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암 전이 억제제의 스크리닝 방법(Method for screening metastasis inhibitor for cancer)

  • 기술번호 : KST2018006299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암 환자로부터 분리된 암-간엽 줄기 유사 세포에 있어서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2의 발현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암 전이 억제제를 높은 정확도로 스크리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암 환자로부터 분리된 암-간엽 줄기 유사 세포에서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2와,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1 또는 3의 발현 수준을 비교함으로써 암의 전이 가능성을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다.
Int. CL A01K 67/027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70019666 (2017.02.13)
출원인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2011366-0000 (2019.08.09)
공개번호/일자 10-2018-0055634 (2018.05.25)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91014)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60153553   |   2016.11.17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7.02.13)
심사청구항수 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강석구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2 이지현 대한민국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3 이수재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4 임은정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재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역삼동) 청수빌딩 *층(파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 성동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02.13 수리 (Accepted) 1-1-2017-0148205-79
2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8.03.01 불수리 (Non-acceptance) 1-1-2018-0211545-89
3 서류반려이유통지서
Notice of Reason for Return of Document
2018.03.0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8-0035112-32
4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8.03.08 수리 (Accepted) 1-1-2018-0232789-48
5 서류반려통지서
Notice for Return of Document
2018.04.0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8-0054656-47
6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8.05.09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7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8.06.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18-0083840-43
8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8.06.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442265-08
9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8.08.29 수리 (Accepted) 1-1-2018-0857396-45
10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8.08.29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8-0857405-79
11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9.01.2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060227-58
12 [공지예외적용 보완 증명서류]서류제출서
2019.03.25 수리 (Accepted) 1-1-2019-0302689-91
13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9.03.25 수리 (Accepted) 1-1-2019-0303668-11
14 [출원서 등 보정(보완)]보정서
2019.03.25 수리 (Accepted) 1-1-2019-0302608-14
15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9.07.24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533174-98
1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05 수리 (Accepted) 4-1-2019-5155816-75
1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06 수리 (Accepted) 4-1-2019-5156285-09
18 [명세서등 보정]보정서(심사관 직권보정)
2019.09.29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9-5030679-15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뇌암 환자로부터 암-간엽 줄기 유사 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b) 분리된 암-간엽 줄기 유사 세포에 약물을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약물이 처리된 암-간엽 줄기 유사 세포의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2(Hyaluronic acid synthase 2, HAS2) 또는 이를 코딩하는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암-간엽 줄기 유사 세포의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2의 발현 수준이 약물 처리 전에 비하여 감소된 경우, 상기 약물을 뇌암 전이 억제제 후보물질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암 전이 억제제의 스크리닝 방법
2 2
삭제
3 3
삭제
4 4
삭제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2의 발현 수준은 방사능 면역 분석, 방사능 면역 침전, 면역 침전,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assay), 캡처-ELISA, 억제 또는 경쟁 분석, 및 샌드위치 분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면역 분석 방법으로 측정되는, 뇌암 전이 억제제의 스크리닝 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2를 코딩하는 mRNA의 발현 수준은 중합효소연쇄반응(PCR),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CR), RNase 보호 분석법(RNase protection assay; RPA),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및 노던 블롯팅(northern blottin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으로 측정되는, 뇌암 전이 억제제의 스크리닝 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상기 (b) 단계에서 약물 처리 시 항암제를 추가로 처리하는, 뇌암 전이 억제제의 스크리닝 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상기 항암제는 나이트로젠 머스타드, 이마티닙, 옥살리플라틴, 리툭시맙, 엘로티닙, 네라티닙, 라파티닙, 제피티닙, 반데타닙, 니로티닙, 세마사닙, 보수티닙, 악시티닙, 세디라닙, 레스타우르티닙, 트라스투주맙, 게피티니브, 보르테조밉, 수니티닙, 카보플라틴, 베바시주맙, 시스플라틴, 세툭시맙, 비스쿰알붐, 아스파라기나제, 트레티노인, 하이드록시카바마이드, 다사티닙, 에스트라머스틴, 겜투주맵오조가마이신, 이브리투모맙튜세탄, 헵타플라틴, 메칠아미노레불린산, 암사크린, 알렘투주맙, 프로카르바진, 알프로스타딜, 질산홀뮴 키토산, 젬시타빈, 독시플루리딘, 페메트렉세드, 테가푸르, 카페시타빈, 기메라신, 오테라실, 아자시티딘, 메토트렉세이트, 우라실, 시타라빈, 플루오로우라실, 플루다가빈, 에노시타빈, 플루타미드, 데시타빈, 머캅토푸린, 티오구아닌, 클라드리빈, 카르모퍼, 랄티트렉세드, 도세탁셀, 파클리탁셀, 이리노테칸, 벨로테칸, 토포테칸, 비노렐빈, 에토포시드,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테니포시드, 독소루비신, 이다루비신, 에피루비신, 미톡산트론, 미토마이신, 블레로마이신, 다우노루비신, 닥티노마이신, 피라루비신, 아클라루비신, 페프로마이신, 템시롤리무스, 테모졸로마이드, 부설판, 이포스파미드,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멜파란, 알트레트민, 다카바진, 치오테파, 니무스틴, 클로람부실, 미토락톨, 레우코보린, 트레토닌, 엑스메스탄, 아미노글루테시미드, 아나그렐리드, 나벨빈, 파드라졸, 타목시펜, 토레미펜, 테스토락톤, 아나스트로졸, 레트로졸, 보로졸, 비칼루타미드, 로무스틴 및 카르무스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뇌암 전이 억제제의 스크리닝 방법
9 9
(1) 뇌암 환자로부터 암-간엽 줄기 유사 세포를 분리하는 단계; (2) 분리된 암-간엽 줄기 유사 세포의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2(Hyaluronic acid synthase 2, HAS 2)와,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1(Hyaluronic acid synthase 1, HAS 1) 및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3(Hyaluronic acid synthase 3, HAS 3) 중 적어도 하나의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3) 상기 암-간엽 줄기 유사 세포의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2 또는 이를 코딩하는 mRNA의 발현 수준이 상기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1 및 상기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3 중 적어도 하나의 단백질 또는 이를 코딩하는 mRNA의 발현 수준보다 높은 경우, 뇌암의 전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뇌암의 전이 가능성 예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10 10
삭제
11 11
삭제
12 12
제9항에 있어서,상기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1, 상기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2 또는 상기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3의 발현 수준은 방사능 면역 분석, 방사능 면역 침전, 면역 침전,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assay), 캡처-ELISA, 억제 또는 경쟁 분석, 및 샌드위치 분석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면역 분석 방법으로 측정되는, 뇌암의 전이 가능성 예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13 13
제9항에 있어서,상기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1, 상기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2 또는 상기 히알루론산 합성 효소 3를 코딩하는 mRNA의 발현 수준은 중합효소연쇄반응(PCR),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RT-PCR),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eal-time PCR), RNase 보호 분석법(RNase protection assay; RPA),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및 노던 블롯팅(northern blotting)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으로 측정되는, 뇌암의 전이 가능성 예측에 대한 정보 제공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교육부 연세대학교 기본연구지원사업(후속연구지원) 다른 공간적 적소에서 분리된 기질간엽세포에 의한 고등급교종 암세포 침윤 증가와 세포외 기질 재형성 조절 기전발굴 및 치료 저항성 획득 기전 발굴
2 보건복지부 연세대학교 한국보건산업진흥원-질병중심중개연구(중점연구) 교모세포종 종양미세환경 어레이 툴을 이용한 미세환경 규명 및 기질-억제 조절 물질 발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