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리튬 이차 전지용 복합 고분자 멤브레인 및 그 제조 방법(Polymer Membrane For Li Secondary Batteries)

  • 기술번호 : KST2018006040
  • 담당센터 : 부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1-606-6561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폴리머 및 고체 전해질 분말을 포함하는 복합 고분자 전해질 멤브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100 중량부의 폴리머; 및 상기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 중량부 내지 130 중량부의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 분말;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의 이온염; 및 1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의 리튬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 멤브레인.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이온 전도성, 낮은 접촉 저항 및 양호한 도막 특성을 갖는 복합 고분자 전해질 멤브레인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t. CL H01M 10/056 (2010.01.01) H01M 10/0562 (2010.01.01) H01M 10/0568 (2010.01.01)
CPC H01M 10/056(2013.01) H01M 10/056(2013.01) H01M 10/056(2013.01) H01M 10/056(2013.01) H01M 10/056(2013.01) H01M 10/056(2013.01) H01M 10/056(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147944 (2016.11.08)
출원인 한국전기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8-0051079 (2018.05.1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기연구원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준우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2 도칠훈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3 박재영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4 이원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광진구
5 이유진 대한민국 경상남도 김해시 금관대로***번길
6 하윤철 대한민국 경상남도 김해시 팔판로 **, **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충정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층(역삼동,성보역삼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11.08 수리 (Accepted) 1-1-2016-1089560-3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100 중량부의 폴리머; 및 상기 폴리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50 중량부 내지 130 중량부의 산화물계 고체 전해질 분말;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의 이온염; 및 1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의 리튬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 멤브레인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온염은 5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 멤브레인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이온염은 비스(트리플루오르메틸설포닐)아미드 (bis(trifluoromethylsulfonyl)amide; [TFSA]), 비스(펜타플로우로설포닐)아미드 (bis(pentafluoroethylsulfonyl)amide; [BETA]), 헥사플로우로포스포니움 (hexafluorophosphate; [PF6]), LiClO4, BF4, FSA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음이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 멤브레인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이온염은 N,N-디에틸-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 암모늄(N,N-diethyl-N-methyl-N-(2-methoxyethyl) ammonium; [DEME]), N-에틸-N-메틸피롤리디니움(N-ethyl-N-methylpyrrolidinium; [P12]),N-메틸-N-프로필피롤리디니움(N-methyl-N-propylpyrrolidinium; [P13]), N-부틸-N-메틸피롤리디니움(N-butyl-N-methylpyrrolidinium; [P14]), 1-에틸-2,3-디메틸이미다졸리움(1-ethyl-2,3-dimethylimidazolium; [C2dmim],2,3-디메틸-1-프로필이미다졸리움(2,3-dimethyl-1-propylimidazolium; [C3dmim],1-부틸-2,3-디메틸이미다졸리움(1-butyl-2,3-dimethylimidazolium; [C4dmim], N-메틸-N-프로필 피페리디니움(N-methyl-Npropyl piperidinium; [PP13]),N-부틸-N-메틸피페리디니움(N-butyl Nmethylpiperidinium;[PP14]), 트리에틸펜틸포스포니움(triethylpentylphosphonium; [P2225]) 및 트리에틸옥틸포스포니움(triethyloctylphosphonium; [P2228]) 및 [Li(Glyme)X], [Li(THF)X] (X≤1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고체 전해질 분말은 Li-La-Zr-O의 다성분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 멤브레인
6 6
이온염 및 폴리머를 포함하는 용액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제1 교반 단계;상기 제1 교반 단계를 거친 용액에 고체 전해질 분말을 혼합하여 교반하는 제2 교반 단계;제2 교반 단계를 거쳐 제조된 슬러리를 기재 상에 도포하는 단계;슬러리가 도포된 기재를 건조하는 단계; 및상기 기재를 제거하여 멤브레인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 멤브레인의 제조 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1 교반 단계는, 리튬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 멤브레인의 제조 방법
8 8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2 교반 단계는, 리튬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 멤브레인의 제조 방법
9 9
제6항에 있어서,상기 고분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PO) 및 글리시돌(glycidol)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한 1종의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 멤브레인의 제조 방법
10 10
제6항에 있어서,상기 이온염은 비스(트리플루오르메틸설포닐)아미드 (bis(trifluoromethylsulfonyl)amide; [TFSA]), 비스(펜타플로우로설포닐)아미드 (bis(pentafluoroethylsulfonyl)amide; [BETA]), 헥사플로우로포스포니움 (hexafluorophosphate; [PF6]), LiClO4, BF4, FSA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최소한 1종의 음이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복합 고분자 전해질 멤브레인 멤브레인의 제조 방법
11 11
제10항에 있어서,상기 이온염은 N,N-디에틸-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 암모늄(N,N-diethyl-N-methyl-N-(2-methoxyethyl) ammonium; [DEME]), N-에틸-N-메틸피롤리디니움(N-ethyl-N-methylpyrrolidinium; [P12]),N-메틸-N-프로필피롤리디니움(N-methyl-N-propylpyrrolidinium; [P13]), N-부틸-N-메틸피롤리디니움(N-butyl-N-methylpyrrolidinium; [P14]), 1-에틸-2,3-디메틸이미다졸리움(1-ethyl-2,3-dimethylimidazolium; [C2dmim],2,3-디메틸-1-프로필이미다졸리움(2,3-dimethyl-1-propylimidazolium; [C3dmim],1-부틸-2,3-디메틸이미다졸리움(1-butyl-2,3-dimethylimidazolium; [C4dmim], N-메틸-N-프로필 피페리디니움(N-methyl-Npropyl piperidinium; [PP13]),N-부틸-N-메틸피페리디니움(N-butyl Nmethylpiperidinium;[PP14]), 트리에틸펜틸포스포니움(triethylpentylphosphonium; [P2225]) 및 트리에틸옥틸포스포니움(triethyloctylphosphonium; [P2228]) 및 [Li(Glyme)X], [Li(THF)X] (X≤1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전기연구원 한국전기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 전력저장용 불연성리튬이차전지 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