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디지털 단층영상합성시스템의 자동 가변형 조사범위 조절장치(Automatic variable aperture collimator for digital tomosynthesis)

  • 기술번호 : KST2018002744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디지털 단층영상합성 시스템의 가변형 조사범위 조절장치가 사변형으로 이루어지며, 가변형 조사범위 조절장치의 4개의 변의 길이는 자동조절되되, 가변형 조사범위 조절장치의 4개의 변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변은 동일한 길이를 구비하며, X선관에서 조사되는 X선이 0도가 아닐 경우, 서로 마주보는 다른 2개의 변은 서로 다른 길이를 구비하도록 조절되며, 이 조사범위 조절장치가 조사되는 X선의 형태를 검출기의 크기에 맞추어 정확하게 조절하도록 이루어져, 환자영상에 필요한 정보를 빠짐없이 얻으면서 환자의 피폭선량을 줄일 수 있는, 흉부촬영용 디지털 단층영상합성시스템의 자동 가변형 조사범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본 발명의 디지털 단층영상합성 시스템은, 조사범위 조절장치의 X선 조사창의 횡축길이(ly)를 ly=ly1 + ly2 (단, ly1 = (aㆍd)/(L - b)이고, ly2 = (aㆍd)/(L + b)이며, b = (Dyㆍsinθ)/2이고, a = (Dyㆍcosθ)/2이고, Dy는 검출기의 종축의 길이이며, d는 선원으로부터 조사범위 조절장치까지의 거리이며, L은 선원에서 검출기의 중심까지의 거리이며, θ는 X선 선원의 각도임) 에 의해 구하고, 조사범위 조절장치의 X선 조사창의 종축사변 중 검출기의 중심 선에서 가까운 변(모서리)에 대한 길이 lx2 의 값을, (단, Dx는 검출기의 횡축의 길이임)을 이용하여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t. CL A61B 6/00 (2016.09.30) A61B 6/06 (2016.09.30)
CPC A61B 6/542(2013.01) A61B 6/54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112253 (2016.08.31)
출원인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8-0025061 (2018.03.0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09.07)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강원도 원주시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희중 대한민국 강원도 원주시 늘품로 **
2 김예슬 대한민국 강원도 원주시
3 조병두 대한민국 강원도 원주시
4 최성훈 대한민국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
5 이행화 대한민국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
6 김혜미 대한민국 강원도 원주시
7 이동훈 대한민국 강원도 원주시
8 김도현 대한민국 강원도 원주시
9 최승연 대한민국 강원도 원주시 단구로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민혜정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로 **, ***호(방이동, 잠실리시온)(스텔라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강원도 원주시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08.31 수리 (Accepted) 1-1-2016-0851756-70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6.09.01 수리 (Accepted) 1-1-2016-0852038-85
3 [심사청구]심사청구(우선심사신청)서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Examination (Request for Preferential Examination)
2016.09.07 수리 (Accepted) 1-1-2016-0871222-70
4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6.09.07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6-0871207-95
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06.23 수리 (Accepted) 4-1-2017-5098886-10
6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7.07.12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7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7.09.0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17-0146146-41
8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7.10.1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7-0703186-54
9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7.12.08 수리 (Accepted) 1-1-2017-1227054-81
10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7.12.08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7-1226998-87
11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8.02.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136229-19
1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05.14 수리 (Accepted) 4-1-2018-5085255-5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4개 변을 구비한 사변형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에 X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X선 조사창을 구비하며, X선원에서 출사되는 선속의 모양과 크기를 조절하는 조사범위 조절장치; X선원으로부터 조사범위 조절장치를 통해 투영된 X-선 투영 영상을 검출하는 검출기; X선원과 검출기의 이동을 제어하며, 조사되는 X선의 형태를 검출기의 크기에 맞추어, 조사범위 조절장치의 X선 조사창의 사변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단층영상합성 시스템에 있어서,X선관의 이동에 따라 조사범위 조절장치의 4개의 변의 길이는 자동 조절되되, 4개의 변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변은 같은 길이를 구비하며, X선관에서 조사되는 X선이 0도가 아닐 경우, 상기 같은 길이를 갖는 2개의 변을 제외한, 서로 마주보는 2개의 변은 서로 다른 길이를 구비하며,조사범위 조절장치는 X선 조사창의 테두리의 상, 하, 좌, 우 각각에는 콜리메이터 날개(collimate blade)가 구비되며, 콜리메이터 날개의 일측 변에 2개 이상의 제어봉(control stick)이 장착되어 있으며,제어장치는 입력부로부터 전체회전각도, 프로젝션(projection) 수를 포함하는 시스템 조작 데이터를 수신하고, x선원의 회전각도(θ)를 구하며, x선원의 회전각도(θ)를 이용하여, 조사범위 조절장치의 X선 조사창의 각 변의 길이를 구하고, X선 조사창의 각 변의 길이에 따라 제어봉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조사범위 제어부로 전송하고, 조사범위 제어부는 제어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단층영상합성 시스템
