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유중수형 에멀션 시스템을 이용한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18011435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개시 내용에서는 유중수형 에멀션 내 수용성 고분자의 용해도 변화에 따른 고체화 현상을 이용하여 조립화된(assembled) 복합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된다.
Int. CL C01B 32/168 (2017.01.01) C01B 33/02 (2006.01.01) C01B 32/166 (2017.01.01) C01G 53/00 (2006.01.01)
CPC C01B 32/168(2013.01) C01B 32/168(2013.01) C01B 32/168(2013.01) C01B 32/168(2013.01) C01B 32/168(2013.01) C01B 32/168(2013.01) C01B 32/168(2013.01) C01B 32/168(2013.01) C01B 32/16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70017870 (2017.02.09)
출원인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8-0092345 (2018.08.20)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7.02.09)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서경도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2 선양국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3 임형석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4 송은희 대한민국 경기도 부천시 계남로 ,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도담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 에스동 ***호(삼평동,에이치스퀘어)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 성동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02.09 수리 (Accepted) 1-1-2017-0134091-88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7.10.13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7.12.12 수리 (Accepted) 9-1-2017-0044848-53
4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8.06.14 불수리 (Non-acceptance) 1-1-2018-0579216-03
5 서류반려이유통지서
Notice of Reason for Return of Document
2018.06.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8-0092939-43
6 [대리인선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Appointment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8.06.19 수리 (Accepted) 1-1-2018-0600532-10
7 [반려요청]서류반려요청(반환신청)서
[Request for Return] Request for Return of Document
2018.06.20 수리 (Accepted) 1-1-2018-0603300-49
8 심사처리보류(연기)보고서
Report of Deferment (Postponement) of Processing of Examination
2018.06.2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6-2018-0082715-76
9 서류반려통지서
Notice for Return of Document
2018.06.25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8-0096911-69
10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8.08.09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541106-02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05 수리 (Accepted) 4-1-2019-5155816-75
1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06 수리 (Accepted) 4-1-2019-5156285-0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유기 성분 및 무기 성분을 포함하는 복수의 1차 입자를 수용성 고분자와 함께 수 분산액을 형성하는 단계;B) 상기 수 분산액을 오일과 접촉시켜 유중수형(water-in-oil) 에멀션을 형성하는 단계; 및C) 상기 수용성 고분자에 대하여는 용해성이 없으면서 물 및 오일에 대하여는 혼화성을 갖는 유기용매를 상기 유중수형 에멀션과 접촉시켜 침전물 또는 고상화물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용성 고분자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1차 입자가 조립화되어 있는 2차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2 2
a) 유기 입자 및 무기 입자를 수용성 고분자와 함께 물 또는 수용액에 분산시켜 수 분산액을 형성하는 단계;b) 상기 수 분산액을 오일과 접촉시켜 유중수형(water-in-oil) 에멀션을 형성하는 단계; 및c) 상기 수용성 고분자에 대하여는 용해성이 없으면서 물 및 오일에 대하여는 혼화성을 갖는 유기용매를 상기 유중수형 에멀션과 접촉시켜 침전물 또는 고상화물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수용성 고분자에 의하여 상기 유기 입자 및 무기 입자가조립화되어 있는 복합 입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D) 산소 분위기 하에서 상기 2차 입자를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4 4
제2항에 있어서, d)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상기 복합 입자를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5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입자는 유기 성분으로서 고분자 및 무기 성분으로서 금속 전구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입자는 고분자 입자 내에 금속 전구체가 혼입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7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수용성 선형 고분자로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셀룰로오스(cellulose),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hydroxylmethyl cellulose) 및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ydroxylethyl cellulos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적어도 하나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8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탄화수소계 오일, 식물성 또는 동물성 오일, 오일계 에스테르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의 점도(25 ㅀC)는 8 내지 70 cP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10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성분은 금속 전구체로서 Li, Na, Mg, Al, Ti, V, Cr, Mn, Fe, Co, Ni, Cu, Zn, Ga, Rb, Sr, Y, Zr, Mo, Ru, Rh, Pd, Ag, Cd, In, Sn, Cs, Ba, La, Ce, Nd, Sm, Eu, Gd, Tb, W, Sn, Hf, Ir, Pt, Pb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금속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11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THF), 디메톡시에탄(dimethoxyethane), 피리딘(pyridine), 아세톤(acetone), t-부틸알코올(t-butyl alcohol),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2-프로판올(2-propanol), 아세틸아세톤(acetyl acetone)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12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입자를 열처리하는 단계는 450 내지 1,000℃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13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입자는 10 내지 400 ㎡/g의 비표면적(BET) 및 5 내지 30 %의 공극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14 14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입자는 탄소나노튜브(CNTs), 인조 흑연, 이흑연화성 탄소, 난흑연화성 탄소, 카본 블랙, 그래핀 및 그래핀 산화물, 탄소나노와이어(CNWs), 탄소나노로드(CNRs)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15 1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입자는 Si, Sn, Li4Ti5O12, SnSiO3, SnO2, TiO2, Fe2O3, Fe3O4, CoO, Co3O4, CaO, MgO, CuO, ZnO, In2O3, NiO, MoO3, WO3 또는 이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16 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입자를 열처리하는 단계는 450 내지 1,000℃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17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안정화된 수 분산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18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입자의 사이즈는 3 ㎛ 이하, 그리고 상기 2차 입자의 사이즈는 2 내지 180 ㎛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19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화된 복합 입자의 사이즈는 2 내지 180 ㎛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20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입자는 탄소나노튜브(CNT)이고, 상기 무기 입자는 실리콘(Si) 나노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입자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