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PDN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전력 관리 방법(DISPLAY DEVICE COMPRISING POWER DELIVERY NETWORK CONTROLLER AND DISPLAY POWER MANAGEMENT METHOD USING THE SAME)

  • 기술번호 : KST2017014650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력 전달 네트워크, 이미지 컨트롤러, 그리고 PDN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서브 패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전달 네트워크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복수의 서브 패널들 각각에 제어 신호에 의해 정해진 전압을 전달하고, 제어 신호를 결정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 컨트롤러는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윈도우 사이즈에 의해 통합할 프레임 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수의 프레임들의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하나의 이미지로 통합하여 통합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PDN 컨트롤러는 상태 정보와 통합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와 사이즈 조절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전력 전달 네트워크에 제공하고, 생성된 윈도우 조절 신호를 이미지 컨트롤러에 제공할 수 있다. 사이즈 조절 신호는 윈도우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다.
Int. CL G09G 3/32 (2016.01.01)
CPC G09G 3/3208(2013.01) G09G 3/3208(2013.01) G09G 3/320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025837 (2016.03.03)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7-0103271 (2017.09.1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3.09)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우주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이석호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3 변경진 대한민국 대전시 서구
4 엄낙웅 대한민국 대전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 고려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길 ** *층(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3.03 수리 (Accepted) 1-1-2016-0208970-29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6.10.19 수리 (Accepted) 1-1-2016-1012287-91
3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20.03.09 수리 (Accepted) 1-1-2020-0245685-5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복수의 서브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 패널 각각에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정해진 전압을 전달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결정하기 위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전달 네트워크;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윈도우 사이즈에 의해 통합할 프레임 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수의 프레임들의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하나의 이미지로 통합하여 통합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미지 컨트롤러; 그리고 상기 상태 정보와 상기 통합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신호와 사이즈 조절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전력 전달 네트워크에 제공하고, 상기 생성된 사이즈 조절 신호를 상기 이미지 컨트롤러에 제공하는 PDN(Power Delivery Network) 컨트롤러를 포함하되,상기 사이즈 조절 신호는 상기 윈도우 사이즈를 조절하는 신호인 디스플레이 장치
2 2
제 1 항에 있어,상기 전력 전달 네트워크는,컨버터 제어 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제 1 전압을 생성하는 제 1 DC-DC 컨버터;상기 컨버터 제어 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제 2 전압을 생성하는 제 2 DC-DC 컨버터; 그리고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DC-DC 컨버터와 상기 복수의 서브 패널을 연결하는 스위치 네트워크를 포함하되,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컨버터 제어 신호와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3
제 2 항에 있어,상기 스위치 네트워크는,상기 제 1 DC-DC 컨버터와 상기 복수의 서브 패널 각각을 연결하고 상기 제 2 DC-DC 컨버터와 상기 복수의 서브 패널 각각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4
