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조음기관의 물리 특성과 음성 간 매칭을 통한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 기술번호 : KST2018014139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센서를 통해 두경부 조음 기관의 물리특성을 인지하고, 이를 통해 말하기 의도를 파악하여, 표현 장치를 통해 발화 내역을 음성형태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화자(10)의 두경부의 일면에 인접하여 조음기관의 물리특성을 측정하는 센서부(100);와 상기 센서부의 위치(210)와 측정된 조음 기관의 물리특성을 기반으로 화자의 하나이상의 발화 특징(220)을 파악하는 데이터해석부(200); 와 상기 하나이상의 센서부의 위치(210)와 상기 하나이상의 발화 특징(210)을 음성 데이터(310)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300);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구강설의 일면에 인접하거나, 그 내부에 삽입되는 구강설 센서(110)를 포함한다.
Int. CL G10L 15/25 (2013.01.01) G10L 15/04 (2006.01.01) G10L 15/02 (2006.01.01) G10L 21/06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70126470 (2017.09.28)
출원인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8-0115603 (2018.10.2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70048010   |   2017.04.13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45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우기 대한민국 경기도 군포시 산본로***번길 **, **
2 심봉섭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
3 권헌도 대한민국 경상북도
4 김덕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양천구
5 신진호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남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네이트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 ***호(역삼동, 하나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09.28 수리 (Accepted) 1-1-2017-0954680-71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03.02 수리 (Accepted) 4-1-2018-5036549-31
3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12.27 수리 (Accepted) 4-1-2018-5266647-9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화자(10)의 두경부의 일면에 인접하여 조음기관의 물리특성을 측정하는 센서부(100);와상기 센서부의 위치(210)와 측정된 조음 기관의 물리특성을 기반으로 화자의 하나이상의 발화 특징(220)을 파악하는 데이터해석부(200); 와상기 하나이상의 센서부의 위치(210)와 상기 하나이상의 발화 특징(220)을 음성 데이터(310)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300); 포함하고,상기 센서부는 구강설의 일면에 인접하거나, 그 내부에 삽입되는 구강설 센서(1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과 음성 간 매칭을 통한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2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설 센서(110)은 구강설의 저고도, 전후설성, 굴곡도, 신전도, 회전도, 긴장도, 수축도, 이완도, 진동도 중 하나이상의 독립 물리 신호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특성 기반의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3 3
제 1항 내지 2항에 있어서,상기 센서부(100)의 구강설 센서(110)는 구강설의 일측면에 고착되거나, 그 표면을 감싸거나, 그 내부에 삽입되어 발화에 따른 구강설의 x축, y축, z축 방향 기반의 시간에 따른 벡터량의 변화량을 파악함으로서, 구강설을 포함한 조음기관의 물리 특성에 의한 발화 특징(220)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발화와 표정 간의 일치를 위한 두경부 조음기관의 물리특성 기반의 발화 측정 및 구현 시스템
4 4
제 1항 내지 2항에 있어서,상기 센서부(100)의 구강설 센서(110)는 구강설의 일측면에 고착되거나, 그 표면을 감싸거나, 그 내부에 삽입되어 발화에 따른 구강설의 x축, y축, z축 방향 기반의 단위 시간 당 회전하는 각도의 변화량를 파악함으로서, 구강설을 포함한 조음기관의 물리 특성에 의한 발화 특징(220)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발화와 표정 간의 일치를 위한 두경부 조음기관의 물리특성 기반의 발화 측정 및 구현 시스템
5 5
제 1항 내지 2항에 있어서,상기 센서부(100)의 구강설 센서(110)은 구강설의 일측면에 고착되거나, 그 표면을 감싸고, 발화에 따른 구강설의 수축 내지 이완으로 발생하는 물리력에 따라 결정 구조(111)의 변화에 의해 편극이 발생하여 전기신호가 발생하는 압전소자(112)를 통해 구강설의 굽힘도를 파악함으로서, 구강설을 포함한 조음기관의 물티 특성에 의한 발화 특징(220)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발화와 표정 간의 일치를 위한 두경부 조음기관의 물리특성 기반의 발화 측정 및 구현 시스템
6 6
제 1항 내지 2항에 있어서,상기 센서부는 구강설이 두경부 내외의 다른 조음기관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기는 접근 및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전기(Tribo Electric Generator)에 따른 연계 물리 신호를 파악하기 위해 마찰대전소자(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특성 기반의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7 7
