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해조성물 및 상기 전해조성물을 포함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ELECTROLYTE COMPOSITION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DYE-SENSITIZED SOLAR CELL COMPRISING SAID ELECTROLYTE COMPOSITION)

  • 기술번호 : KST2018006325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해조성물 및 상기 전해조성물을 포함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의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의 일면상에 형성되고 투명전도성전극 및 염료가 흡착된 다공질막을 포함한 광전극; 및 상기 광전극과 이격되어 대면하는 상대전극을 포함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적용되는 전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성물은 각각 5-메틸티오-1,3,4-티아디아졸-2-티올(5-Methylthio-1,3,4-thiadiazole-2-thiol, MTD) 및 5-메틸티오-1,3,4-티아디아졸 디설파이드 양이온(5-Methylthio-1,3,4-thiadiazole disulfide cation,(MTD)22+)로 이루어진 산화환원쌍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해 조성물 및 상기 전해조성물을 포함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 양자점을 적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적용되던 폴리설파이드 계열의 전해질의 문제를 해결한 신규한 전해조성물 및 상기 전해조성물을 적용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제공하여 염료감을형 태양전지의 광효율을 높일 수 있다.
Int. CL H01G 9/20 (2006.01.01) C08L 101/12 (2006.01.01)
CPC H01G 9/2013(2013.01) H01G 9/2013(2013.01) H01G 9/2013(2013.01) H01G 9/2013(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60150823 (2016.11.14)
출원인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978022-0000 (2019.05.07)
공개번호/일자 10-2018-0053813 (2018.05.2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90513)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6.11.14)
심사청구항수 1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재준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다인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 동탄기흥로*** 더퍼스트타워쓰리제**층 제****호, 제****-*호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6.11.14 수리 (Accepted) 1-1-2016-1106947-43
2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7.01.16 수리 (Accepted) 1-1-2017-0048172-37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8.08.09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8.10.1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19-0007612-14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9.01.2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058191-00
6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9.03.12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9-0249853-05
7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9.03.12 수리 (Accepted) 1-1-2019-0249841-57
8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9.04.2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306851-21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16 수리 (Accepted) 4-1-2019-5163486-3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태양광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의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의 일면상에 형성되고 투명전도성전극 및 염료가 흡착된 다공질막을 포함한 광전극; 및 상기 광전극과 이격되어 대면하는 상대전극을 포함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 적용되는 전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전해조성물은 각각 하기 화학식 1의 5-메틸티오-1,3,4-티아디아졸-2-티올(5-Methylthio-1,3,4-thiadiazole-2-thiol, MTD) 및 화학식 2의 5-메틸티오-1,3,4-티아디아졸 디설파이드 양이온(5-Methylthio-1,3,4-thiadiazole disulfide cation,(MTD)22+)로 이루어진 산화환원쌍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해 조성물