2 2
삭제
3 3
제1항에 있어서,제어봉은 리니어 액튜에이터로 이루어져, 각각의 제어봉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콜리메이터 날개가 상하로 이동하거나, 특정한 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단층영상합성 시스템
4 4
삭제
5 5
제1항에 있어서,조사범위 조절장치의 X선 조사창의 횡축길이(ly)는 ly=ly1 + ly2 (단, ly1 = (aㆍd)/(L - b)이고, ly2 = (aㆍd)/(L + b)이며, b = (Dyㆍsinθ)/2이고, a = (Dyㆍcosθ)/2이고, Dy는 검출기의 종축의 길이이며, d는 X선 선원으로부터 조사범위 조절장치의 중심을 수직으로 지나는 거리이며, L은 선원에서 검출기의 중심까지의 거리임)에 의해 구하여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단층영상합성 시스템
6 6
제5항에 있어서,조사범위 조절장치의 X선 조사창의 종축 사변 중 검출기의 중심선(검출기의 중심 수직선)에서 먼 변(모서리)에 대한 길이 lx1 의 값은, (단, Dx는 검출기의 횡축의 길이임)를 이용하여 구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단층영상합성 시스템
7 7
제6항에 있어서,조사범위 조절장치의 X선 조사창의 종축 사변 중 검출기의 중심선에서 가까운 변(모서리)에 대한 길이 lx2 의 값은, 를 이용하여 구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단층영상합성 시스템
8 8
제7항에 있어서,검출기의 중심 수직선을 기준으로 할 경우, 검출기의 중심 수직선에서 가까운 변(lx2)은, 검출기의 중심 수직선에서 먼 변보다, 변의 길이(lx1)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단층영상합성 시스템
9 9
조사범위 조절장치의 X선 조사창은 사변형으로 이루어지되, 제어장치는 환자에게 조사되는 X선의 형태를 검출기의 크기에 맞추어, 조사범위 조절장치의 X선 조사창의 사변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며, X선관에서 조사되는 X선이 0도가 아닐 경우, X선 조사창의 종축 사변 중, 검출기의 중심 수직선에서 가까운 변은, 검출기의 중심 수직선에서 먼 변보다, 변의 길이가 작게 되도록 이루어진, 디지털 단층영상합성 시스템의 구동방법에 있어서,제어장치는, 조사범위 조절장치의 X선 조사창의 횡축길이(ly)를 ly=ly1 + ly2 (단, ly1 = (aㆍd)/(L - b)이고, ly2 = (aㆍd)/(L + b)이며, b = (Dyㆍsinθ)/2이고, a = (Dyㆍcosθ)/2이고, Dy는 검출기의 종축의 길이이며, d는 선원으로부터 조사범위 조절장치까지의 거리이며, L은 선원에서 검출기의 중심까지의 거리이며, θ는 X선 선원의 각도임)에 의해 구하는, X선 조사창의 횡축길이 연산단계;제어장치는 조사범위 조절장치의 X선 조사창의 종축사변 중 검출기의 중심 수직선에서 가까운 변(모서리)에 대한 길이 lx2 의 값을, (단, Dx는 검출기의 횡축의 길이임)을 이용하여 구하는, X선 조사창의 일 종축사면의 변 길이 연산단계;제어장치는 조사범위 조절장치의 X선 조사창의 사변 중 검출기의 중심 수직선에서 먼 변(모서리)에 대한 길이 lx1 의 값을, 을 이용하여 구하는, X선 조사창의 다른 종축사면의 변 길이 연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단층영상합성 시스템의 구동방법
10 10
제9항에 있어서,X선 조사창의 횡축길이 연산단계와, X선 조사창의 일 종축사면의 변 길이 연산단계의 사이에,제어장치는 X선 조사창의 횡축길이 연산단계에서 구하여진 조사범위 조절장치의 X선 조사창의 횡축길이(ly)에 따라, 제어봉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조사범위 제어부로 전송하는, X선 조사창의 횡축길이 조절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단층영상합성 시스템의 구동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X선 조사창의 일 종축사면의 변 길이 연산단계와, X선 조사창의 다른 종축사면의 변 길이 연산단계의 사이에,제어장치는 X선 조사창의 일 종축사면의 변 길이 조절단계에서 구하여진 조사범위 조절장치의 X선 조사창의 종축사변 중 검출기의 중심선에 가까운 변(모서리)에 대한 길이(lx2)에 따라, 제어봉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조사범위 제어부로 전송하는, X선 조사창의 일 종축사면의 변(모서리) 길이 조절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단층영상합성 시스템의 구동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X선 조사창의 다른 종축사면의 변 길이 연산단계의 이후에,제어장치는 X선 조사창 중 선원 측에 먼 변 길이 연산단계에서 구하여진 조사범위 조절장치의 X선 조사창의 종축사변 중 검출기의 중심선에 먼 변(모서리)에 대한 길이(lx1)에 따라, 제어봉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조사범위 제어부로 전송하는, X선 조사창의 다른 종축사면의 변(모서리) 길이 조절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단층영상합성 시스템의 구동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 X선 조사창의 횡축길이 연산단계의 전단에,제어장치가,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전체회전각도와 프로젝션 수를 이용하여, x선원의 회전각도(즉, X선 선원의 각도(θ))를 계산하는, x선원의 회전각도 연산단계; X선 선원 좌표(Losx, Losy, Losz)를 연산하는 x선원 좌표연산단계;검출기의 위치 (Lodx, Lody, Lodz)를 검출하는, 검출기 이동경로 및 중심좌표 연산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단층영상합성 시스템의 구동방법
14 14
제13항에 있어서, x선원 좌표연산단계에서 X선 선원 좌표는 (0, Losy, SDD)이며, Losy 는, Losy = (SDD-c)×tanθ (단, SDD는 선원과 검출기의 거리이고, c는 검출기에서 COR(center of rotation) 까지의 거리임)에 의해 구하여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단층영상합성 시스템의 구동방법
15 15
제14항에 있어서, 검출기 이동경로 및 중심좌표 연산단계에서, 검출기의 위치는 (0, Lody, 0)이며, Lody는, Lody = -c×tanθ에 의해 구하여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단층영상합성 시스템의 구동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주)리스템 경제협력권산업육성사업 흉부 촬영용 디지털 단층영상합성 R/F 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