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조명용 소켓과 등기구 간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데이터 라인 구조 및 방법(DATA LINE STRUCTURE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BETWEEN LIGHTING SOCKET AND LIGHTS)

  • 기술번호 : KST2017014394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장치간 통신 및 용이한 접속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조명용 소켓과 등기구 간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데이터 라인 구조 및 방법을 제공하되, 제어서버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디바이스쪽으로 가시광통신을 통해 멀티데이터신호를 전송시키고, 이웃하는 또 다른 스마트 LED 조명기구와 유무선 근거리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양방향데이터통신을 하는 스마트 LED 조명기구(100); 상기 스마트 LED 조명기구(100)와 원거리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LED 조명기구의 동작을 제어시키는 제어서버(200); 상기 스마트 LED 조명기구(100)의 소켓형 VLC모듈(110a)의 조명용 소켓(119)과 등기구패키지형 VLC모듈(120a)의 등기구용 전구(129)간 접속시 AC전원과 DC전원을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시키는 분리형 인터페이스(300);를 포함하는 스마트 VLC 조명기구를 통한 멀티데이터신호 전송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스마트디바이스의 카메라를 통한 이미지 센서 수신의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고, 실내위치인식을 구현할 수 있고, LED소켓구조, LED가로등 등기구커버구조, LED형광등 등기구 커버구조로 이루어진 LED 조명기구에 널리 호환 적용시킬 수 있다.
Int. CL H05B 37/02 (2017.03.04) H04B 10/116 (2017.03.04) H04M 1/725 (2017.03.04) F21V 19/00 (2017.03.04)
CPC
출원번호/일자 1020170026495 (2017.02.28)
출원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7-0101830 (2017.09.0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60024454   |   2016.02.29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노원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차재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지명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차우빌딩*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02.28 수리 (Accepted) 1-1-2017-0206094-36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제어서버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디바이스쪽으로 가시광통신을 통해 멀티데이터신호를 전송시키고, 이웃하는 또 다른 스마트 LED 조명기구와 유무선 근거리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양방향데이터통신을 하는 스마트 LED 조명기구(100);상기 스마트 LED 조명기구(100)와 원거리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스마트 LED 조명기구의 동작을 제어시키는 제어서버(200);상기 스마트 LED 조명기구(100)의 소켓형 VLC모듈(110a)의 조명용 소켓(119)과 등기구패키지형 VLC모듈(120a)의 등기구용 전구(129)간 접속시 AC전원과 DC전원을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시키는 분리형 인터페이스(300);를 포함하는 스마트 VLC 조명기구를 통한 멀티데이터신호 전송장치에 적용되는 것인 조명용 소켓과 등기구 간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데이터 라인 구조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LED 조명기구(100)는LED소켓구조로 이루어져, 소켓나사산으로 짝을 이루면서 데이터통신인터페이스를 형성시킨 후, LED 발광을 통해 가시광통신을 생성시켜 이웃하는 스마트디바이스와 멀티데이터신호를 송수신시키는 소켓형 VLC모듈(110)과,LED가로등 등기구커버구조 및 LED형광등 등기구 커버구조로 이루어져, 등기구커버의 내부공간 일측에 패키지모듈로 형성되어 LED 발광을 통해 가시광통신을 생성시켜 이웃하는 스마트디바이스와 멀티데이터신호를 송수신시키는 등기구패키지형 VLC모듈(120)로 구성되는 것인 조명용 소켓과 등기구 간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데이터 라인 구조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형 VLC모듈(110)은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제1 조명기구본체(111)와, 제1 조명기구 본체의 소켓지지대 전단면 일측에 위치되고, 제1 스마트 LED 데이터제어모듈의 멀티데이터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LED 불빛을 발광시키고, 가시광통신을 통해 이웃하는 또 다른 스마트 디바이스쪽으로 멀티데이터정보를 송수신시키는 제1 LED 램프(112)와,제1 조명기구 본체에 임플란트 구조로 설치되어, 제어서버로부터 전달된 제어데이터의 신호에 따라 제1 LED 램프를 제어하여 가시광통신을 통해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디바이스쪽으로 멀티데이터신호를 전송시키고, 이웃하는 또 다른 스마트 LED 조명기구와 근거리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양방향데이터통신시키는 제1 스마트 LED 데이터제어모듈(113)로 구성되는 것인 조명용 소켓과 등기구 간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데이터 라인 구조
