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나노하이브리드복합체 및 그 나노하이브리드복합체 제조방법(Nanohybrid composit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기술번호 : KST2017013611
  • 담당센터 : 광주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62-360-4654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나노하이브리드 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친성 분자 또는 기능성 양친성 분자의 자기조립체를 이용하여 크기 및 형태의 제어가 가능한 나노구조를 형성하고, 이를 매트릭스로 도입함으로써 크기 및 형태의 제어가 가능한 하부나노구조 및/또는 기능성 물질이 매트릭스에 포함된 구조를 갖는 나노하이브리드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Int. CL B82B 1/00 (2016.03.23) C08L 101/00 (2016.03.23) D04H 1/728 (2016.03.23) B82B 3/00 (2016.03.23)
CPC B82B 1/008(2013.01) B82B 1/008(2013.01) B82B 1/008(2013.01) B82B 1/008(2013.01) B82B 1/00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017239 (2016.02.15)
출원인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7-0095608 (2017.08.2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02.15)
심사청구항수 1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윤현석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동구
2 노선명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아이엠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 ***호 (역삼동, 혜전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광주광역시 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2.15 수리 (Accepted) 1-1-2016-0147677-92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6.07.07 수리 (Accepted) 4-1-2016-5093177-51
3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7.07.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501489-01
4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7.09.18 수리 (Accepted) 1-1-2017-0903140-54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7.09.18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0903141-00
6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7.11.2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832368-59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03.30 수리 (Accepted) 4-1-2018-5056463-7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고체 매트릭스; 및 상기 매트릭스에 포함된 다수개의 하부나노구조;를 포함하는데, 상기 하부나노구조는 기능성 양친성 분자의 자기조립체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기능성 양친성 분자는 양친성 분자에 1족 금속이온, 2족 금속이온, 3족 금속이온, 전이금속이온 및 전이후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기능성 카운터이온 또는 상기 기능성 카운터이온을 갖는 양이온의 전구체, 상기 양이온전구체를 포함하는 염화물, 수화물, 아세트산염, 수산화물, 황화물, 산화물 및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2차 결합된 형태의 기능성전구체가 1개 이상 도입되어 형성되며,상기 하부나노구조는 상기 기능성 카운터 이온이 환원되어 형성된 금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하이브리드 복합체
2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매트릭스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나일론6,6(Nylon6,6),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벤즈이미다젠 (polybenzimidazol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polyacrylonitrile) 또는 이들의 유도체,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아닐린(polyaniline), 콜라겐 (collagen), 폴리비닐카르바졸(polyvinyl carbazole), 전분(starch),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아크릴릭엑시드(polyacrylic acid), 폴리스타이렌설포닉엑시드(polystyrenesulfonic acid), 폴리실릭익엑시드(polysilicic acid), 폴리포스포릭엑시드(polyphosphoric acid), 폴리에틸렌설포닉엑시드(polyethylenesulfonic acid),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3,4-ethylenedioxythiophene)], 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polystyrene sulfonate),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 설포네이트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폴리시오펜 (polythiophene), 셀룰로즈(cellulose), 폴리말레익엑시드(polymaleic acid), 폴리아마인스(polyamines),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폴리비닐피롤리돈 (polyvinylpyrrolidon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이미드 (polyimide), 폴리벤질이미다졸(polybenzimidazol), 페놀 수지(phenol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polypropyle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폴리스타이렌(polystyrene),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및 피치(pitch)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하이브리드 복합체
3 3
삭제
4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조립체의 크기 및 형태는 상기 기능성 양친성 분자의 함량, 패킹파라미터 및 상반된 극성을 갖는 용매들의 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하이브리드복합체
