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생체 자극 및 생체 신호 측정 겸용 회로(A CIRCUIT FOR BOTH BIO-STIMULATING AND MEASURING BIOLOGICAL SIGNAL)

  • 기술번호 : KST2017014082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체 자극 및 생체 신호 측정 겸용 회로는 생체 자극 신호 생성 회로, 생체 신호 전극, 스위치 블록, 제 1 및 제 2 저항, 그리고 생체 신호 측정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자극 신호 생성 회로는 생체 자극 모드에서 생체 자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전극은 생체 자극 모드에서 생성된 생체 자극 신호를 전달하고, 생체 신호 측정 모드에서 생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스위치 블록은 생체 자극 신호의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보다 크거나 제 2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 턴 온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저항은 생체 신호 전극과 스위치 블록 사이에 연결되고, 스위치 블록의 턴 온 여부에 따라 생체 신호 전극의 신호의 전압을 분배하는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 회로는 스위치 블록의 턴 온 여부에 따라, 제 1 및 제 2 저항에 의해 분배된 전압 신호를 측정하거나 생체 신호 전극의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제 1 기준 전압은 제 2 기준 전압보다 클 수 있다.
Int. CL A61B 5/04 (2006.01.01) A61B 5/00 (2006.01.01)
CPC A61B 5/04(2013.01) A61B 5/04(2013.01) A61B 5/0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020728 (2016.02.22)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7-0099030 (2017.08.3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9.05.03)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염우섭 대한민국 대전시 유성구
2 이성규 대한민국 대전시 유성구
3 황건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고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길 ** *층(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2.22 수리 (Accepted) 1-1-2016-0173634-94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6.10.19 수리 (Accepted) 1-1-2016-1012523-72
3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9.05.03 수리 (Accepted) 1-1-2019-0456904-35
4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03.1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5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20.04.08 수리 (Accepted) 9-1-2020-0014037-98
6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20.09.2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669007-06
7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서·답변서·소명서
2020.10.30 수리 (Accepted) 1-1-2020-1160819-9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생체 자극 모드에서 생체 자극 신호를 생성하는 생체 자극 신호 생성 회로;상기 생체 자극 모드에서 생성된 상기 생체 자극 신호를 전달하고, 생체 신호 측정 모드에서 생체 신호를 전달받는 생체 신호 전극;상기 생체 자극 신호의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보다 크거나 제 2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 턴 온되는 스위치 블록; 상기 생체 신호 전극과 상기 스위치 블록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블록의 턴 온 여부에 따라 상기 생체 신호 전극의 신호의 전압을 분배하는 직렬 연결된 제 1 및 제 2 저항; 그리고상기 스위치 블록의 턴 온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에 의해 분배된 전압 신호를 측정하거나 상기 생체 신호 전극의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측정 회로를 포함하되,상기 제 1 기준 전압은 상기 제 2 기준 전압보다 큰 생체 자극 및 생체 신호 측정 겸용 회로
2 2
제 1 항에 있어,상기 생체 신호 측정 회로로부터 측정 결과를 피드백 받아 상기 생체 자극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는 생체 자극 및 생체 신호 측정 겸용 회로
3 3
제 1 항에 있어,상기 스위치 블록은:상기 생체 자극 신호가 상기 제 1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에 턴 온되는 제 1 스위치 회로; 그리고상기 제 1 스위치 회로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생체 자극 신호가 상기 제 2 기준 전압보다 낮은 경우에 턴 온되는 제 2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생체 자극 및 생체 신호 측정 겸용 회로
4 4