4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 LED 데이터제어모듈(113)은소켓지지대의 후단 일측에 위치되어, 전기라인을 통해 전원을 전달받아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시키는 제1 전원공급부(113a)와,소켓지지대와 제1전원공급부 사이의 베이스 내부공간에 핀소켓타입으로 탈부착식 구조로 설치되어, 제1 LED모듈에서 생성된 가시광통신을 통해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디바이스쪽으로 멀티데이터신호를 전송시키고, 이웃하는 또 다른 스마트 LED 조명기구와 근거리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양방향데이터통신시키는 제1 멀티제어모듈(113b)과, 데이터전송인터페이스형성부와 짝을 이루도록 소켓지지대의 암나사산 일측에 Vdd접지단자, 그라운드단자, 데이터연결단자를 형성시켜, 짝을 이루는 데이터전송인터페이스형성부가 소켓접지되면 멀티제어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멀티데이터신호를 데이터전송인터페이스로 전달시키는 소켓인터페이스형성부(113c)와,제1 조명기구본체의 소켓안내헤드부와 소켓지지대 사이에 링형구조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또 다른 스마트 LED 조명기구와 근거리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시키는 제1 송수신부(113d)로 구성되는 것인 조명용 소켓과 등기구 간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데이터 라인 구조
5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마트 LED 데이터제어모듈(113)은제1 조명기구본체의 소켓지지대에 하나 이상의 암나사산 소켓이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암나사산 소켓이 분기될 때마다 식별ID를 추가로 설정시킨 후, 식별ID별로 짝을 이루는 데이터전송인터페이스형성부가 소켓접지되면 멀티제어모듈로부터 전달받은 멀티데이터신호를 데이터전송인터페이스형성부로 전달시키는 소켓분기인페이스형성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인 조명용 소켓과 등기구 간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데이터 라인 구조
6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멀티제어모듈(113b)은제1 전원연결부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제어하여 각 기기에 공급시키는 제1 전원제어모듈(113b-1)과,제어서버와 유무선통신을 통해 멀티제어데이터를 수신받아서 제1 가시광 송수신 모듈로 전달시키는 제1 데이터수신제어모듈(113b-2)과,제1 데이터수신제어모듈로부터 멀티제어데이터를 수신받아, 데이터전송인터페이스형성부와 짝을 이루는 소켓인터페이스형성부의 Vdd접지단자, 그라운드단자, 데이터연결단자가 맞춤결합되어 접지되면, LED 소켓과 소켓지지대가 하나의 맞춤형 세트로 인식하여, 제1 LED 제어드라이버모듈(113b-5)쪽으로 멀티데이터신호를 전달시킨 후, 제1 LED램프를 제어하여 가시광통신을 통해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디바이스와 멀티데이터신호를 송수신시키는 제1 가시광송수신모듈(113b-3)과,제1 송수신부의 무선연결을 통해 이웃하는 스마트디바이스 및 스마트 LED 조명기구와 근거리네트워크존을 형성시켜 멀티데이터신호를 송수신시키는 제1 근거리네트워크존 형성 인터페이스모듈(113b-4)과,제1 가시광송수신모듈(113b-3)로부터 멀티데이터신호를 전달받아 제1 LED 램프를 제어시키는 제1 LED 제어드라이버모듈(113b-5)로 구성되는 것인 조명용 소켓과 등기구 간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데이터 라인 구조
7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구패키지형 VLC모듈(120)은등기구커버로 이루어져 각 기기를 외압으로부터 보호하고 지지하는 제2 조명기구본체(121)와,제2 조명기구 본체의 등기구커버 하단면 일측에 위치되고, 제2 스마트 LED 데이터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LED 불빛을 발광시키는 제2 LED 램프(122)와,제2 조명기구 본체의 등기구커버 일측 내부공간에 위치되어, 제어서버로부터 전달된 멀티데이터신호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2 LED 램프를 제어하여 가시광통신을 통해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디바이스쪽으로 멀티데이터신호를 전송시키고, 이웃하는 또 다른 스마트 LED 조명기구와 근거리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양방향데이터통신시키는 제2 스마트 LED 데이터제어모듈(123)로 구성되는 것인 조명용 소켓과 등기구 간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데이터 라인 구조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마트 LED 데이터제어모듈(123)은제2 조명기구본체의 등기구커버 측면 일측에 위치되어, 유선라인을 통해 전원을 전달받아 각 기기에 전원을 공급시키는 제2 전원공급부(123a)와,제2 조명기구본체의 등기구커버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제2 LED모듈을 제어하여 가시광통신을 통해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디바이스쪽으로 멀티데이터신호를 전송시키고, 이웃하는 또 다른 스마트 LED 조명기구와 근거리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하여 양방향데이터통신시키는 제2 멀티제어모듈(123b)과,제2 조명기구본체의 등기구커버 외부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또 다른 스마트 LED 조명기구와 근거리 유무선통신망으로 연결시키는 제2 송수신부(123c)로 구성되는 것인 조명용 소켓과 등기구 간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데이터 라인 구조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멀티제어모듈(123b)은제2 전원연결부를 통해 인가된 전원을 제어하여 각 기기에 공급시키는 제2 전원제어모듈(123b-1)과,제어서버와 유무선통신을 통해 멀티제어데이터를 수신받아서 