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홍합 접착 단백질을 포함하는 다공성 마이크로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 기술번호 : KST2018013759
  • 담당센터 : 대구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3-550-145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홍합 접착 단백질을 포함하는 다공성 마이크로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홍합 접착 단백질을 포함하는 다공성 마이크로입자는 실린지를 통한 최소 침습형 생체 주입이 가능하여 세포전달체로서 조직 손상 부위에 치료용 줄기세포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조직의 결함 부위의 크기에 알맞게 적용할 수 있는 조직공학용 지지체, 또는 약물 전달체 등으로 폭넓게 응용될 수 있다.
Int. CL C07K 14/435 (2006.01.01) C12N 15/63 (2006.01.01) A61K 47/64 (2017.01.01) A61L 27/22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70120506 (2017.09.19)
출원인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8-0111450 (2018.10.1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70041584   |   2017.03.31
법적상태 거절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7.09.19)
심사청구항수 1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차형준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2 김동표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3 조윤기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4 민경익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순웅 대한민국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길 **, ***호 (구로동,에이스테크노타워*차)(정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09.19 수리 (Accepted) 1-1-2017-0912757-14
2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8.12.1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849329-11
3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9.02.11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9-0138721-17
4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9.02.11 수리 (Accepted) 1-1-2019-0138634-32
5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9.06.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456255-58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9.07.26 수리 (Accepted) 1-1-2019-0770000-64
7 [명세서등 보정]보정서(재심사)
Amendment to Description, etc(Reexamination)
2019.07.26 보정승인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9-0769979-01
8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9.08.2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610374-52
9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1.20 수리 (Accepted) 4-1-2019-5243581-27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1.22 수리 (Accepted) 4-1-2019-5245997-53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1.25 수리 (Accepted) 4-1-2019-5247115-6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홍합 접착 단백질을 포함하는, 다공성 마이크로입자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합 접착 단백질은 서열번호 1, 서열번호 5, 서열번호 6, 서열번호 7, 서열번호 8 및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단백질 또는 상기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아미노산 서열이 연결된 융합 단백질인, 다공성 마이크로입자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융합 단백질은 서열번호 10, 서열번호 12, 서열번호 13, 서열번호 14 및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융합 단백질인, 다공성 마이크로입자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합 접착 단백질은 전체 타이로신 잔기의 10 ~ 100%가 도파(DOPA)로 변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마이크로입자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마이크로입자는 유중수 에멀젼(water-in-oil emulsion)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마이크로입자
6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중수 에멀젼은 홍합 접착 단백질에 포함된 도파 잔기의 산화반응에 의한 가교화를 통해 응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마이크로입자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마이크로입자는 공극률이 50 내지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마이크로입자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마이크로입자는 생체적합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마이크로입자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마이크로입자는 생리활성물질을 적재(loading) 또는 부착(attachment)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마이크로입자
10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생리활성물질은 세포, 단백질, 폴리펩타이드, 다당류, 단당류, 올리고당류, 지방산 및 핵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생리활성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마이크로입자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지방질줄기세포(adipose stem cell), 조골세포(osteoblast), 치주인대세포(periodontal ligament cell), 혈관내피세포(vascular endothelial cell), 섬유세포(fibroblast), 간세포(hepatocyte), 신경세포(neurons), 암세포(cancer cell), B 세포 및 백혈구세포(white blood cel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마이크로입자
12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마이크로입자는 최소 침습형 생체 주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마이크로입자
13 13
홍합 접착 단백질을 포함하는, 다공성 마이크로 입자 형성용 조성물
14 14
제13항에 있어서, 산화제 및 기공유도물질(porogen)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마이크로 입자 형성용 조성물
15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제는 NaIO4, NaIO3, VOSO4, Na3VO4, Na2Cr2O7, Mn(OAc)3, MnO2, KMnO4, Na2S2O8, H2O2, Na2S2O4, BHP(tert-butyl hydroperoxide) 및 DTT(dithiothreit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성 마이크로 입자 형성용 조성물
16 16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다공성 마이크로입자를 포함하는 세포전달체
17 17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다공성 마이크로입자를 포함하는 조직공학용 지지체
18 18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다공성 마이크로입자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
19 19
1) 미세유체채널 내부에서 홍합 접착 단백질, 산화제 및 기공유도물질(porogen)을 포함하는 유중수 에멀젼을 형성하는 단계;2) 홍합 접착 단백질에 포함된 도파 잔기의 산화를 통해 상기 유중수 에멀젼을 가교시키는 단계; 및3) 가교 후 얻어진 에멀젼 입자를 세척하고 기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마이크로입자의 제조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8182278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DOCDB 패밀리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해양수산부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양생명공학기술개발사업 해양 섬유복합소재 및 바이오플라스틱소재 기술개발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리더연구자지원사업 지능형 미세유체 기반 정밀의약 합성공정 및 응용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