2 2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다공질막은 주석(Sn)산화물, 안티몬(Sb), 나이오븀(Nb) 또는 불소 도핑된 주석(Sn)산화물, 인듐(In)산화물, 주석 도핑된 인듐(In)산화물, 아연(Zn)산화물, 알루미늄(Al), 붕소(B), 갈륨(Ga), 수소(H), 인듐(In), 이트륨(Y), 타이타늄(Ti), 실리콘(Si) 또는 주석(Sn) 도핑된 아연(Zn)산화물, 마그네슘(Mg)산화물, 캐드뮴(Cd)산화물, 마그네슘아연(MgZn)산화물, 인듐아연(InZn)산화물, 구리알루미늄(CuAl)산화물, 실버(Ag)산화물, 갈륨(Ga)산화물, 아연주석산화물(ZnSnO), 타이타늄산화물(TiO2), 아연인듐주석(ZIS)산화물, 니켈(Ni)산화물, 로듐(Rh)산화물, 루세늄(Ru)산화물, 이리듐(Ir)산화물, 구리(Cu)산화물, 코발트(Co)산화물, 텅스텐(W)산화물, 티타늄(Ti)산화물, 지르코늄(Zr)산화물, 스트론튬(Sr)산화물, 란타넘(La)산화물, 바나듐(V)산화물, 몰리브데넘(Mo)산화물, 나이오븀(Nb)산화물, 알루미늄(Al)산화물, 이트늄(Y)산화물, 스칸듐(Sc)산화물, 사마륨(Sm)산화물 및 스트론튬타이타늄(SrTi)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산화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해 조성물
3 3
제1항에 있어서,상기 염료는 양자점; 또는 500~600 nm사이에 큐-밴드(Q-bands)를 가지고 있는 물질인 포피린(porpyrine) 염료, 스쿠알린(squarine) 염료 또는 N719, N3, Ru505 및 Z90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루테늄계 염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해 조성물
4 4
제3항에 있어서,상기 양자점은 CdS, CdSe, ZnS, PbS, PbSe, PbTe, SnS, SnSe, SnTe, Sb2S3, Sb2Se3, AlN, AlP, AlAs, GaN, GaP, GaAs, GaSb, InN, InP, InAs, InSb, Si 및 G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용 전해 조성물
5 5
제4항에 있어서,상기 양자점은 밴드갭 (Band Gap) 이 1
6 6
태양광을 투과할 수 있는 재질의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의 일면상에 형성되고 투명전도성전극 및 염료가 흡착된 다공질막을 포함한 광전극과; 상기 광전극과 이격되어 설치된 상대전극; 및 상기 광전극과 상대전극 사이에 충진되며 각각 하기 화학식 1의 5-메틸티오-1,3,4-티아디아졸-2-티올(5-Methylthio-1,3,4-thiadiazole-2-thiol, MTD) 및 화학식 2의 5-메틸티오-1,3,4-티아디아졸 디설파이드 양이온(5-Methylthio-1,3,4-thiadiazole disulfide cation,(MTD)22+)로 이루어진 산화환원쌍을 포함한 전해 조성물을 포함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질막은 주석(Sn)산화물, 안티몬(Sb), 나이오븀(Nb) 또는 불소 도핑된 주석(Sn)산화물, 인듐(In)산화물, 주석 도핑된 인듐(In)산화물, 아연(Zn)산화물, 알루미늄(Al), 붕소(B), 갈륨(Ga), 수소(H), 인듐(In), 이트륨(Y), 타이타늄(Ti), 실리콘(Si) 또는 주석(Sn) 도핑된 아연(Zn)산화물, 마그네슘(Mg)산화물, 캐드뮴(Cd)산화물, 마그네슘아연(MgZn)산화물, 인듐아연(InZn)산화물, 구리알루미늄(CuAl)산화물, 실버(Ag)산화물, 갈륨(Ga)산화물, 아연주석산화물(ZnSnO), 타이타늄산화물(TiO2), 아연인듐주석(ZIS)산화물, 니켈(Ni)산화물, 로듐(Rh)산화물, 루세늄(Ru)산화물, 이리듐(Ir)산화물, 구리(Cu)산화물, 코발트(Co)산화물, 텅스텐(W)산화물, 티타늄(Ti)산화물, 지르코늄(Zr)산화물, 스트론튬(Sr)산화물, 란타넘(La)산화물, 바나듐(V)산화물, 몰리브데넘(Mo)산화물, 나이오븀(Nb)산화물, 알루미늄(Al)산화물, 이트늄(Y)산화물, 스칸듐(Sc)산화물, 사마륨(Sm)산화물 및 스트론튬타이타늄(SrTi)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금속산화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8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양자점; 또는 500~600 nm사이에 큐-밴드(Q-bands)를 가지고 있는 물질인 포피린(porpyrine) 염료, 스쿠알린(squarine) 염료 또는 N719, N3, Ru505 및 Z90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루테늄계 염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은 CdS, CdSe, ZnS, PbS, PbSe, PbTe, SnS, SnSe, SnTe, Sb2S3, Sb2Se3, AlN, AlP, AlAs, GaN, GaP, GaAs, GaSb, InN, InP, InAs, InSb, Si 및 G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10 10
제9항에 있어서,상기 양자점은 밴드갭 (Band Gap) 이 1
11 11
삭제
12 12
삭제
13 13
삭제
14 14
삭제
15 15
삭제
16 16
제6항에 있어서,상기 상대전극은 백금(Pt), 활성탄(activated carbon), 흑연(graphite), 카본 나노튜브, 카본블랙, p-형 반도체, PEDOT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 PSS(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 폴리아닐린-CSA, 펜타센, 폴리아세틸렌, P3HT(폴리(3-헥실티오펜), 폴리실록산 카르바졸, 폴리아닐린,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1-메톡시-4-(0-디스퍼스레드1)-2,5-페닐렌-비닐렌), 폴리인돌, 폴리카르바졸, 폴리피리디아진, 폴리이소티아나프탈렌,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비닐피리딘, 폴리티오펜, 폴리플루오렌, 폴리피리딘, 폴리피롤, 폴리설퍼나이트라이드, 이들의 유도체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재질로 이루어진 필름을 기재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산업통상자원부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에너지기술개발사업 근적외선 흡광 기반 효율 10% 양자점 태양전지 기술개발
2 미래창조과학부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 친환경 신규 광활성 소재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