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무항생제 플라스미드 유지 시스템에서 플라스미드 카피 수의 정량적 조절 방법

  • 기술번호 : KST2018013946
  • 담당센터 : 대구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3-550-145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합성 5′ UTR(untranslated region), 프로모터 및 조절 유전자를 포함하는 유전자 발현 카세트, 복제원점 및 상기 유전자 발현 카세트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상기 재조합 벡터가 도입된 분리 불안(segregational instability)이 개선된 재조합 미생물, 상기 재조합 벡터를 도입하여 분리 불안이 개선된 재조합 미생물의 제조 방법 및 재조합 미생물 내 플라스미드 카피 수의 정량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에 필수적인 번역 개시 인자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infA 및 단백질 신장 인자(EF-P)를 코딩하는 efp를 미생물의 염색체에서 제거시키고 상기 조절 유전자를 포함하는 유전자 발현 카세트를 Escherichia coli를 숙주로 하여 도입하면, 세포 간 고유변이 없이 무항생제 배지에서 플라스미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조합 미생물에서 infA 및 efp 발현량을 프로모터를 통하여 정밀하게 조절할 경우, PCN 역시 높은 효율로 정량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하고자 하는 다양한 산업에서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Int. CL C12N 15/69 (2006.01.01) C12N 15/70 (2006.01.01) C12P 5/02 (2006.01.01) C12P 7/46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80039841 (2018.04.05)
출원인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2050870-0000 (2019.11.26)
공개번호/일자 10-2018-0113469 (2018.10.16)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91202)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70044979   |   2017.04.06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8.04.05)
심사청구항수 24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관악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정규열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2 서상우 서울특별시 관악구
3 강채원 대구광역시 달서구
4 임현규 충청북도 충주시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순웅 대한민국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길 **, ***호 (구로동,에이스테크노타워*차)(정진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2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서울특별시 관악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04.05 수리 (Accepted) 1-1-2018-0340730-11
2 [출원인변경]권리관계변경신고서
[Change of Applicant] Report on Change of Proprietary Status
2018.05.03 수리 (Accepted) 1-1-2018-0439018-19
3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9.01.24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4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9.03.14 수리 (Accepted) 9-1-2019-0011965-04
5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9.05.03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322769-50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5.13 수리 (Accepted) 4-1-2019-5093546-10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5.23 수리 (Accepted) 4-1-2019-5101798-31
8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9.07.03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9-0680744-70
9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9.07.03 수리 (Accepted) 1-1-2019-0680730-31
10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02 수리 (Accepted) 4-1-2019-5154561-59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1.20 수리 (Accepted) 4-1-2019-5243581-27
12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9.11.2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842526-25
1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1.22 수리 (Accepted) 4-1-2019-5245997-53
1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11.25 수리 (Accepted) 4-1-2019-5247115-68
