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수신 신호의 안정성을 고려한 저전력 복조기(Low-Power Demodulator for Enhancing Stability of Receiving Signal)

  • 기술번호 : KST2018001089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고속 AD(Analog-Digitial) 변환기나 DA(Digitial-Analog) 변환기 없이도 아날로그 신호 보상을 통한 간단한 복조기 구성을 이용하여 저전력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고 신호 수신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통신 수신기의 저전력 복조기에 관한 것이다.
Int. CL H04L 25/02 (2016.08.20) H04L 25/03 (2016.08.20) H04L 27/06 (2016.08.20)
CPC H04L 25/0294(2013.01) H04L 25/0294(2013.01) H04L 25/029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092094 (2016.07.20)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8-0010027 (2018.01.3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석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유태환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7.20 수리 (Accepted) 1-1-2016-0705475-10
2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6.10.25 불수리 (Non-acceptance) 1-1-2016-1034842-36
3 서류반려이유통지서
Notice of Reason for Return of Document
2016.10.3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6-0156602-83
4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6.11.07 1-1-2016-1084205-89
5 [반환신청]서류반려요청(반환신청)서
2016.11.07 불수리 (Non-acceptance) 1-1-2016-1083037-36
6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6.11.10 수리 (Accepted) 1-1-2016-1098053-18
7 [반려요청]서류반려요청(반환신청)서
[Request for Return] Request for Return of Document
2016.11.10 수리 (Accepted) 1-1-2016-1097996-68
8 서류반려통지서
Notice for Return of Document
2016.11.1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6-0162584-34
9 [반환신청]서류반려요청(반환신청)서
2016.11.11 수리 (Accepted) 1-1-2016-1101952-1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통신 장치의 저전력 복조기에 있어서,입력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디지털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적응형 판정회로를 포함하고,상기 적응형 판정회로는,상기 입력 아날로그 신호와 결정 기준 레벨을 비교하여 디지털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비교기; 및상기 디지털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결정 기준 레벨을 설정하는 기준값 설정회로를 포함하며,상기 기준값 설정회로는, 클럭 신호의 액티브 시마다 상기 디지털 출력 신호의 연속된 하이(high) 상태를 카운트하여, 카운트 수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결정 기준 레벨을 높은 레벨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복조기
2 2
제1항에 있어서,유선 신호 처리에 있어서, 부유 용량(stary capacitance) 부하 영향으로 인한 고속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하이(high) 또는 로우(low) 상태 식별 오류를 감소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복조기
3 3
제1항에 있어서,무선 신호 처리에 있어서, 스크램블러 없이 고속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하이(high) 또는 로우(low) 상태 식별 오류를 감소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복조기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기준값 설정회로는,상기 클럭 신호의 액티브 시마다 상기 디지털 출력 신호의 연속된 하이(high) 상태를 카운트하여 상기 카운트 수가 상기 설정값 이상이면 하이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그렇지 않으면 로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기; 및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결정 기준 레벨을 가변하는 제1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복조기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제1회로는,상기 제어기의 출력과 상기 비교기의 상기 결정 기준 레벨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전류 드라이버와 제1저항; 및 전원의 양측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2저항과 제3저항을 포함하고,상기 2저항과 제3저항의 접점이 상기 결정 기준 레벨 단자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복조기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기준값 설정회로는,상기 클럭 신호의 액티브 시마다 상기 디지털 출력 신호의 연속된 하이(high) 상태를 카운트하여, 상기 카운트 수를 복수개로 설정된 설정값들과 비교하여, 3이상 다른 가지수로 하이 출력 신호들의 조합을 생성하는 제어기; 및상기 제어기로부터의 출력 신호들의 상태에 따라 상기 결정 기준 레벨을 3이상 다르게 가변하는 제2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복조기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2회로는,상기 제어기의 출력들과 상기 비교기의 상기 결정 기준 레벨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전류 드라이버와 저항을 갖는 회로가 복수개 병렬 연결된 회로; 및 전원의 양측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2저항과 제3저항을 포함하고,상기 2저항과 제3저항의 접점이 상기 결정 기준 레벨 단자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복조기
8 8
통신 장치의 저전력 복조기에서 입력 아날로그 신호에 대하여 디지털 출력을 위한 적응형 판정 방법에 있어서,상기 입력 아날로그 신호와 결정 기준 레벨을 비교하여 디지털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디지털 출력 신호를 기초로 상기 결정 기준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결정 기준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는,클럭 신호의 액티브 시마다 상기 디지털 출력 신호의 연속된 하이(high) 상태를 카운트하여, 카운트 수가 설정값 이상이면 상기 결정 기준 레벨을 높은 레벨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판정 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유선 신호 처리에 있어서, 부유 용량(stary capacitance) 부하 영향으로 인한 고속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하이(high) 또는 로우(low) 상태 식별 오류를 감소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판정 방법
10 10
제8항에 있어서,무선 신호 처리에 있어서, 스크램블러 없이 고속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하이(high) 또는 로우(low) 상태 식별 오류를 감소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판정 방법
11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기준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는,상기 클럭 신호의 액티브 시마다 상기 디지털 출력 신호의 연속된 하이(high) 상태를 카운트하여 상기 카운트 수가 상기 설정값 이상이면 하이 출력 신호를 생성하고, 그렇지 않으면 로우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출력 신호의 상태에 따라 상기 결정 기준 레벨을 가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판정 방법
12 12
제8항에 있어서,상기 결정 기준 레벨을 설정하는 단계는,상기 클럭 신호의 액티브 시마다 상기 디지털 출력 신호의 연속된 하이(high) 상태를 카운트하여, 상기 카운트 수를 복수개로 설정된 설정값들과 비교하여, 3이상 다른 가지수로 하이 출력 신호들의 조합을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출력 신호들의 상태에 따라 상기 결정 기준 레벨을 3이상 다르게 가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응형 판정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 초연결 스마트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5G 이동통신 핵심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