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당화 헤모글로빈 측정용 전기화학센서 및 그 제조방법(Electrochemical sensor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기술번호 : KST2017018901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당화 헤모글로빈 측정용 전기화학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센서를 이용하여 당화 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화학센서는 전위차를 이용하여 당화 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측정하여 미량의 시료 중의 당화 헤모글로빈을 높은 정밀도로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Int. CL G01N 33/487 (2016.12.09) G01N 33/49 (2016.12.09) G01N 27/327 (2016.12.09)
CPC
출원번호/일자 1020160163682 (2016.12.02)
출원인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7-0142837 (2017.12.2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60076746   |   2016.06.20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12.02)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성기훈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2 정우성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다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길 **, 신관 *층~*층, **층(역삼동, 광성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12.02 수리 (Accepted) 1-1-2016-1186058-22
2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7.09.2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686601-67
3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7.11.28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1185811-63
4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7.11.28 수리 (Accepted) 1-1-2017-1185812-19
5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8.04.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289127-15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기판;기판상에 형성되며, 탄소성분으로 이루어진 작업전극;기판상에 작업전극과 이격되어 형성되는 기준전극; 및작업전극과 기준전극간의 전위차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며,상기 작업전극은 소혈청 알부민에 의해서 보론산 유도체 화합물이 수식되어 있으며, 상기 보론산 유도체는 표적물질인 당화 헤모글로빈과 특이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센서
2 2
제1항에 있어서,작업전극은탄소나노튜브 페이스트(carbon nanotube paste),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 multi-walled carbon nanotube) 및 그래핀(graph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센서
3 3
제1항에 있어서,기준전극은Ag/AgCl 전극 또는 카본 페이스트(carbon paste) 전극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센서
4 4
삭제
5 5
제1항에 있어서,당화 헤모글로빈과 특이적 결합되는 화합물은3-아미노페닐보론산 수화물(3-aminophenylboronic acid monohydrate)의 보론산 유도체 화합물인 전기화학센서
6 6
제5항에 있어서,측정부는당화 헤모글로빈과 특이적 결합되는 보론산 유도체 화합물의 가역적 산화환원반응에 의해서 형성된 상기 작업전극과 기준전극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하는 전기화학센서
7 7
제6항에 있어서,보론산 유도체 화합물의 가역적 산화환원반응하는 물질은페리시안산(ferricyanic acid), 페로센(ferrocene), 페로센유도체, 퀴논(quinones), 퀴논유도체, 유기전도성염(organic conducting salt), 비오로겐(viologen), 헥사아민루세늄(III)클로라이드(hexaammineruthenium(III) chloride), 디메틸페로센(dimethylferrocene; DMF), 페리시니움(ferricinium), 페로센모노카르복실산(ferocene monocarboxylic acid; FCOOH), 7,7,8,8,-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7,7,8,8-tetracyanoquino-dimethane; TCNQ), 테트라티아풀발렌(tetrathiafulvalene; TTF), 니켈로센(nickelocene; Nc), N-메틸아시디니움(N-methyl acidinium; NMA+), 테트라티아테트라센(tetrathiatetracene; TTT), N-메틸페나지니움(N-methylphenazinium; NMP+), 히드로퀴논(hydroquinone), 3-디메틸아미노벤조산(3-dimethylaminobenzoic acid; MBTHDMAB), 3-메틸-2-벤조티오조리논히드라존(3-methyl-2-benzothiozolinone hydrazone), 2-메톡시-4-아릴페놀(2-methoxy-4-allylphenol), 4-아미노안티피린(4-aminoantipyrin; AAP), 디메틸아닐린(dimethylaniline), 4-아미노안티피렌(4-aminoantipyrene), 4-메톡시나프톨(4-methoxynaphthol), 3,3',5,5'-테트라메틸벤지딘(3,3',5,5'-tetramethyl benzidine; TMB), 2,2-아지노-디-[3-에틸-벤즈티아졸린술포네이트](2,2-azino-di-[3-ethyl-benzthiazoline sulfonate]), o-디아니지딘(o-dianisidine), o-톨루이딘(otoluidine), 2,4-디클로로페놀(2,4-dichlorophenol), 4-아미노페나논(4-aminophenazone), 벤지딘(benzid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전자전달 매개체인 전기화학센서
8 8
제1항에 있어서,작업전극 및 기준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며, 시료가 유입되도록 일측에 개구가 형성되는 스페이서; 및스페이서의 상부에서 개구를 덮는 커버부; 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센서
9 9
제1항에 있어서,전기화학센서는 스트립형태인 것인 전기화학센서
10 10
제1항에 있어서,작업전극 및 기준전극은 측정부와 전도성 페이스트에 의해서 연결되는 전기화학센서
11 11
기판상에 서로 이격되도록 작업전극 및 기준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작업전극 및 기준전극이 형성된 기판에 스페이서를 덮어 작업전극과 기준전극으로 시료가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 및작업전극 및 기준전극과 측정부를 연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전기화학센서의 제조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작업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광식각을 통하여 탄소성분막이 형성된 기판상에 감광성 고분자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감광성 고분자 패턴이 형성된 상기 탄소성분막에 산소 플라즈마 에칭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알코올을 이용하여 상기 감광성 고분자를 제거하여 패터닝된 탄소성분막의 패턴을 형성단계; 및패터닝된 탄소성분막에 표적물질과 결합되는 화합물을 수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센서의 제조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패터닝된 탄소성분막에 표적물질과 특이적 결합되는 화합물을 수식하는 단계는패터닝된 탄소성분막에 안정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탄소성분막에 도포된 안정제에 화합물을 포함하는 완충액을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센서의 제조방법
14 14
제11항에 있어서,기준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은기판에 기준전극형상의 몰드를 형성하는 단계;몰드 내에 Ag/AgCl 또는 카본 페이스트를 주입하여 소성하는 단계; 및몰드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센서의 제조방법
15 15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스페이서의 상부에 커버부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전기화학센서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20170065015 KR 대한민국 FAMILY
2 WO2017095202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 신진연구지원사업 / 신진연구(모험) 카본나노소재를 이용한 플렉시블 바이오 센싱 플랫폼 제작 및 인체 (피부, 안구) 부착용 의료진단 소자로의 응용
2 미래창조과학부 (재)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 기초연구사업 /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 공학분야(ERC) 자가진단용 전기화학 센서 플랫폼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