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주사 가능한 3차원 나노섬유 스캐폴드 및 이의 제조방법(Injectable three-dimensional nano fiber scaffold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기술번호 : KST2018002028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주사 가능한 3차원 나노섬유 스캐폴드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 가능한 3차원 나노섬유 스캐폴드는, 3차원 전기방사된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섬유에 하이드로젤을 코팅시킴으로써, 3차원적으로 세포를 성장시킴과 동시에, 단순 주사를 통해 이를 생체 내 원하는 부위에 전달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스캐폴드를 이용한 세포 또는 약물의 전달 과정에서, 주사에 의한 세포의 이탈을 최소화시키면서, 세포 증식 활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었으며, 하이드로젤 성분에 따라 약물 방출 속도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바, 본 발명은 세포 또는 약물 치료 분야의 핵심기술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t. CL A61L 27/56 (2006.01.01) A61L 27/58 (2006.01.01) A61L 27/52 (2006.01.01) A61L 27/18 (2006.01.01) A61K 47/30 (2017.01.01) A61K 9/00 (2006.01.01) B82Y 5/00 (2017.01.01)
CPC A61L 27/56(2013.01) A61L 27/56(2013.01) A61L 27/56(2013.01) A61L 27/56(2013.01) A61L 27/56(2013.01) A61L 27/56(2013.01) A61L 27/56(2013.01) A61L 27/56(2013.01) A61L 27/56(2013.01) A61L 27/56(2013.01) A61L 27/5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102823 (2016.08.12)
출원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8-0018000 (2018.02.2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거절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1020200058351;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7.11.07)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장재형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마포구
2 박국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3 이슬기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다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길 **, 신관 *층~*층, **층(역삼동, 광성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8.12 수리 (Accepted) 1-1-2016-0784690-05
2 [공지예외적용 보완 증명서류]서류제출서
2016.09.08 수리 (Accepted) 1-1-2016-0875971-31
3 [출원서 등 보정(보완)]보정서
2016.09.08 수리 (Accepted) 1-1-2016-0875911-13
4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7.01.05 수리 (Accepted) 1-1-2017-0013421-03
5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7.11.07 수리 (Accepted) 1-1-2017-1102941-11
6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8.10.15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7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8.12.07 수리 (Accepted) 9-1-2018-0068595-93
8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9.06.0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398439-13
9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9.08.05 수리 (Accepted) 1-1-2019-0798344-09
10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9.08.05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9-0798345-44
11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9.12.1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920329-45
12 [법정기간연장]기간연장(단축, 경과구제)신청서
2020.01.20 수리 (Accepted) 1-1-2020-0063372-52
13 법정기간연장승인서
2020.01.2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20-0012905-07
14 [명세서등 보정]보정서(재심사)
Amendment to Description, etc(Reexamination)
2020.02.18 보정승인 (Acceptance of amendment) 1-1-2020-0171303-78
15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20.02.18 수리 (Accepted) 1-1-2020-0171304-13
16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20.03.1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20-0195440-12
17 [법정기간연장]기간 연장신청서·기간 단축신청서·기간 경과 구제신청서·절차 계속신청서
2020.04.16 수리 (Accepted) 1-1-2020-0393090-88
18 법정기간연장승인서
2020.04.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20-0058807-97
19 [분할출원]특허출원서
[Divisional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1-1-2020-0492641-8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섬유 및 하이드로젤 전구체 용액을 혼합하는 단계; 및 b)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섬유 표면에 하이드로젤을 코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사 가능한 3차원 나노섬유 스캐폴드의 제조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섬유는, 코어 부분에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을, 쉘 부분에는 폴리스티렌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코어-쉘 구조의 나노섬유 전기방사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나노섬유 전기방사체에서 쉘 부분의 폴리스티렌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나노섬유 스캐폴드의 제조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테이트-co-글리콜산, 폴리(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co-3-하이드록시발러레이트) (PHBV), 폴리(L-락타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L-락타이드-co-D-락타이드), 젤라틴, 콜라겐, 및 엘라스틴 유사 펩타이드 (elastin-like peptid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나노섬유 스캐폴드의 제조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젤 전구체 용액은, 용액 전체 중량에 대하여, 하이드로젤 전구체를 2 내지 20 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나노섬유 스캐폴드의 제조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젤을 형성하는 고분자의 탄성계수는 10 내지 100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나노섬유 스캐폴드의 제조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젤을 형성하는 고분자의 압축계수는 0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젤을 형성하는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PHEMA), 폴리아크릴산 (PAA), 폴리비닐알코올 (PVA), 폴리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PNIPAM),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폴리락트산 (PLA), 폴리글리콜산 (PGA), 폴리카프로락톤 (PCL), 젤라틴, 히알루론산, 알지네이트, 카라기난, 키토산,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알킬셀룰로오스, 실리콘, 고무, 아가, 카르복시비닐 공중합체, 폴리디옥솔란, 폴라아크릴아세테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무수말레인산/비닐에테르로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나노섬유 스캐폴드의 제조방법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젤을 코팅시키는 단계는 가교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나노섬유 스캐폴드의 제조방법
9 9
전기방사된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섬유; 및상기 나노섬유에 코팅된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3차원 나노섬유 스캐폴드
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섬유는, 코어 부분에 생분해성 고분자 용액을, 쉘 부분에는 폴리스티렌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코어-쉘 구조의 나노섬유 전기방사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상기 나노섬유 전기방사체에서 쉘 부분의 폴리스티렌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나노섬유 스캐폴드
11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는,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폴리락테이트-co-글리콜산, 폴리(3-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co-3-하이드록시발러레이트) (PHBV), 폴리(L-락타이드-co-카프로락톤), 폴리(L-락타이드-co-D-락타이드), 젤라틴, 콜라겐, 및 엘라스틴 유사 펩타이드 (elastin-like peptid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나노섬유 스캐폴드
12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고분자 나노섬유의 직경은 0
13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젤을 형성하는 고분자의 탄성계수는 10 내지 100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나노섬유 스캐폴드
14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젤을 형성하는 고분자의 압축계수는 0
15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젤을 형성하는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PEG), 폴리에틸렌옥사이드 (PEO),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PHEMA), 폴리아크릴산 (PAA), 폴리비닐알코올 (PVA), 폴리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PNIPAM), 폴리비닐피롤리돈 (PVP), 폴리락트산 (PLA), 폴리글리콜산 (PGA), 폴리카프로락톤 (PCL), 젤라틴, 히알루론산, 알지네이트, 카라기난, 키토산, 하이드록시알킬셀룰로오스, 알킬셀룰로오스, 실리콘, 고무, 아가, 카르복시비닐 공중합체, 폴리디옥솔란, 폴라아크릴아세테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무수말레인산/비닐에테르로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나노섬유 스캐폴드
16 16
제9항의 3차원 나노섬유 스캐폴드를 포함하는, 세포 전달체
17 17
제9항의 3차원 나노섬유 스캐폴드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ERC/패턴 직접형 능동 폴리머 소재센터(3/3,3단계)(2007.9.1.~2016.2.29.)
2 미래창조과학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중추신경재생을 위한 신축성-주입형-자기조립 적층형 스마트 나노섬유 스캐폴드 개발(1/3)
3 보건복지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 2세부) 인간신경줄기세포 특이적 신개념 아데노부속바이 러스(AAV r3.45)를 활용한 유전자-세포치료기술의 임상적용 프로토콜 정립
4 미래창조과학부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아데노부속바이러스 기반 human NK/T세포 타겟팅 유전자전달 시스템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