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단층 촬영을 위한 관심 영역 설정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region-of-interest in tomography)

  • 기술번호 : KST2017011109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단층 촬영을 위한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검체에 대한 표면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피검체에 대하여 이전 시점에 기산출된 관심 영역 정보 및 표면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피검체에 대한 관심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피검체에 대한 관심 영역을 설정하기 위하여 피검체에 조사되는 엑스선 조사선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관심 영역 설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은 관심 영역 설정 시스템이 피검체에 대한 단층 촬영을 위하여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시점에서의 상기 피검체에 대한 제1 표면 형상 정보 및 제1 관심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정보 획득 단계; 제2 시점에서의 상기 피검체에 대한 제2 표면 형상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제1 표면 형상 정보와 상기 제2 표면 형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피검체에 대한 좌표 변환 수단을 산출하는 좌표 변환 수단 산출 단계; 및 상기 제1 관심 영역 정보에 상기 좌표 변환 수단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상기 피검체에 대한 제2 관심 영역 정보를 산출하는 관심 영역 정보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에서의 관심 영역 설정 방법을 개시하는 효과를 갖는다.
Int. CL A61B 6/00 (2016.02.06) A61B 6/03 (2016.02.06)
CPC A61B 6/469(2013.01) A61B 6/469(2013.01) A61B 6/469(2013.01) A61B 6/469(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50188449 (2015.12.29)
출원인 한국전기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7-0078180 (2017.07.0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3.30)
심사청구항수 1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기연구원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강동구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
2 신기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3 진승오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4 김인수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5 배영민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충정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층(역삼동,성보역삼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5.12.29 수리 (Accepted) 1-1-2015-1282126-24
2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0.03.30 수리 (Accepted) 1-1-2020-0333046-9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관심 영역 설정 시스템이 피검체에 대한 단층 촬영을 위하여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제1 시점에서의 상기 피검체에 대한 제1 표면 형상 정보 및 제1 관심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정보 획득 단계;제2 시점에서의 상기 피검체에 대한 제2 표면 형상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정보 획득 단계;상기 제1 표면 형상 정보와 상기 제2 표면 형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피검체에 대한 좌표 변환 수단을 산출하는 좌표 변환 수단 산출 단계; 및상기 제1 관심 영역 정보에 상기 좌표 변환 수단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상기 피검체에 대한 제2 관심 영역 정보를 산출하는 관심 영역 정보 산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에서의 관심 영역 설정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정보 획득 단계에서,상기 제1 표면 형상 정보는 상기 제1 시점에서 광학 영상, 레이저 스캔, 적외선 스캔, 심도 거리 센싱(depth range sensor) 중 하나를 이용하여 수집된 상기 피검체의 표면 형상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에서의 관심 영역 설정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정보 획득 단계에서,상기 제1 표면 형상 정보는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상기 피검체에 대한 엑스선 투영 데이터 또는 상기 엑스선 투영 데이터로부터 재구성된 영상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에서의 관심 영역 설정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정보 획득 단계에서,상기 제2 표면 형상 정보는 상기 제2 시점에서 광학 영상, 레이저 스캔, 적외선 스캔, 심도 거리 센싱(depth range sensor) 중 하나를 이용하여 수집된 상기 피검체의 표면 형상에 대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에서의 관심 영역 설정 방법
