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 기술번호 : KST2018009842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에 따른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복수의 사물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를 미리 정의된 긴급상황의 종류 및 긴급상황의 클래스에 따라 게이트웨이의 긴급상황 리소스에 등록시키는 단계; 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의 긴급상황 알림 모듈이 상기 긴급상황 리소스로 긴급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발생된 긴급상황에 대응되는 긴급상황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는 상기 긴급상황의 종류 및 클래스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별로 차등 전송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미리 정의된 대응 시나리오를 수행한다.
Int. CL G08B 21/10 (2014.01.01) G08B 21/18 (2006.01.01) G08B 25/14 (2006.01.01) G08B 27/00 (2006.01.01)
CPC G08B 21/10(2013.01) G08B 21/10(2013.01) G08B 21/10(2013.01) G08B 21/1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70000691 (2017.01.03)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8-0080410 (2018.07.12)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7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형옥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서구
2 오승훈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광산구
3 이병탁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4 고석갑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광산구
5 손승철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광산구
6 이동수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지명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남부순환로**** 차우빌딩*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01.03 수리 (Accepted) 1-1-2017-0006950-7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사물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복수의 사물인터넷 기반의 디바이스를 미리 정의된 긴급상황의 종류 및 긴급상황의 클래스에 따라 게이트웨이의 긴급상황 리소스에 등록시키는 단계;긴급상황이 발생한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의 긴급상황 알림 모듈이 상기 긴급상황 리소스로 긴급상황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는 단계 및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발생된 긴급상황에 대응되는 긴급상황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는 상기 긴급상황의 종류 및 클래스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 별로 차등 전송되고,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미리 정의된 대응 시나리오를 수행하는 것인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2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게이트웨이의 긴급상황 리소스에는 긴급상황 식별자, 긴급상황의 종류 및 긴급상황의 클래스가 계층적으로 구성되는 것인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3 3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게이트웨이의 긴급상황 리소스에 등록시키는 단계는,상기 긴급상황의 종류마다 하나의 긴급상황 클래스가 할당되어, 관전(observe) 또는 구독(subscribe) 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가 등록되는 것인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4 4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사물인터넷 프로토콜은 LwM2M(Lightweight Machine-to-Machine) 사물인터넷 표준이되, 상기 사물인터넷 프로토콜의 URI 정의에 따라, 오브젝트 ID, 오브젝트 인스턴스, 리소스 ID 및 리소스 인스턴스는 미리 정의되어 있는 것인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5 5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오브젝트 ID 및 오브젝트 인스턴스는 상기 긴급상황 식별자에 대응되는 오브젝트로 정의되고, 상기 긴급상황의 종류는 상기 리소스 ID에 정의되며, 상기 긴급상황의 클래스는 상기 리소스 인스턴스에 정의되는 것인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6 6
제 5항에 있어서,상기 게이트웨이의 긴급상황 리소스에 등록시키는 단계는,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긴급상황의 종류 및 클래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관전(observ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상기 관전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긴급상황의 종류 및 클래스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상기 긴급상황 리소스에 등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7 7
제 6 항에 있어서,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상기 게이트웨이가 통지(notify) 또는 멀티 캐스트 방식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인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8 8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사물인터넷 프로토콜은 oneM2M(one Machine-to-Machine) 사물인터넷 표준이되, 상기 게이트웨이의 공통 엔티티(CSE)에는 긴급상황 식별자에 대응하는 컨테이너 리소스(container Resource)가 형성되고, 이의 하위 계층으로 상기 긴급상황의 종류 및 긴급상황의 클래스에 각각 대응되는 컨테이너 리소스가 형성되어 상기 긴급상황 리소스가 구성되는 것인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9 9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긴급상황 리소스에 등록시키는 단계는,상기 하위 계층으로 구성된 상기 긴급상황의 클래스에 대응되는 컨테이너 리소스에 구독(subscription) 리소스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10 10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상기 게이트웨이가 통지(notify) 또는 멀티 캐스트 방식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인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11 11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사물인터넷 프로토콜은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 사물인터넷 표준이되, 상기 게이트웨이에는 긴급상황 컬렉션이 형성되고, 상기 긴급상황 컬렉션의 하위 계층으로 긴급상황의 종류에 대응되는 컬렉션 및 긴급상황의 클래스에 대응되는 리소스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긴급상황 리소스가 구성되는 것인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12 12
제 11 항에 있어서,상기 게이트웨이의 긴급상황 리소스에 등록시키는 단계는,상기 관전 메커니즘을 통해,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긴급상황 클래스에 대응되는 리소스에 obs 파라미터가 포함된 검색 요청(RETRIEVE Request)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13 13
제 12 항에 있어서,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상기 검색 요청에 대응하는 검색 응답(RETRIEVE Response) 또는 멀티 캐스트 방식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인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14 14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사물인터넷 프로토콜은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사물인터넷 표준이되, 상기 사물인터넷 프로토콜의 URI 정의에 따라, 긴급상황 식별자, 긴급상황의 종류 및 긴급상황의 클래스가 계층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게이트웨이의 긴급상황 리소스에 등록시키는 단계는,상기 관전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긴급상황의 종류 및 클래스의 정보를 포함하는 관전(observe)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인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15 15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사물인터넷 프로토콜은 MQTT(Message Queueing Telemetry Transport) 사물인터넷 표준이되,상기 긴급상황 식별자, 긴급상황의 종류 및 긴급상황의 클래스가 계층적으로 토픽(Topic) 형태로 형성되어 MQTT 브로커(broker)가 가지고 있는 것인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16 16
제 15 항에 있어서,상기 게이트웨이의 긴급상황 리소스에 등록시키는 단계는,상기 구독(subscribe)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상기 긴급상황 클래스에 대응하는 토픽 별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를 등록시키는 것인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17 17
제 16 항에 있어서,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는,상기 게이트웨이가 공표(publish) 방식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인 긴급상황 서비스 제공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 지역광부품 고도화를 위한 광융합 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