제 3 항에 있어,상기 제 1 스위치 회로는 N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위치 회로는 PMOS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상기 NMOS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이 상기 제 1 기준 전압이고, 상기 PMOS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이 상기 제 2 기준 전압인 생체 자극 및 생체 신호 측정 겸용 회로
5 5
제 1 항에 있어,상기 생체 자극 모드에서 상기 생성된 생체 자극 신호가 상기 제 1 기준 전압보다 큰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제 1 턴 온 전압을 생성하는 제 1 비교기; 그리고상기 생체 자극 모드에서 상기 생성된 생체 자극 신호가 상기 제 2 기준 전압보다 작은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제 2 턴 온 전압을 생성하는 제 2 비교기를 더 포함하되,상기 스위치 블록은,상기 제 1 턴 온 전압에 의해 턴 온 또는 오프되는 제 1 스위치 회로; 그리고상기 제 1 스위치 회로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 2 턴 온 전압에 의해 턴 온 또는 오프 되는 제 2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생체 자극 및 생체 신호 측정 겸용 회로
6 6
제 5 항에 있어,상기 생체 신호 측정 회로로부터 측정 결과를 피드백 받아 상기 생체 자극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는 생체 자극 및 생체 신호 측정 겸용 회로
7 7
제 1 항에 있어,상기 생체 자극 신호는 tDCS(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ACS(transcranial Alternating Current Stimulation), 그리고 tRNS(transcranial Random-Noise Stimul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자극 및 생체 신호 측정 겸용 회로
8 8
제 1 항에 있어,상기 생체 신호는 EEG(Electroencephalogram), ECG(Electrocardiogram), EMG(Electromyogram), 그리고 EOG(Electrooculograph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생체 자극 및 생체 신호 측정 겸용 회로
9 9
생체 자극 모드에서 생체 자극 신호를 생성하는 생체 자극 신호 생성 회로;상기 생체 자극 모드에서 생성된 상기 생체 자극 신호를 출력하고, 생체 신호 측정 모드에서 생체 신호를 입력 받기 위한 제 1 및 제 2 생체 신호 전극;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생체 신호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 신호 전극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생체 신호 전극과 상기 생체 자극 신호 생성 회로를 연결하는 다중화기;상기 생체 자극 신호 생성 회로와 상기 다중화기가 연결된 연결 노드;상기 생체 자극 신호의 전압이 제 1 기준 전압보다 크거나 제 2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 턴 온되는 스위치 블록;상기 연결 노드와 상기 스위치 블록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블록의 턴 온 여부에 따라 상기 선택된 생체 신호 전극의 신호의 전압을 분배하는 직렬 연결된 제 1 및 제 2 저항; 그리고상기 스위치 블록의 턴 온 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저항에 의해 분배된 전압 신호를 측정하거나 상기 선택된 생체 신호 전극의 신호를 측정하는 생체 신호 측정 회로를 포함하되,상기 제 1 기준 전압은 상기 제 2 기준 전압보다 큰 생체 자극 및 생체 신호 측정 겸용 회로
10 10
제 9 항에 있어,상기 생체 신호 측정 회로로부터 측정 결과를 피드백 받아 상기 생체 자극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는 생체 자극 및 생체 신호 측정 겸용 회로
11 11
제 9 항에 있어,상기 스위치 블록은:상기 생체 자극 신호가 상기 제 1 기준 전압보다 큰 경우에 턴 온되는 제 1 스위치 회로; 그리고상기 제 1 스위치 회로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생체 자극 신호가 상기 제 2 기준 전압보다 낮은 경우에 턴 온되는 제 2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생체 자극 및 생체 신호 측정 겸용 회로
12 12
제 9 항에 있어,상기 생체 자극 모드에서 상기 생성된 생체 자극 신호가 상기 제 1 기준 전압보다 큰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제 1 턴 온 전압을 생성하는 제 1 비교기; 그리고상기 생체 자극 모드에서 상기 생성된 생체 자극 신호가 상기 제 2 기준 전압보다 작은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제 2 턴 온 전압을 생성하는 제 2 비교기를 더 포함하되,상기 스위치 블록은,상기 제 1 턴 온 전압에 의해 턴 온 또는 오프되는 제 1 스위치 회로; 그리고상기 제 1 스위치 회로와 병렬 연결되고, 상기 제 2 턴 온 전압에 의해 턴 온 또는 오프 되는 제 2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생체 자극 및 생체 신호 측정 겸용 회로
13 13
제 12 항에 있어,상기 생체 신호 측정 회로로부터 측정 결과를 피드백 받아 상기 생체 자극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하는 생체 자극 및 생체 신호 측정 겸용 회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10390756 US 미국 FAMILY
2 US20170238865 US 미국 FAMILY
3 US20190336070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10390756 US 미국 DOCDBFAMILY
2 US2017238865 US 미국 DOCDBFAMILY
3 US2019336070 US 미국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산업기술혁신사업 인체삽입 장치용 초음파 무선전력전송 기반 지속가능 전원 모듈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