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경피약물전달 촉진장치(Transdermal drug delivery promoting apparatus for treatment of soft tissue diseases)

  • 기술번호 : KST2018002124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경피약물전달 촉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펄스를 방출하는 복수의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펄스생성부에 생성되는 펄스는, 피부에 도포된 또는 피부부착물에 담지된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약물을 피부 표면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시간 순서에 따라 다음 펄스가 이전 펄스보다 주파수가 커지며, 상기 피부 표면으로 이동된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약물을 피부 내부로 흡수시키기 위하여, 시간 순서에 따라 다음 펄스가 이전 펄스보다 주파수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다중 주파수를 이용하는 복수의 펄스에 의하여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약물을 피부 표면으로 이동시킨 후, 이어서 상기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약물을 피부 내부로 흡수를 촉진시키는 2단계를 거침으로써 연부조직질환의 치료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Int. CL A61M 35/00 (2016.09.22) A61M 37/00 (2016.09.22) A61K 9/00 (2016.09.22) A61K 38/18 (2016.09.22)
CPC A61M 35/003(2013.01) A61M 35/003(2013.01) A61M 35/003(2013.01) A61M 35/003(2013.01) A61M 35/003(2013.01) A61M 35/003(2013.01) A61M 35/003(2013.01) A61M 35/003(2013.01) A61M 35/00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104427 (2016.08.17)
출원인 (주)오스힐,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8-0020008 (2018.02.27)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08.17)
심사청구항수 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주)오스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구
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송주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2 송해용 서울특별시 구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충현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산로 **, *층(양재동, 베델회관)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주)오스힐 서울특별시 구
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 성북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8.17 수리 (Accepted) 1-1-2016-0798375-00
2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6.08.1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6-0124706-38
3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6.08.23 수리 (Accepted) 1-1-2016-0820392-38
4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7.04.1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5 [출원인변경]권리관계변경신고서
[Change of Applicant] Report on Change of Proprietary Status
2017.05.24 수리 (Accepted) 1-1-2017-0495366-50
6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7.06.12 수리 (Accepted) 9-1-2017-0018534-78
7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8.03.14 수리 (Accepted) 1-1-2018-0253514-47
8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8.03.1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182341-48
9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8.04.16 수리 (Accepted) 1-1-2018-0376651-90
10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8.04.16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8-0376650-44
11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8.07.1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480409-66
12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8.07.17 수리 (Accepted) 1-1-2018-0705169-12
13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8.07.17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8-0705168-77
14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8.07.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495609-31
1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0.10 수리 (Accepted) 4-1-2019-5210941-0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소정의 주파수를 가지는 펄스를 생성하는 펄스생성부; 및상기 생성된 펄스를 방출하는 복수의 전극부를 포함하고,상기 펄스생성부에 생성되는 펄스는,피부에 도포된 또는 피부부착물에 담지된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약물을 피부 표면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시간 순서에 따라 다음 펄스가 이전 펄스보다 주파수가 커지며, 상기 피부 표면으로 이동된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약물을 피부 내부로 흡수시키기 위하여, 시간 순서에 따라 다음 펄스가 이전 펄스보다 주파수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경피약물전달 촉진장치로서,상기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약물을 피부 내부로 흡수시키는데 이용되는 펄스는, 3 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 크기를 가지는 펄스로 구성되고, 주파수가 큰 펄스부터 상기 피부에 인가되어 피부 내부에 전기천공을 형성하되,상기 3 개의 펄스 중 주파수가 가장 높은 주파수를 갖는 제 1 펄스는 피부 각질층에 작용하고, 중간 주파수를 갖는 제 2 펄스는 피부 표피층에 작용하며, 가장 낮은 주파수를 갖는 제 3 펄스는 진피층에 작용하여 지질 이중층에 세포간극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약물을 피부 내부로 흡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경피약물전달 촉진장치
2 2
삭제
3 3
삭제
4 4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약물을 피부 표면으로 이동시키는데 이용되는 펄스는, 3 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 크기를 가지는 펄스로 구성되고, 주파수가 작은 펄스부터 피부의 도포물 또는 피부부착물에 인가되어 피부 방향으로 전기적 파동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약물을 피부 표면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경피약물전달 촉진장치
5 5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펄스생성부는,부스트업에 의해 승압된 전압을 H 브리지를 통해 첨두치를 두 배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경피약물전달 촉진장치
6 6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극부는,2 개 이상으로 형성되어 바이폴라 형태의 두 개의 접점을 가지도록 두 개씩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경피약물전달 촉진장치
7 7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극부는,반원형, 반타원형, 원형, 돌기형, 또는 브러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경피약물전달 촉진장치
8 8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연부조직질환은 아킬레스 건염, 회전근개 건염, 슬개 건염 또는 염좌, 손목인대염, 발목 인대염, 슬개 인대염, 또는 퇴행성 또는 염증성 관절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경피약물전달 촉진장치
9 9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약물은 TGF-alpha, TGF-beta, TGF-beta 1, TGF-beta 2, TGF-beta 3, PDGFA, PDGFB, PDGFC, PDGFD, bFGF, FGF2, FGF-beta, VEGF-A, VEGF-B, VEGF-C, VEGF-D, IGF-1, IGF-2, BMP-7,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트라마돌(tramadol), 콜키친(colchicin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메틸프레드니솔론(methylprednisolone), 데플라자코트(deflazacort), 트리암시놀론(triamcin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 아스피린(Aspirin), 피록시캄(piroxicam), 이부프로펜(ibuprofen), 나프록센(naproxen), 케토프로펜(ketoprofen), 록소프로펜(loxopropen), 메페남산(mefenamic acid), 디클로페낙(diclofenac sodium), 아세클로페낙(aceclofenac), 멜로시캄(meloxicam), 나부메톤(nabumetone), 세레콕시브(celecoxib), 로페콕시브(rofecoxib), 에토리콕시브(etoricoxib), 폴마콕시브(polmacoxib), 심바스타틴(simbastatin), 아트로바스타틴(Atrovastatin), 플루바스타틴(Fluvastatin), 로바스타틴(Lovastatin), 로슈바스타틴(rosuvastatin), 카퍼펩타이드(Copper-peptide),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글루코사민(glucosamine), 콘드로이틴(chondroitin), 디아세린(diacerein), 히알루로닉산(hyaluronic acid), 메토트렉세이드(methotrexate), 설파살라진(Sulfasalazine), 하이드록시클로로퀸(hydroxycholoroquine), 골드(gold), 디페니실라민(D-penicillamine), 브실라민(bucillamine), 레플로노미드(leflunomide), 아우라노핀(auranoffin), 사이클로스포린(cyclosporine), 아자씨오프린(azathioprine), 사이클로포스파마이드(cyclophosphamide), 사라졸설파피리딘(SASP), 인플리시맙(infliximab), 에타넬셉트(etanercept), 아다림맘(adalimumab), 골리무맙(golimumab), 설톨리주맙(certolizumab), 아나킨라(anakinra), 토실리주맙(tocilizumab), 유스테키무맙(ustekimumab), 아바타셉트(abatacept), 리툭시맙(Rituximab), 토파시티닙(tofacitinib), 데노수맙(denosumab), 안티프라민 2(antiflammin 2), 커큐민(curcumin), 락토페린(lactoferin), 카르토게닌(kartogenin)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경피약물전달 촉진장치
10 10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피부부착물은 필름, 패치, 스펀지 또는 하이드로젤 시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부조직질환 치료용 경피약물전달 촉진장치
11 11
삭제
12 12
삭제
13 13
삭제
14 14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