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균일하게 정렬된 나노섬유 멤브레인에 색염료가 기능화된 색변화 가스센서 부재 및 그 제조방법(GAS SENSOR AND ITS FABRICATION METHOD)

  • 기술번호 : KST2018004616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인체의 날숨 속 생체지표 기체 및 환경유해 기체와 선택적으로 반응하여 색전이가 일어나는 염료물질을 단일축/그리드 형태로 정렬된 고분자 나노섬유의 표면에 기능화시켜 단일축/그리드 형태로 정렬된 색염료/고분자 복합 색변화 나소섬유 멤브레인 센서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염료분말을 고분산성 상태의 콜로이드로 제작하거나, 염료분말을 용매에 용해시켜 염료기능화를 위한 최적화 용액을 제작하고, 이를 단일축/그리드 형태로 정렬되어 다공성의 특징을 가지는 나노섬유 멤브레인에 다양한 색염료 코팅기법을 이용해 멤브레인 색염료를 정렬된 나노섬유 표면에 선택적으로 결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얼라이닝 전기방사를 이용하기 때문에 나노섬유의 두께 및 간격을 간편하게 조절하여 기공의 분포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단일축/그리드 형태로 정렬된 나노섬유 멤브레인이 대량생산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저렴하면서 인체에 무해한 색염료를 이용하여 저소비 대량생산 공정이 가능하다. 기존의 색변화 가스센서의 감지한계보다 매우 낮은 농도인 1 ppm 이하의 특정가스에 노출되어도, 수십 초 내로 색전이의 발생이 가능하여 호기가스를 통한 질병진단용 색변화 가스센서 및 환경유해기체 감지 색변화 가스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Int. CL G01N 21/78 (2006.01.01) G01N 27/12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70093934 (2017.07.25)
출원인 한국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8-0040069 (2018.04.1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60131056   |   2016.10.11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7.07.25)
심사청구항수 19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일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장지수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차준회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4 최선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5 황원태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양성보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선릉로***길 ** (논현동) 삼성빌딩 *층(피앤티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07.25 수리 (Accepted) 1-1-2017-0713348-97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8.04.10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8.07.0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18-0149548-41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8.12.1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865637-33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9.02.18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9-0166530-94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9.02.18 수리 (Accepted) 1-1-2019-0166529-47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4.24 수리 (Accepted) 4-1-2019-5081392-49
8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9.05.0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316563-66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5.15 수리 (Accepted) 4-1-2020-5108396-12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2 수리 (Accepted) 4-1-2020-5131486-6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전기방사 용액에 대한 이중 절연 블록과 결합된 얼라이닝(aligning) 전기방사 장치를 이용해 한쪽 방향으로 정렬된 고분자 나노섬유를 이용하여 단일축 형태 또는 그리드 형태로 정렬된 다층 구조의 고분자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멤브레인을 포함하고,상기 멤브레인을 이루는 고분자 나노섬유의 표면에 가스 분자와의 화학적 반응을 통해 색변화를 일으키는 염료물질이 결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부재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가스 센서 부재는 상기 염료물질을 이용하여 아세톤, 암모니아, 일산화탄소, 수소, 황화수소, 일산화질소, 톨루엔 중 적어도 하나의 생체지표 기체, 또는 SOx, NOx, HCHO, 메탄, 프로판, 아세틸렌, 에탄올, 에틸렌 중 적어도 하나의 환경 유해기체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부재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 나노섬유의 직경은 100㎚ 내지 10,000 ㎚의 범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부재
4 4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염료물질은 lead acetate, tin acetate, copper acetate, zinc acetate, iron acetate, nickel acetate, tungsten acetate, o-Tolidine, m-Tolidine, bromophenol blue+TBAH, Methyl Red + TBAH, Thymol Blue + TBAH, Fluorescein, bromocresol purple, bromophenol red, AgNO3, LiNO3, 5-10-15-20-tetraphenylporphyrinatozinc (II), 5-10-15-20-tetrakis(2,4,6-trimethylphenyl)porphyrinatozinc (II)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부재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멤브레인은 인접한 고분자 나노섬유 간에 직교 또는 평행한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부재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염료물질이 o-Tolidine인 경우 NOx 기체와 반응하고,상기 염료물질이 lead acetate인 경우 H2S와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부재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 간의 간격에 따라 크기가 5 ㎚ 내지 15 ㎛ 의 범위인 기공이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부재