제 3 항에 있어,상기 전력 전달 네트워크는,상기 제 1 및 제 2 DC-DC 컨버터의 허용 전류량, 전압 드룹(Voltage Droop)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컨버터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컨버터 모니터; 그리고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에 연결된 상기 제 1 및 제 2 DC-DC 컨버터와 상기 서브 패널의 정보, 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의 허용 전류량을 포함하는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스위치 모니터링 정보를 생성하는 스위치 모니터를 더 포함하되,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컨버터 모니터링 정보 및 상기 스위치 모니터링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5
제 2 항에 있어,상기 PDN 컨트롤러는,상기 통합 이미지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 패널 각각에 제공될 전압의 정보를 포함하는 DVS 정보를 생성하는 DVS 컨트롤러;상기 DVS 정보와 상기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전압 레벨 정보를 포함하는 컨버터 전압 정보와 상기 스위치 네트워크에 의해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DC-DC 컨버터와 복수의 서브 패널의 정보를 포함하는 스위치 연결 정보를 생성하는 전력 컨트롤러;상기 컨버터 전압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전압 레벨을 결정하는 상기 컨버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컨버터 컨트롤러; 그리고상기 스위치 연결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스위치 네트워크의 연결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네트워크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6
제 1 항에 있어,상기 이미지 컨트롤러는,상기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이미지 버퍼;상기 이미지 버퍼에 저장된 상기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이미지 분석기;상기 분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상기 분석 정보와 상기 사이즈 조절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윈도우 사이즈를 결정하는 윈도우 사이즈 컨트롤러; 그리고상기 윈도우 사이즈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분석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결정된 수의 프레임들의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를 하나의 이미지로 통합하여 상기 통합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7
제 6 항에 있어,상기 분석 정보는 상기 이미지 버퍼에 저장된 상기 프레임 이미지 데이터들간에 동일한 부분이 있는지 여부의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8
제 1 항에 있어,상기 전력 전달 네트워크는,컨버터 제어 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전압들을 생성하는 제 1 그룹의 복수의 DC-DC 컨버터;상기 컨버터 제어 신호에 따라 결정되는 전압들을 생성하는 제 2 그룹의 복수의 DC-DC 컨버터; 그리고스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그룹의 복수의 DC-DC 컨버터와 상기 복수의 서브 패널을 연결하는 스위치 네트워크를 포함하되,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컨버터 제어 신호와 상기 스위치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9
제 8 항에 있어,상기 복수의 서브 패널은 제 1 및 제 2 그룹의 복수의 서브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네트워크는 제 1 및 제 2 그룹의 스위치 네트워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그룹의 스위치 네트워크는 상기 제 1 그룹의 복수의 DC-DC 컨버터 각각을 상기 제 1 그룹의 서브 패널 각각과 연결하고, 상기 제 2 그룹의 스위치 네트워크는 상기 제 2 그룹의 복수의 DC-DC 컨버터 각각을 상기 제 2 그룹의 서브 패널 각각과 연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10
제 9 항에 있어,상기 제 1 그룹의 복수의 DC-DC 컨버터의 수는 상기 복수의 서브 패널의 수보다 적고, 상기 제 2 그룹의 복수의 DC-DC 컨버터의 수는 상기 복수의 서브 패널의 수보다 적은 디스플레이 장치
11 11
제 1 항에 있어,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인 디스플레이 장치
12 12
복수의 서브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스위치 네트워크와 복수의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전력 전달 네트워크, 이미지 컨트롤러, 그리고 PDN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전력 관리 방법에 있어,상기 PDN 컨트롤러에 의해, 기존의 윈도우 사이즈와 기존의 상기 전력 전달 네트워크의 상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다음 윈도우를 구성하는 프레임들에 대한 상기 전력 전달 네트워크의 재구성 정보를 생성하는 재구성 정보 생성 단계;상기 PDN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생성된 재구성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윈도우 사이즈를 갱신할지 여부 및 상기 재구성 정보 생성 단계를 재실행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갱신 및 재실행 여부 판단 단계;상기 이미지 컨트롤러 및 상기 PDN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갱신 및 재실행 여부 판단 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윈도우 사이즈를 갱신하고 상기 재구성 정보 생성 단계를 재실행하는 갱신 및 재실행 단계; 그리고상기 전력 전달 네트워크에 의해, 상기 생성된 재구성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전력 전달 네트워크를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방법