1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11.25 수리 (Accepted) 4-1-2020-5265458-48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예측 발현량이 100 내지 100,000의 값을 나타내는 낮은 세기의 합성 5' UTR(untranslated region), 목적 플라스미드 카피수에 따라 선택된 목적 전사량을 가지는 프로모터 및 조절 유전자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 유전자는 ribF, ileS, lspA, ispH, dapB, folA, imp, ftsL, ftsI, murE, murF, mraY, murD, ftsW, murG, murC, ftsQ, ftsA, ftsZ, lpxC, secM, secA, coaE, can, folK, hemL, yadR, dapD, map, rpsB, tsf, pyrH, frr, dxr, ispU, cdsA, yaeL, yaeT, lpxD, fabZ, lpxA, lpxB, dnaE, accA, tilS, proS, hemB, secD, secF, ribD, ribE, nusB, thiL, dxs, ispA, ffs, dnaX, adk, hemH, lpxH, cysS, folD, argU, mrdB, mrdA, nadD, holA, rlpB, leuS, lnt, leuW, glnS, fldA, infA, ftsK, lolA, serS, rpsA, msbA, lpxK, kdsB, mukF, mukE, mukB, asnS, fabA, serT, mviN, rne, yceQ, fabD, fabG, acpP, tmk, holB, lolC, lolD, lolE, pth, prsA, ispE, lolB, hemA, prfA, prmC, kdsA, topA, ribA, fabI, tyrS, ribC, pheT, pheS, rplT, infC, thrS, nadE, gapA, yeaZ, aspS, argS, leuZ, cysT, pgsA, metG, folE, yejM, gyrA, nrdA, nrdB, folC, accD, fabB, gltX, ligA, zipA, dapE, dapA, hda, der, hisS, ispG, suhB, acpS, era, lepB, pssA, yfiO, rplS, trmD, rpsP, ffh, grpE, yfjB, serV, csrA, alaS, ispF, ispD, ftsB, eno, pyrG, lgt, prfB, fbaA, pgk, metK, yqgF, plsC, parC, parE, ribB, cca, folB, ygjD, dnaG, rpoD, infB, nusA, leuU, glmM, ftsH, obgE, rpmA, rplU, ispB, murA, kdsC, yrbK, yhbN, yhbG, rpsI, rplM, degS, mreD, mreC, mreB, accB, accC, rpoC, rpoB, rplL, rplJ, nusG, secE, glyT, thrU, coaA, birA, murB, murI, priA, ftsN, yihA, polA, hemG, hemC, hemD, proM, hisR, argX, rho, trpT, glmU, glmS, yidC, rnpA, rpmH, dnaA, dnaN, gyrB, spoT, gmk, dut, dfp, rpmB, coaD, kdtA, gpsA, glyQ, glyS, ftsY, ftsE, ftsX, rpoH, asd, yrfF, trpS, rpsL, rpsG, fusA, rpsJ, rplC, rplD, rplW, rplB, rpsS, rplV, rpsC, rplP, rpmC, rpsQ, rplN, rplX, rplE, rpsN, rpsH, rplF, rplR, rpsE, rpmD, rplO, secY, rpsM, rpsK, rpsD, rpoA, rplQ, fmt, def, yrdC, ubiA, plsB, lexA, dnaB, ssb, groS, groL, efp, psd, rsgA, orn, yjeE, rpsR, ppa, valS, yjgP, yjgQ, dnaC 및 dna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유전자이며, 프로모터, 합성 5' UTR 및 조절 유전자의 순서로 배열되는, 플라스미드 카피수의 정량 조절용 유전자 발현 카세트
2 2
삭제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모터는 서열번호 1 내지 5로 표시되는 프로모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프로모터인, 유전자 발현 카세트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5′ UTR은 유전자를 저발현시키기 위한 것인, 유전자 발현 카세트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5′ UTR은 서열번호 54, 55, 56 및 59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5′ UT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발현 카세트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발현 카세트는 목적 유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발현 카세트
7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 유전자는 이타콘산 또는 라이코펜 생산 유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발현 카세트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발현 카세트는 터미네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발현 카세트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네이터는 서열번호 5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자 발현 카세트
10 10
복제원점 및 제1항의 유전자 발현 카세트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벡터는 플라스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벡터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미드는 세포당 1 내지 600 카피 수를 가지도록 하는 복제원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벡터
13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벡터는 복제원점으로 CloDF-13 또는 PMB1을 포함하고, 조절 유전자로 inf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벡터
14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벡터는 복제원점으로 CloE1을 포함하고, 조절 유전자로 efp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벡터
15 15
제10항의 재조합 벡터가 도입된, 분리 불안(segregational instability)이 개선되고 플라스미드 카피수가 조절된 재조합 미생물
16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미생물은 제13항의 재조합 벡터 및 제14항의 재조합 벡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재조합 벡터가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불안(segregational instability)이 개선되고 플라스미드 카피수가 조절된 재조합 미생물
17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미생물은 재조합 벡터의 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불안(segregational instability)이 개선되고 플라스미드 카피수가 조절된 재조합 미생물
18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미생물은 상기 재조합 벡터에 포함된 유전자 발현 카세트에 포함된 조절 유전자가 염색체 상에서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불안(segregational instability)이 개선되고 플라스미드 카피수가 조절된 재조합 미생물