제2 가시광 송수신 모듈로 전달시키는 제2 데이터수신제어모듈(123b-2)과,제2 데이터수신제어모듈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제2 LED 제어드라이버모듈(123b-5)쪽으로 멀티데이터신호를 전달시킨 후, 제2 LED램프를 제어하여 가시광통신을 통해 근거리에 위치한 스마트디바이스와 멀티데이터신호를 송수신시키는 제2 가시광송수신모듈(123b-3)과,제2 송수신부의 무선연결을 통해 이웃하는 스마트디바이스 및 스마트 LED 조명기구와 근거리네트워크존을 형성시켜 멀티데이터신호를 송수신시키는 제2 근거리네트워크존 형성 인터페이스모듈(123b-4)과,제2 가시광송수신모듈(123b-3)로부터 멀티데이터신호를 전달받아 제2 LED 램프를 제어시키는 제2 LED 제어드라이버모듈(123b-5)로 구성되는 것인 조명용 소켓과 등기구 간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데이터 라인 구조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인터페이스(300)는상기 등기구패키지형 VLC모듈(120a)의 등기구용 전구(129)의 확산판(122c)의 반대쪽 단부에 배치되고, 소켓 표준 규격에 대응하게 수나사가 외주면에 형성된 전등 꼭지부(330);상기 전등 꼭지부(330)의 끝단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전등 꼭지부(330)에 대하여 서로 절연되도록 형성된 첨단부(340);상기 전등 꼭지부(330)와 상기 등기구용 전구(129)의 몸체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등 꼭지부(330)에 대하여 서로 절연되도록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된 DC접점부(320); 및상기 DC접점부(320)로부터 상기 확산판(122c) 쪽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DC접점부(320)에 대하여 서로 절연되도록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된 그라운드부(310)를 포함하는 것인 조명용 소켓과 등기구 간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데이터 라인 구조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인터페이스(300)는상기 등기구용 전구(129)에 대면하는 외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벽, 천장 등과 같은 설치구조물(10)의 설치구멍(11)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외측나사산(119a)이 형성된 조명용 소켓(119)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소켓 표준 규격에 대응하게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AC전원의 일측 전선이 접속되어 있는 금속튜브부(331);AC전원의 타측 전선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조명용 소켓(119)의 내부 끝단면의 중심에 설치된 탄성 안착부(341); 및상기 소켓형 VLC모듈(110a)과 상기 등기구패키지형 VLC모듈(120a)간 DC통신용 데이터 라인(355,356)으로서, 상기 소켓형 VLC모듈(110a)의 내부에 장착된 스마트 LED 데이터제어모듈용 인쇄회로기판(123d)에 접속된 한 쌍의 연장터미널(311,321)을 포함하는 것인 조명용 소켓과 등기구 간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데이터 라인 구조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터미널(311,321)은상기 DC통신용 데이터 라인(355,356)의 일측이 되며, 스마트 LED 데이터제어모듈용 인쇄회로기판(123d)의 그라운드 단자에 접지된 탄성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등기구용 전구(129)의 그라운드부(310)에 접촉되는 제1 연장터미널(311), 및상기 DC통신용 데이터 라인(355,356)의 타측이 되며, 스마트 LED 데이터제어모듈용 인쇄회로기판(123d)의 DC 5V 전원 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제1 연장터미널(311)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탄성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등기구용 전구(129)의 DC접점부(320)에 접촉되는 제2 연장터미널(321)을 포함하는 것인 조명용 소켓과 등기구 간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데이터 라인 구조
13 13
스마트 LED 조명기구(100)와, 상기 스마트 LED 조명기구(100)의 동작을 제어시키는 제어서버(200)와, 상기 스마트 LED 조명기구(100)의 소켓형 VLC모듈(110a)의 조명용 소켓(119)과 등기구패키지형 VLC모듈(120a)의 등기구용 전구(129)간 접속시 AC전원과 DC전원을 개별적으로 각각 연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상기 소켓형 VLC모듈(110a)의 조명용 소켓(119)에 등기구패키지형 VLC모듈(120a)의 상기 등기구용 전구(129)를 나사 결합하는 단계;상기 나사 결합하는 단계에서, 등기구용 전구(129)의 첨단부(340)가 조명용 소켓(119)의 탄성 안착부(341)에 접촉하며 등기구용 전구(129)의 전등 꼭지부(330)가 조명용 소켓(119)의 금속튜브부(331)에 접촉하여서 AC 전원을 통전시키는 단계;상기 나사 결합하는 단계가 이루어지는 도중 또는 나사 결합하는 단계가 끝나는 과정에서, 등기구용 전구(129)의 DC접점부(320)가 상기 조명용 소켓(119)의 제2 연장터미널(321)에 접촉하는 제1 라인 접속 단계; 및상기 제1 라인 접속 단계 이후, 상기 계속되는 나사 결합으로 인하여, 등기구용 전구(129)의 그라운드부(310)가 상기 조명용 소켓(119)의 제1 연장터미널(311)에 접촉하는 제2 라인 접속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조명용 소켓과 등기구 간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하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정보통신·방송 기술개발사업 스마트폰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가시광 통신 응용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