5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상기 피검체의 표면 형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산포점 세트(sparse point set), 라인 세트(line set), 표면 영역(surface area)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는 스캐닝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에서의 관심 영역 설정 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좌표 변환 수단 산출 단계에서,상기 좌표 변환 수단으로서, 상기 제1 표면 형상 정보와 상기 제2 표면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체에 대한 좌표 변환 행렬(matrix)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에서의 관심 영역 설정 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좌표 변환 수단 산출 단계에서,제1 표면 형상 정보의 표면 데이터(surface data)와 제2 표면 형상 정보의 표면 데이터(surface data)를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함에 있어서, ICP(Iterative Closest Point)를 포함하는 점 집합 레지스트레이션(point set registration), RPM(Robutt Point Matching), KC(Kernel Correlation), CPD(Coherent Point Drift) 중 하나의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에서의 관심 영역 설정 방법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관심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 영역 설정 시스템의 사용자에게 상기 피검체에 대한 제2 시점에서의 관심 영역을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에서의 관심 영역 설정 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관심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피검체의 제2 관심 영역에 대한 단층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에서의 관심 영역 설정 방법
10 10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제2 관심 영역에 대한 단층 촬영을 수행하는 단계에서는,동적 시준(dynamic collimation), 다엽 시준(multi-leaf collimation), 뷰-와이즈 mAs(view-wise mAs), 전자 보타이(electronic bowtie), 동적 이동 어퍼쳐(dynamic moving aperture), 슬라이딩 웨지(sliding wedge), 겐트리 리포지셔닝(gantry repositioning) 중 하나의 기법을 사용하여 상기 엑스선의 조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에서의 관심 영역 설정 방법
11 11
제9항에 있어서,상기 제2 시점에서의 상기 피검체에 대한 제2 관심 영역에 대한 투영 데이터와,상기 제1 시점에서의 상기 피검체에 대한 제1 관심 영역의 외부 영역에 대한 투영 데이터를 이용하여,상기 피검체에 대한 제2 시점에서의 단층 영상을 재구성하는 단층 영상 재구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에서의 관심 영역 설정 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단층 영상 재구성 단계에서,압축 센싱 기반 인테리어 토모그라피(Compressed Sensing based Interior Tomography) 기법을 사용하여, 피검체의 전체 영역에 대한 스카우트 뷰 투영 데이터와 피검체의 제2 관심 영역에 대한 투영 데이터로부터 상기 피검체의 제2 관심 영역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단층 영상을 재구성하거나,상기 피검체에 대한 입체 표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체의 제2 관심 영역에 대하여 절단된(truncated) 투영 데이터를 외삽(extrapolation)하여 상기 피검체의 제2 관심 영역에 대한 단층 영상을 재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에서의 관심 영역 설정 방법
13 13
제11항에 있어서,상기 단층 영상 재구성 단계는,상기 제1 시점에서의 상기 피검체에 대한 제1 관심 영역의 외부 영역에 대한 투영 데이터에 상기 피검체에 대한 좌표 변환 수단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상기 피검체에 대한 제2 관심 영역의 외부 영역에 대한 투영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층 촬영에서의 관심 영역 설정 방법
14 14
피검체에 대한 단층 촬영을 위하여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관심 영역 설정 시스템에 있어서,제1 시점에서의 상기 피검체에 대한 제1 표면 형상 정보 및 제1 관심 영역 정보를 획득하는 제1 정보 획득부;제2 시점에서의 상기 피검체에 대한 제2 표면 형상 정보를 획득하는 제2 정보 획득부;상기 제1 표면 형상 정보와 상기 제2 표면 형상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피검체에 대한 좌표 변환 수단을 산출하는 좌표 변환 수단 산출부; 및상기 제1 관심 영역 정보에 상기 좌표 변환 수단을 적용하여, 상기 제2 시점에서의 상기 피검체에 대한 제2 관심 영역 정보를 산출하는 관심 영역 정보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심 영역 설정 시스템
15 15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정보 획득부에서,상기 제1 표면 형상 정보는 상기 제1 시점에서의 상기 피검체에 대한 엑스선 투영 데이터 또는 상기 엑스선 투영 데이터로부터 재구성된 영상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심 영역 설정 시스템
16 16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좌표 변환 수단 산출부에서,상기 제1 표면 형상 정보와 상기 제2 표면 형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체에 대한 좌표 변환 행렬(matrix)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심 영역 설정 시스템
17 17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제2 관심 영역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시점에서 상기 피검체의 제2 관심 영역에 대한 단층 촬영을 수행함에 있어,상기 제2 시점에서의 상기 피검체에 대한 제2 관심 영역에 대한 투영 데이터와,상기 제1 시점에서의 상기 피검체에 대한 제1 관심 영역의 외부 영역에 대한 투영 데이터를 이용하여,상기 피검체에 대한 제2 시점에서의 단층 영상을 재구성하는 단층 영상 재구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심 영역 설정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운영경비 전임상용 Spectral CT 및 생체형광 융합 영상진단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