제 1항 내지 2항에 있어서,상기 센서부는 구강설이 두경부 내외의 수동적 조음기관과 인접 내지 응접에 의해 생기는 파열도, 마찰도, 공명도
8 8
제 1항 내지 2항에 있어서,상기 센서부는 구강설이 두경부 내외의 능동적 조음기관과 인접 내지 응접에 의해 생기는 파열도, 마찰도, 공명도
9 9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해석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구강설의 독립 물리 신호를 통해 화자가 발화하는 자모음, 그에 따라 나타나는 어휘 단위 강세 (Lexical Stress), 문장 단위 강세(Tonic stress) 중 하나이상의 발화 특징을 파악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 기반의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10 10
제 1항 내지 9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해석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되는 구강설과 타 조음기관과의 인접 내지 응접에 의해 발생하는 연계 물리 신호를 통해 화자가 발화하는 자모음, 그에 따라 나타나는 어휘 단위 강세 (Lexical Stress), 문장 단위 강세(Tonic stress) 중 하나이상 발화 특징을 파악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 기반의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11 11
제 9항 내지 10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해석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되는 물리 신호에 의한 발화 특징을 기반으로 2진수 내지 실수를 포함하는 수치로서 화자의 발음과 강세의 정오도, 유사근접도, 발화 의도 중 하나이상을 측정하는 두경부 조음기관의 물리특성 기반의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12 12
제 9항 내지 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100)와 두경부 내외의 수동적 조음기관과 능동적 조음기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생겨 상기 데이터해석부(200)가 파악하는 발화 특징은 페쇄파열음화, 마찰음화, 파찰음화도, 비음화, 유음화, 활음화, 치찰음화, 유무성음화, 성문음화 중 하나이상인 것을 특성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 기반의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13 13
제 11항 내지 12항에 있어서,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되는 물리 신호에 의한 발화 특징(220)은 자모음의 동화(Assimilation), 이화(Dissimilation), 탈락(Elision), 첨가(Attachment), 강세(Stress), 약화(Reduction)로 야기되는 기식음화 (Asperation), 음절성자음화(Syllabic cosonant), 탄설음화(Flapping), 경음화(Tensification), 순음화(Labilalization), 연구개음화(Velarization), 치음화(Dentalizatiom), 구개음화 (Palatalization), 비음화(Nasalization), 강세변화(Stress Shift), 장음화(Lengthening) 중 하나이상의 이차조음현상인 발화 변이(250)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 기반의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14 14
제 1항 내지 2항에 있어서,상기 구강설 센서는 센서 작동을 위한 회로부, 그 회로를 감싸는 캡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 기반의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15 15
제 1항, 2항, 3항,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구강설 센서는 박막 회로를 가진 필름 형태로서 구강설에 인접하여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 기반의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16 16
제 1항, 14항,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구강설 센서의 하부는 구강설의 일면에 접착되고자 접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 기반의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17 17
제 2항, 3항, 4항, 5항, 14항,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구강설 센서의 각 회로는 하나의 통합되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 기반의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18 18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센서부(100)는 하나이상의 안면 근육의 일면에 인접하는 안면 센서(12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 기반의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19 19
제 18항에 있어서,상기 센서부(100)의 안면부 센서(120)은 두경부 근육의 신경신호 측정의 기준 전위를 생성하는 하나이상의 레퍼런스 센서(121)과 상기 두경부 근육의 신경신호를 측정하는 하나이상의 양극 센서(122)와 하나이상의 음극센서(1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 기반의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20 20
제 18항 내지 19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해석부(200)는 안면부 센서(120)에 기반한 센서부의 위치(210)를 획득함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센서(121)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양극 센서(122)와 상기 음극센서(123)의 전위차를 파악하여 상기 안면부 센서(120)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발화와 표정 간의 일치를 위한 두경부 조음기관의 물리특성 기반의 발화 측정 및 구현 시스템