8 8
제1항에 있어서,상기 멤브레인의 두께는 5 ㎛ 내지 100 ㎛의 범위를 가지고 상기 멤브레인의 면적은 2 cm2 내지 1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염료물질의 중량비율은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 대비 0
10 10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염료물질은 진공 필트레이션 공정에 의해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의 표면에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부재
11 11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 나노섬유는 고전압 발생기, 회전이 가능한 전도성 집전체, 정량펌프에 연결된 고분자용액 분사노즐 및 상기 이중 절연 블록을 이용한 얼라이닝 전기방사 기술을 이용하여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부재
12 12
(a) 고분자를 포함시키는 전기방사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b) 상기 전기방사 용액에 대한 이중 절연 블록과 결합된 얼라이닝 전기방사 장치를 이용해 한쪽 방향으로 정렬된 고분자 나노섬유를 합성하는 단계;(c) 상기 얼라이닝 전기방사 장치의 집전체를 고분자 나노섬유의 정렬 방향과 서로 수직이 되도록 이동하는 단계;(d) 상기 집전체를 고분자 나노섬유의 정렬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90o 만큼 회전 시키는 단계;상기 (c) 단계와 상기 (d)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그리드 형태로 정렬된 다층 구조의 고분자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단계;(e) 상기 다층 구조의 고분자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고분자 나노섬유 멤브레인에, 고분자 나노섬유 사이의 기공을 통해 발생하는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가스 분자와의 화학적 반응을 통해 색변화를 일으키는 염료물질을 결착시켜 색염료를 기능화 시키는 단계;(f) 상기 색염료가 기능화 된 고분자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건조하여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색염료가 기능화 된 고분자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두께는 전기방사 시간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
14 14
제12항에 있어서,상기 색염료가 기능화 된 고분자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기공 크기는 고분자 나노섬유의 정렬 방향과 서로 수직이 되도록 회전하는 상기 집전체의 회전 속도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
15 15
제12항에 있어서,상기 (e) 단계는,진공 필트레이션 (vacuum filtration), 함침 (dipping), 드롭코팅 (drop coating), 스핀 코팅 (spin coating), 스프레이 코팅 (spray coating) 중 적어도 하나의 코팅 기법을 통해 고분자 나노섬유의 표면에 가스 분자와의 화학적 반응을 통해 색변화를 일으키는 염료물질을 결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
16 16
제12항에 있어서,상기 (a)단계는,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MA, Polymethyl acrylat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a acrylate), 폴리아크릴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PVAc, Polyvinyl acetate), 폴리비닐피롤리돈(PVP, 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알콜(PVA, Polymethyl alcohol), 폴리퍼퓨릴알콜(PPFA), 폴리스티렌(PS, polystyrene), 폴리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비닐풀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풀루오라이드 공중합체,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AN, Polyacrylonitrile), 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SAN, Styrene-acrylonitrile), 폴리비닐알콜(PVA, Polyvinyl alcohol),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아닐린(PANI, Polyanili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Polyvinylchlorid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Poly vinylidene fluorid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및 폴리에틸렌(PE, Polyethylene)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분자를 용매에 용해시켜 상기 전기방사 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
17 17
제12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에서 이용되는 상기 얼라이닝 전기방사 장치는,고전압 발생기가 1 내지 30 kV 범위의 전압을 인가하고, 용액의 토출 속도가 5 내지 200 ㎕/분 범위 내에서 조절 가능하고, 상기 집전체의 회전 속도가 0
18 18
삭제
19 19
제12항에 있어서,상기 (e) 단계는,가스 분자와의 화학적 반응을 통해 색변화를 일으키는 1종의 염료 분말, 또는 이온 상태의 염료 분말, 또는 다수 종류의 염료 분말을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 멤브레인에 기능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
20 20
제12항에 있어서,상기 (f) 단계는,상기 색염료가 기능화 된 고분자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진공 상태에서 건조시킴으로써 건조 과정에서 상기 색염료가 고분자 나노섬유의 표면에 기계적 흡착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센서 제조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