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동성을 지원하는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OPE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NODE SUPPORTING MOBILITY IN COMMUNICATION NETWORK)

  • 기술번호 : KST2018005480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통신 네트워크에서 이동성을 지원하는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은 이동성을 지원하는 무선 엑스홀 네트워크에 포함된 복수의 통신 노드들을 제어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으로서, 제1 통신 노드 및 복수의 통신 노드들 중 제2 통신 노드 간의 어태치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제2 통신 노드 및 복수의 통신 노드들 중 어태치 절차가 완료된 제3 통신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한 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경로를 이용하여 제2 통신 노드 및 제3 통신 노드의 통신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t. CL H04W 16/18 (2009.01.01) H04W 84/04 (2009.01.01) H04W 24/02 (2009.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70140870 (2017.10.27)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8-0048352 (2018.05.1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60144778   |   2016.11.01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9.02)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조승권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김석기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3 김원익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4 김은경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5 김재흥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6 송재수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7 신성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8 신세윤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9 윤미영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10 정수정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11 조윤희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12 김태중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13 백승권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10.27 수리 (Accepted) 1-1-2017-1063658-45
2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0.09.02 수리 (Accepted) 1-1-2020-0926932-74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20.11.18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이동성(mobility)을 지원하는 무선 엑스홀 네트워크(wireless xhaul network)에 포함된 복수의 통신 노드들을 제어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으로서,상기 제1 통신 노드 및 상기 복수의 통신 노드들 중 제2 통신 노드 간의 어태치(attach)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상기 제2 통신 노드 및 상기 복수의 통신 노드들 중 어태치 절차가 완료된 제3 통신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한 경로(path)를 설정하는 단계; 및상기 설정된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노드 및 상기 제3 통신 노드의 통신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2 2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 통신 노드는,상기 복수의 통신 노드들에 대한 이동성을 관리하는 기능, 상기 복수의 통신 노드들의 통신을 위한 경로를 관리하는 기능 및 상기 복수의 통신 노드들에 대한 자원(resource)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3 3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1 통신 노드는,상기 제1 통신 노드와 상기 제2 통신 노드 간의 상기 어태치 절차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제2 통신 노드의 상태를 비등록 상태(unregistered state)에서 등록 상태(registered state)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4 4
청구항 3에 있어서,상기 제1 통신 노드는,상기 제2 통신 노드가 등록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통신 노드의 ID(identifier)를 상기 제2 통신 노드로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5 5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무선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1 통신 노드 및 상기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H3 인터페이스(H3 interface)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H2 인터페이스(H2 interface)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6 6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제1 통신 노드는,상기 H3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상기 복수의 통신 노드들과 MH3C 프로토콜(MXN H3 Control protocol)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7 7
청구항 5에 있어서,상기 제2 통신 노드는,상기 H2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제2 통신 노드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노드와 MH2C 프로토콜(MXN H2 Control protocol)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8 8
이동성(mobility)을 지원하는 무선 엑스홀 네트워크(wireless xhaul network)에 포함된 복수의 통신 노드들 중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으로서,상기 복수의 통신 노드들에 대한 탐색(discovery)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상기 제1 통신 노드 및 상기 탐색 절차를 통해 탐색된 제2 통신 노드 간의 링크(link)를 설정하는 단계;상기 무선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상기 복수의 통신 노드들을 제어하는 제3 통신 노드에 대한 어태치(attach)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상기 제1 통신 노드 및 상기 복수의 통신 노드들 중 어태치 절차가 완료된 제4 통신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한 경로(path)를 설정하는 단계; 및상기 설정된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통신 노드 및 상기 제4 통신 노드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9 9
청구항 8에 있어서,상기 제1 통신 노드는,상기 탐색 절차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노드의 제1 ID(identifier) 및 상기 제2 통신 노드의 섹터(sector)를 구분하기 위한 섹터 인덱스(sector index)를 포함하는 섹터 ID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10 10
청구항 9에 있어서,상기 제1 통신 노드는,상기 탐색 절차를 통해 상기 제2 통신 노드에 대한 빔의 빔 인덱스(beam index)를 더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11 11
청구항 8에 있어서,상기 제1 통신 노드는,상기 제1 통신 노드와 상기 제3 통신 노드 간의 어태치 절차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상태가 비등록 상태(unregistered state)에서 등록 상태(registered state)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12 12
청구항 11에 있어서,상기 제1 통신 노드는,상기 제1 통신 노드의 상태가 상기 등록 상태인 경우, 상기 제3 통신 노드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노드의 제2 ID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13 13
청구항 8에 있어서,상기 제1 통신 노드의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는,상기 제1 통신 노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의 QoS(quality of service)를 확인하는 단계;상기 확인된 QoS 및 상기 제3 통신 노드에 의해 미리 설정된 포워딩 테이블(forwarding table)을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통신 노드들 중 상기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기 제2 통신 노드를 결정하는 단계;상기 결정된 제2 통신 노드에 대한 무선 베어러(radio bearer)를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생성된 무선 베어러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14 14
청구항 8에 있어서,상기 제1 통신 노드는,상기 무선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H3 인터페이스(H3 interface)를 기반으로 상기 제3 통신 노드와 연결되고, H2 인터페이스(H2 interface)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통신 노드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노드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15 15
청구항 14에 있어서,상기 제1 통신 노드는,상기 제3 통신 노드와 MH3C 프로토콜(MXN H3 Control protocol)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16 16
청구항 14에 있어서,상기 제1 통신 노드는,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노드와 MH2C 프로토콜(MXN H2 Control protocol)을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17 17
이동성(mobility)을 지원하는 무선 엑스홀 네트워크(wireless xhaul network)에 포함된 복수의 통신 노드들을 제어하는 제1 통신 노드로서,프로세서(processor); 및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상기 제1 통신 노드 및 상기 복수의 통신 노드들 중 제2 통신 노드 간의 어태치(attach) 절차를 수행하고;상기 제2 통신 노드 및 상기 복수의 통신 노드들 중 어태치 절차가 완료된 제3 통신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한 경로(path)를 설정하고; 그리고상기 설정된 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통신 노드 및 상기 제3 통신 노드 간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실행되는 제1 통신 노드
18 18
청구항 17에 있어서,상기 제1 통신 노드는,상기 복수의 통신 노드들에 대한 이동성을 관리하는 기능, 상기 복수의 통신 노드들의 통신을 위한 경로를 관리하는 기능 및 상기 복수의 통신 노드들에 대한 자원(resource)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노드
19 19
청구항 17에 있어서,상기 제1 통신 노드는,상기 제1 통신 노드와 상기 제2 통신 노드 간의 상기 어태치 절차가 완료된 경우, 상기 제2 통신 노드의 상태를 비등록 상태(unregistered state)에서 등록 상태(registered state)로 천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노드
20 20
청구항 17에 있어서,상기 무선 엑스홀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1 통신 노드 및 상기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H3 인터페이스(H3 interface)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H2 인터페이스(H2 interface)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노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US10433352 US 미국 FAMILY
2 US20180124859 US 미국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통신산업기술개발사업 (대형통합) 초연결 스마트 서비스를 위한 5G 이동통신 핵심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