5 5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자기조립체는 구형, 실린더형, 베지클형, 라멜라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하이브리드복합체
6 6
삭제
7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양친성 분자는 상기 양친성 분자 0
8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양친성 분자는 양친성 분자의 친수성작용기 및 소수성작용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작용기가 치환 또는 부가된 구조를 1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하이브리드 복합체
9 9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제 7 항,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성 분자는 디옥틸설포숙시네이트(dioctyl sulfosuccinate) 및 이들의 유도체, 도데실설페이트(dodecylsulfate) 및 이들의 유도체, 도데실벤젠설포네이트(dodecybenzenesulfonate) 및 이들의 유도체,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ammonium laurylsulfate), 소듐 스테아레이트(sodium stearate), 퍼플루오로옥타노에이트(perfluorooctanoate), 퍼플루오로옥탄설포네이트 (perfluorooctane sulfonate), 소듐 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sodium laurylethersulfate), 소듐 1-헵탄설포네이트(sodium 1-heptanesulfonate), 소듐 헥산설포네이트(sodium hexane sulfonate), 도데실벤젠셀페이트(dodecylbenzene sulfonate) 및 이들의 유도체, 칼륨 라우레이트(potassium laurate) , 소듐 알기네이트(sodium alginate), 포스파티딜글리세롤(phosphatidylglycerol), 포스파티딜 이노시톨(phosphatidyl inositol),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포스파티드 산(phosphatidic acid) 및 이들의 유도체, 글리세릴 에스테르(glyceryl ester),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칼슘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calcium carboxymethylcellulose), 담즙산(bile acid) 및 이들의 유도체, 콜산(cholic acid), 데옥시콜산(deoxycholic acid), 글리코콜산(glycocholic acid), 타우로콜산(taurocholic acid), 글리코데옥시콜산(glycodeoxycholic acid), 알킬 설포네이트(alkyl sulfonate), 아릴 설포네이트(allyl sulfonate), 포스페이트(phosphate), 알킬 포스페아트(alkyl phosphate),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칼슘 스테아레이트(calcium stearat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나트륨(carboxymethylcellulose natrium), 소듐 설포숙신산(sodium sulfosuccinicacid), 인지질(phospholipid), 또는 알킬 벤젠설포네이트(alkyl benzene sulfonate)를 포함하는 음이온성 양친성 분자로 구성된 그룹;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benzalkonium chloride), 세틸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키토산(chitosan), 라우릴디메틸벤질암모늄 클로라이드(lauryldimethylbenzylammoniumchloride), 아실 카르니틴 히드로클로라이드(acyl carnitine hydrochloride), 알킬피리디늄 할라이드(alkylpyridinium halide), 양이온성 지질(cationic lipid),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polymethylmethacrylate trimethylammonium bromide), 설포늄 화합물 (sulfonium compound), 포스포늄 화합물(phosphonium compound), 데실 트리에틸 암모늄 클로라이드(decyl triethyl ammonium chloride), 미리스틸 트리메틸 암모늄 메틸설페이트(myristyl trimethyl ammonium methylsulfate), 라우릴 디메틸 벤질 암모늄(lauryl dimethyl benzyl ammonium) 및 이들의 유도체, N-테트라데실디메틸벤질 암모늄 클로라이드(N-tetradecyldimethylbenzyl ammonium chloride), 디메틸 디데실 암모늄 클로라이드(dimethyl dodecyl ammonium chloride), 트리메틸암모늄 할라이드 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trimethylammonium halide alkyl trimethylammonium salts), 디알킬 디메틸 암모늄(dialkyl dimethyl ammonium), 라우릴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laur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에톡실화 트리알킬 암모늄 염(ethoxylated trialkyl ammonium salts), 암모늄 클로라이드(ammonium chloride) 및 이들의 유도체, 암모늄 브로마이드(ammonium bromide) 및 이들의 유도체, 콜린 에스테르(cholin ester), 알코늄 클로라이드(alkonium chloride) 및 이들의 유도체, 세틸 피리디늄 브로마이드(cetyl pyridinium bromide),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cetyl pyridinium chloride), 알킬 피리디늄 염(alkyl pyridinium salts), 아민(amine) 및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양이온성 양친성 분자로 구성된 그룹; 소르비탄(sorbitan),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polyoxyethylene fatty acid ester),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polyoxyehylene alkylether), 소르비탄 에스테르(sorbitan ester), 글리세릴 에스테르(glyceryl ester),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ol monostearate),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및 이들의 유도체, 세틸 알코올(cetyl alcohol), 세토스테아릴 알코올(cetostearyl alcohol), 스테아릴 알코올(stearyl alcohol), 아릴 알킬 폴리에테르 알코올(aryl alkyl polyether alcohol),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polyoxyethylene polyoxypropylene copolymer), 폴록사머(poloxamer), 폴락사민(poloxamine), 메틸셀룰로즈(methylcellulose), 