19 19
제10항의 재조합 벡터를 도입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리 불안(segregational instability)이 개선되고 플라스미드 카피수가 조절된 재조합 미생물의 제조 방법
20 20
(a) 목적 플라스미드 카피 수에 따라 목적 전사량을 가지는 프로모터를 선택하는 단계; (b) 프로모터, 합성 5' UTR 및 조절 유전자의 순서로 배열되는, 상기 (a) 단계에서 선택된 프로모터, 예측 발현량이 100 내지 100,000의 값을 나타내는 낮은 세기의 합성 5′UTR 및 ribF, ileS, lspA, ispH, dapB, folA, imp, ftsL, ftsI, murE, murF, mraY, murD, ftsW, murG, murC, ftsQ, ftsA, ftsZ, lpxC, secM, secA, coaE, can, folK, hemL, yadR, dapD, map, rpsB, tsf, pyrH, frr, dxr, ispU, cdsA, yaeL, yaeT, lpxD, fabZ, lpxA, lpxB, dnaE, accA, tilS, proS, hemB, secD, secF, ribD, ribE, nusB, thiL, dxs, ispA, ffs, dnaX, adk, hemH, lpxH, cysS, folD, argU, mrdB, mrdA, nadD, holA, rlpB, leuS, lnt, leuW, glnS, fldA, infA, ftsK, lolA, serS, rpsA, msbA, lpxK, kdsB, mukF, mukE, mukB, asnS, fabA, serT, mviN, rne, yceQ, fabD, fabG, acpP, tmk, holB, lolC, lolD, lolE, pth, prsA, ispE, lolB, hemA, prfA, prmC, kdsA, topA, ribA, fabI, tyrS, ribC, pheT, pheS, rplT, infC, thrS, nadE, gapA, yeaZ, aspS, argS, leuZ, cysT, pgsA, metG, folE, yejM, gyrA, nrdA, nrdB, folC, accD, fabB, gltX, ligA, zipA, dapE, dapA, hda, der, hisS, ispG, suhB, acpS, era, lepB, pssA, yfiO, rplS, trmD, rpsP, ffh, grpE, yfjB, serV, csrA, alaS, ispF, ispD, ftsB, eno, pyrG, lgt, prfB, fbaA, pgk, metK, yqgF, plsC, parC, parE, ribB, cca, folB, ygjD, dnaG, rpoD, infB, nusA, leuU, glmM, ftsH, obgE, rpmA, rplU, ispB, murA, kdsC, yrbK, yhbN, yhbG, rpsI, rplM, degS, mreD, mreC, mreB, accB, accC, rpoC, rpoB, rplL, rplJ, nusG, secE, glyT, thrU, coaA, birA, murB, murI, priA, ftsN, yihA, polA, hemG, hemC, hemD, proM, hisR, argX, rho, trpT, glmU, glmS, yidC, rnpA, rpmH, dnaA, dnaN, gyrB, spoT, gmk, dut, dfp, rpmB, coaD, kdtA, gpsA, glyQ, glyS, ftsY, ftsE, ftsX, rpoH, asd, yrfF, trpS, rpsL, rpsG, fusA, rpsJ, rplC, rplD, rplW, rplB, rpsS, rplV, rpsC, rplP, rpmC, rpsQ, rplN, rplX, rplE, rpsN, rpsH, rplF, rplR, rpsE, rpmD, rplO, secY, rpsM, rpsK, rpsD, rpoA, rplQ, fmt, def, yrdC, ubiA, plsB, lexA, dnaB, ssb, groS, groL, efp, psd, rsgA, orn, yjeE, rpsR, ppa, valS, yjgP, yjgQ, dnaC 및 dnaT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조절 유전자를 포함하는 유전자 발현 카세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c) 상기 (b) 단계에서 제조한 유전자 발현 카세트를 미생물에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조합 미생물 내 플라스미드 카피 수의 정량 조절 방법
21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발현 카세트는 목적 유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미생물 내 플라스미드 카피 수의 정량 조절 방법
22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발현 카세트는 터미네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미생물 내 플라스미드 카피 수의 정량 조절 방법
23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모터는 서열번호 1 내지 5로 표시되는 프로모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프로모터인, 재조합 미생물 내 플라스미드 카피 수의 정량 조절 방법
24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미생물은 상기 (b)단계에서 선택된 조절 유전자가 염색체 상에서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미생물 내 플라스미드 카피 수의 정량 조절 방법
25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미생물을 항생제 미포함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조합 미생물 내 플라스미드 카피 수의 정량 조절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8186704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WO2018186704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DOCDBFAMILY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글로벌프론티어사업 3-HP 생산을 위한 합성생물학 기반의 대사경로 최적화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포항공과대학교 집단연구지원 고부가가치 화합물 생산을 위한 미생물 기반 통합적 이산화탄소 전환 공정 개발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포항공과대학교 개인기초연구(미래부) 생체 시스템의 모듈화 설계를 통한 바이오 화합물 고생산능 균주 및 미생물 컨소시엄 개발
4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포항공과대학교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 메탄의 고부가가치 화합물 전환을 위한 신규 경로 및 균주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