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세포 간 갭정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초고속 스크리닝 방법(high-throughput screening method for measuring the activity of gap junctional intercellular communication)

  • 기술번호 : KST2017016720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요오드화물(iodide) 수송체를 발현하는 공여체 세포 및 요오드화물 센서 형광 단백질을 발현하는 수용체 세포 간의 갭정션(gap junction) 활성을 측정하는 초고속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요오드화물(iodide) 수송체 막단백질을 발현하는 공여체 세포 및 요오드화물 센서 YFPQL 단백질을 발현하는 수용체 세포를 공동 배양한 후 요오드화물을 첨가하였을 때, 요오드화물이 공여체 세포 내로 들어가서 갭정션을 통해 수용체 세포로 확산 이동하게 되고, 이동한 요오드화물은 YFPQL 단백질과 결합하여 형광을 소광(quenching)할 수 있으며, 이를 측정하여 갭정션의 활성 변화를 민감하고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세포 간 갭정션 활성 측정 방법은 갭정션 활성 조절제를 이용하는 약물 스크리닝 방법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또한, 본 발명의 갭정션 활성 측정 방법은 갭정션을 형성하는 튜브 단백질인 커넥신(connexin)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에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적용 분야의 범위가 넓고, 0.7 이상의 Z’값(Z’factor)을 나타내므로 초고속 스크리닝 분석으로서 효과적이다.
Int. CL G01N 33/50 (2016.05.17) G01N 33/58 (2016.05.17) G01N 33/68 (2016.05.17)
CPC G01N 33/5005(2013.01) G01N 33/5005(2013.01) G01N 33/5005(2013.01) G01N 33/5005(2013.01) G01N 33/5005(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049447 (2016.04.22)
출원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7-0120912 (2017.11.0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04.22)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진우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
2 이주연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부평구
3 최은주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동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룸리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사평대로 ***, *층 (반포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4.22 수리 (Accepted) 1-1-2016-0390176-63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7.02.1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7.04.11 수리 (Accepted) 9-1-2017-0010942-17
4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7.12.2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908062-0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i) 요오드화물(iodide) 수송체를 발현하는 공여체 세포 및 요오드화물 센서 형광 단백질을 발현하는 수용체 세포를 제조하는 단계;ii) 상기 단계 i)에서 제조한 공여체 세포 및 수용체 세포를 혼합하여 공동 배양하는 단계;iii) 상기 단계 ii)에서 공동배양한 배양액을 제거하고 요오드화물을 포함하지 않는 완충용액을 배양 플레이트에 첨가하는 단계;iv) 상기 단계 iii)에서 첨가한 배양 플레이트에 요오드화물을 포함하는 완충용액을 첨가하는 단계;v) 상기 단계 iv)의 첨가 시점으로부터 배양 플레이트의 형광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vi) 상기 단계 v)에서 측정한 형광 강도의 감소를 요오드화물 센서 형광 단백질의 소광(quenching) 비율로서 계산하는 단계; 및vii) 상기 단계 vi)에서 계산한 소광 비율이 증가하면 세포 내 갭정션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간 갭정션(gap junction) 활성 측정 방법
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의 요오드화물 수송체는 SLC26A4 단백질이고, 요오드화물 센서 형광 단백질은 YFP(yellow fluorescent protein)의 H148Q/I152L 치환 변이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간 갭정션 활성 측정 방법
3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의 공여체 세포 및 수용체 세포는 커넥신(connexin)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간 갭정션 활성 측정 방법
4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신 단백질의 발현하는 세포는 신경교종 세포주(glioma cell) 또는 골육종 세포주(osteosarcom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간 갭정션 활성 측정 방법
5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의 혼합은 공여체 세포 및 수용체 세포를 2:1 내지 5: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간 갭정션 활성 측정 방법
6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v)의 완충용액은 요오드화물을 100 내지 150 mM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간 갭정션 활성 측정 방법
7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v)의 측정은 4 내지 20초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간 갭정션 활성 측정 방법
8 8
요오드화물(iodide) 수송체를 발현하는 공여체 세포 및 요오드화물 센서 형광 단백질을 발현하는 수용체 세포를 포함하는, 세포 간 갭정션 활성 측정용 키트
9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요오드화물 수송체는 SLC26A4 단백질이며; 및 상기 요오드화물 센서 형광 단백질은 YFP의 H148Q/I152L 치환 변이 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간 갭정션 활성 측정용 키트
10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여체 세포 및 수용체 세포는 커넥신 단백질을 발현하는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간 갭정션 활성 측정용 키트
11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신 단백질의 발현하는 세포는 신경교종 세포주 또는 골육종 세포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간 갭정션 활성 측정용 키트
12 12
i) 요오드화물 수송체를 발현하는 공여체 세포 및 요오드화물 센서 형광 단백질을 발현하는 수용체 세포를 제조하는 단계;ii) 상기 단계 i)에서 제조한 공여체 세포 및 수용체 세포를 혼합하여 공동 배양하는 단계;iii) 상기 단계 ii)에서 공동배양한 배양액을 제거하여, 요오드화물을 포함하지 않고 피검 약물을 포함하는 완충용액을 배양 플레이트에 첨가하여 배양하는 단계;iv) 상기 단계 iii)에서 배양한 배양 플레이트에 요오드화물을 포함하는 완충용액을 첨가하는 단계;v) 상기 단계 iv)의 첨가 시점으로부터 배양 플레이트의 형광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vi) 상기 단계 v)에서 측정한 형광 강도의 감소를 요오드화물 센서 형광 단백질의 소광 비율로서 계산하는 단계; 및vii) 상기 단계 vi)에서 계산한 소광 비율을 미처리 대조군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갭정션 활성 조절제 스크리닝 방법
13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vii)에서 비교한 결과, 소광 비율을 증가시키면 피검물질을 갭활성 유도물질로 판단하고, 소광 비율을 감소시키면 피검물질을 갭활성 억제물질로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갭정션 활성 조절제 스크리닝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초연구사업(이공분야 기초연구) 지방 세포에서 발현되는 tubby 단백의 조절 및 기능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