히드록시셀룰로즈(hydroxyl cellulose), 다당류(polysaccharide), 전분(starch) 및 이들의 유도체,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트리에탄올아민 스테아레이트(triethanolamine stearate), 아민 옥시드(amine oxide), 덱스트란(dextran), 글리세롤(glycerol), 콜레스테롤(cholesterol), 트래거캔스(tragacanth),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및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비이온성 양친성 분자로 구성된 그룹; N-도데실-N,N-디메틸-3-암모니오-1-프로판설포네이트(N-dodecyl-N,N- dimethyl-3-ammonio-1-propanesulfonate), 베타인(betaine) 및 이들의 유도체, 코코암포카르복시글리시네이트(cocoamphocarboxyglycinate), 사코시네이트 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sarcosinate aminopropionate), 아미노글리시네이트(amino glycinate), 이미다졸린(imidazoline), N-알킬-N,N-디메틸암모니오-1-프로판술폰에이트(N-alkyl-N,N-dimethylammonio-1-propansulfonate), 도데실포스포콜린(dodecy phosphocholine)를 포함하는 양쪽 이온성 양친성 분자로 구성된 그룹;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그룹에서 선택되는 1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하이브리드 복합체
10 10
삭제
11 11
기능성 양친성 분자를 준비하는 단계;매트릭스전구체가 포함된 매트릭스용액을 준비하는 단계;상기 매트릭스용액에 기능성 양친성 분자를 넣고 상기 매트릭스용액내에서 기능성 양친성 분자가 자기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처리하여 자기조립체 함유 매트릭스전구체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상기 자기조립체 함유 매트릭스전구체용액으로부터 다수개의 하부나노구조가 포함된 고체 매트릭스를 형성하도록 처리하는 나노하이브리드복합체형성단계;를 포함하는데,상기 하부나노구조는 상기 기능성 양친성 분자의 자기조립체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기능성 양친성 분자는 양친성 분자에 1족 금속이온, 2족 금속이온, 3족 금속이온, 전이금속이온 및 전이후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기능성 카운터이온 또는 상기 기능성 카운터이온을 갖는 양이온의 전구체, 상기 양이온전구체를 포함하는 염화물, 수화물, 아세트산염, 수산화물, 황화물, 산화물 및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2차 결합된 형태의 기능성전구체가 1개 이상 도입되어 형성되며,상기 나노하이브리드복합체형성단계는 상기 자기조립체 함유 매트릭스전구체용액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매트릭스전구체를 고체로 성형하는 처리과정을 통해 수행되고,상기 처리과정은 용융방사, 습식방사, 건식방사 및 전기방사를 포함하는 방사공정 및 상기 방사공정에서 형성된 방사섬유를 열처리하는 열처리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하이브리드복합체 제조방법
12 12
기능성 양친성 분자를 준비하는 단계;용매에 기능성 양친성 분자를 넣고 기능성 양친성 분자가 자기조립체를 형성하도록 처리하여 자기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상기 자기조립체가 형성된 용매에 매트릭스전구체를 첨가하여 자기조립체 함유 매트릭스전구체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상기 자기조립체 함유 매트릭스전구체용액으로부터 다수개의 하부나노구조가 포함된 고체 매트릭스를 형성하도록 처리하는 나노하이브리드복합체형성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하부나노구조는 상기 기능성 양친성 분자의 자기조립체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기능성 양친성 분자는 양친성 분자에 1족 금속이온, 2족 금속이온, 3족 금속이온, 전이금속이온 및 전이후금속 이온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기능성 카운터이온 또는 상기 기능성 카운터이온을 갖는 양이온의 전구체, 상기 양이온전구체를 포함하는 염화물, 수화물, 아세트산염, 수산화물, 황화물, 산화물 및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2차 결합된 형태의 기능성전구체가 1개 이상 도입되어 형성되며,상기 나노하이브리드복합체형성단계는 상기 자기조립체 함유 매트릭스전구체용액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매트릭스전구체를 고체로 성형하는 처리과정을 통해 수행되고,상기 처리과정은 용융방사, 습식방사, 건식방사 및 전기방사를 포함하는 방사공정 및 상기 방사공정에서 형성된 방사섬유를 열처리하는 열처리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하이브리드복합체 제조방법
13 13
제 11 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상기 자기조립체의 크기 및 형태는 상기 기능성 양친성 분자의 함량, 패킹파라미터 및 상반된 극성을 갖는 용매들의 함량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따라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하이브리드복합체 제조방법
14 14
제 13 항에 있어서,상기 패킹파라미터(P)는 하기와 같은 수학식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하이브리드복합체 제조방법
15 15
제 14 항에 있어서,상기 패킹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상기 자기조립체의 크기 및 형태 중 하나 이상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하이브리드복합체 제조방법
16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조립체의 형태는 상기 패킹파라미터 P가 1/3 미만이면 구형이고, 1/3 보다 크고 1/2 미만이면 실린더형이며, 1/2보다 크고 1보다 작으면 베지클형이며, 1보다 크면 라멜라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하이브리드복합체 제조방법
17 17
삭제
18 18
삭제
19 19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제 7 항,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나노하이브리드복합체 또는 제 11 항 및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나노하이브리드복합체를 포함하는 나노하이브리드복합체응용제품
20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응용제품은 전극, 촉매, 흡착제, 나노템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하이브리드복합체응용제품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착용 가능한 플렉시블 화학가스센서용 시스템 요소 기술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