는 프로모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포함되어 있는 발현 벡터
6 6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외인성 증폭 가능 유전자의 발현을 개시할 수 있는 프로모터는 시미안 바이러스 40 초기 프로모터, 마우스 유선암 바이러스 LTR 프로모터,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Pol-II 프로모터, 헤르페스 티미딘 키나제 프로모터 및 포스포글리세레이트 키나제 I(PGK) 프로모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프로모터인 발현 벡터
7 7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숙주세포는 포유동물 세포인 발현 벡터
8 8
청구항 7에 있어서,상기 포유동물 세포는 COS 세포, CHO 세포, VERO 세포, MDCK 세포, WI38 세포, V79 세포, B14AF28-G3 세포, BHK 세포, HaK 세포, NS0 세포, SP2/0-Ag14 세포, HeLa 세포, HEK293 세포 및 PER
9 9
청구항 1, 3 및 5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의 발현 벡터를 포함하는 형질전환체
10 10
청구항 1의 발현 벡터의 유전자 컨스트럭트 중 클로닝 자리에 목적 단백질의 유전자를 클로닝하는 단계;상기 목적 단백질의 유전자가 클로닝된 발현 벡터를 숙주세포에 도입하는 단계; 상기 발현 벡터가 도입된 숙주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상기 배양 중인 숙주세포에 증폭 가능 유전자에 의하여 발현되는 단백질에 대한 억제제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적 단백질의 과발현 방법
11 11
청구항 10에 있어서,숙주세포는 COS 세포, CHO 세포, VERO 세포, MDCK 세포, WI38 세포, V79 세포, B14AF28-G3 세포, BHK 세포, HaK 세포, NS0 세포, SP2/0-Ag14 세포, HeLa 세포, HEK293 세포 및 PER
12 12
청구항 10에 있어서,상기 증폭 가능 유전자에 의해 발현되는 단백질에 대한 억제제는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MTX)인 목적 단백질의 과발현 방법
13 13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7078461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7078461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주요사업(2015-2018) 바이오의약/소재 산업화 공정기술 개발 사업
2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천기술개발사업(바이오의료기술) 글리칸안테나 조절기술을 이용한 바이오의약품 생산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