13 13
제 12 항에 있어,상기 스위치 네트워크는 상기 복수의 DC-DC 컨버터와 상기 복수의 서브 패널 각각을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방법
14 14
제 13 항에 있어,상기 재구성 정보 생성 단계는,상기 복수의 DC-DC 컨버터의 공급 전압을 변경하고, 상기 복수의 DC-DC 컨버터와 상기 복수의 서브 패널을 재 그룹화하는 재그룹화 단계;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에 흐를 전류량를 예측하고, 상기 전류량이 상기 스위치의 허용 전류량 범위 내인지 판단하는 스위치 전류량 판단 단계;상기 스위치 네트워크의 재구성 시간을 예측하고, 상기 재구성 시간이 상기 복수의 스위치 각각의 턴 온 또는 오프 시간보다 긴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위치 재구성 시간 판단 단계;상기 복수의 서브 패널에 왜곡 현상이 없을지 판단하는 왜곡 여부 판단 단계;상기 복수의 DC-DC 컨버터 각각에 전압 드룹이 없을지 판단하는 드룹 여부 판단 단계;상기 복수의 DC-DC 컨버터 각각의 공급 전류량을 예측하고, 상기 공급 전류량이 상기 DC-DC 컨버터의 허용 전류량 범위 내인지 판단하는 컨버터 전류량 판단 단계; 그리고상기 재그룹화 단계, 스위치 전류량 판단 단계, 스위치 재구성 시간 판단 단계, 왜곡 여부 판단 단계, 드룹 여부 판단 단계, 그리고 컨버터 전류량 판단 단계에 의해 정해진 상기 스위치 네트워크의 재구성 정보 및 상기 복수의 DC-DC 컨버터 각각의 공급 전압 및 공급 전류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재그룹화 단계, 스위치 전류량 판단 단계, 스위치 재구성 시간 판단 단계, 왜곡 여부 판단 단계, 드룹 여부 판단 단계, 그리고 컨버터 전류량 판단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통과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재그룹화 단계부터 재실행하는 전력 관리 방법
15 15
제 12 항에 있어,상기 갱신 및 재실행 여부 판단 단계와 상기 갱신 및 재실행 단계는 상기 재구성 정보 생성 단계의 실행 시간이 기준 시간을 지난 경우에 실행하지 않되,상기 기준 시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기존의 윈도우에 포함되는 프레임들이 실행되는 시간의 절반인 전력 관리 방법
16 16
제 12 항에 있어,상기 갱신 및 재실행 여부 판단 단계는,상기 재구성 정보 생성 단계의 실행 시간이 제 1 기준 시간보다 짧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프로세싱 시간 판단 단계;상기 전력 전달 네트워크의 재구성 시간이 제 2 기준 시간보다 짧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재구성 시간 판단 단계;상기 프로세싱 시간 판단 단계 및 상기 재구성 시간 판단 단계의 결과에 따라, 사이즈 조절 신호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 상기 재구성 정보 생성 단계와 상기 갱신 및 재실행 여부 판단 단계의 실행 시간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기존의 윈도우에 포함되는 프레임들이 실행되는 시간보다 짧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갱신 여부 판단 단계; 그리고상기 갱신 여부 판단 단계의 결과에 따라, 상기 결정된 사이즈 조절 신호를 상기 이미지 컨트롤러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전력 전달 네트워크의 재구성 시간은 상기 스위치 네트워크의 재구성 시간 및 상기 복수의 DC-DC 컨버터의 공급 전압 변경 시간 중 긴 시간인 전력 관리 방법
17 17
제 16 항에 있어,상기 제 1 기준 시간은 기존의 윈도우에 대한 상기 재구성 정보 생성 단계의 실행 시간인 전력 관리 방법
18 18
제 16 항에 있어,상기 제 2 기준 시간은 기존의 윈도우에 대한 상기 전력 전달 네트워크의 재구성 시간인 전력 관리 방법
19 19
제 12 항에 있어,상기 갱신 및 재실행 단계는 상기 갱신 및 재실행 단계의 실행 도중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기존의 윈도우에 포함되는 프레임들이 실행되는 시간이 지난 경우에 중단되는 전력 관리 방법
20 20
제 12 항에 있어,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인 전력 관리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08352148 CN 중국 FAMILY
2 JP31510249 JP 일본 FAMILY
3 US10650732 US 미국 FAMILY
4 US20180293935 US 미국 FAMILY
5 US20200234635 US 미국 FAMILY
6 WO2017150808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CN108352148 CN 중국 DOCDBFAMILY
2 DE112017000149 DE 독일 DOCDBFAMILY
3 JP2019510249 JP 일본 DOCDBFAMILY
4 US10650732 US 미국 DOCDBFAMILY
5 US2018293935 US 미국 DOCDBFAMILY
6 US2020234635 US 미국 DOCDBFAMILY
7 WO2017150808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 Multi-domain 자동차 전장 구조를 위한 ECU용 SoC 및 임베디드 SW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