21 21
제 18항 내지 19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해석부(200)는 안면부 센서(120)에 기반한 화자의 발화 특징(220)를 획득함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센서(121)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양극 센서(122)와 상기 음극센서(123)의 전위차를 파악하여 상기 화자의 두경부에서 발생하는 조음기관의 물리 특성에 의한 발화 특징(220)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발화와 표정 간의 일치를 위한 두경부 조음기관의 물리특성 기반의 발화 측정 및 구현 시스템
22 2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센서부(100) 내지 데이터해석부(200)는 화자(10)의 두경부 중 성대에 인접하여 성대의 근전도 내지 떨림을 파악하는 성대 센서(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발화와 표정 간의 일치를 위한 두경부 조음기관의 물리특성 기반의 발화 측정 및 구현 시스템
23 23
제 22항에 있어서,상기 성대 센서(140)은 화자(10)의 발화 시작, 발화 정지, 발화 종료 중 하나이상의 발화 내역 정보(240)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발화와 표정 간의 일치를 위한 두경부 조음기관의 물리특성 기반의 발화 측정 및 구현 시스템
24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해석부(200)는 발화에 따른 화자의 두경부 조음기관의 변화 정보(151) 내지 화자의 두경부 표정 변화 정보(152)를 파악하기 위해 화자(10)의 두경부를 촬상하는 촬상 센서(150)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발화와 표정 간의 일치를 위한 두경부 조음기관의 물리특성 기반의 발화 측정 및 구현 시스템
25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센서(150)는 화자의 발화 의도에 따라 움직이는 두경부, 흉곽부, 상지부, 하지부의 비언어적 표현(153)을 더욱 촬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발화와 표정 간의 일치를 위한 두경부 조음기관의 물리특성 기반의 발화 측정 및 구현 시스템
26 26
제 24항 내지 25항에 있어서,상기 비언어적 표현(153)은 화자의 발화 의도에 따라 발생하는 두경부의 상하좌우의 기울임, 흉곽부의 들썩임, 두경부와 흉곽부 간의 핏대 및 근육의 긴장, 상지부의 떨림, 상지부의 제스쳐, 하지부의 떨림, 하지부의 제스쳐 중 하나이상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발화와 표정 간의 일치를 위한 두경부 조음기관의 물리특성 기반의 발화 측정 및 구현 시스템
27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치아의 일면에 인접하여 구강설 내지 아랫 입술이 접촉함으로 발생하는 전기적 용량 변화에 따른 신호발생 위치를 파악하는 치아 센서(16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 조음기관의 물리 특성 기반의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28 28
제 1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해석부(200)는 화자의 두경부 일면에 인접한 음성취득센서(130)를 통해 발화에 따른 화자의 음성(230)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과 음성 간 매칭을 통한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29 29
제 1항 내지 28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변환부(300)는 상기 음성취득센서(130)에서 취득된 화자의 음성(230)을 상기 구강설 센서(110) 내지 안면 센서(110)에 의해 획득된 센서부의 위치(210) 내지 화자의 발화 특징(220)와 함께 음성 데이터(310)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과 음성 간 매칭을 통한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30 30
제 1항, 18항, 22항, 24항, 27항, 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1 31
제 1 항 내지 3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데이터해석부 내지 데이터베이스부 중 하나이상이 외부에 위치하여 작동할 경우, 연동되어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 기반의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32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의 경우, 유선 내지 무선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 조음기관의 물리 특성 기반의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33 3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변환부(300)는 상기 센서부의 위치(210), 화자의 발화 특징(220), 화자의 음성(230)에 대응하는 하나이상의 음성 데이터 색인(360)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350)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과 음성 간 매칭을 통한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34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50)는 발화의 진행 시간, 발화에 따른 주파수, 발화의 진폭, 발화에 따른 두경부 근육의 근전도, 발화에 따른 두경부 근육의 위치 변화, 구강설의 굽힘 및 회전에 따른 위치 변화 중 하나이상의 정보를 기반으로 하나이상의 음성 데이터 색인(360)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과 음성 간 매칭을 통한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35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50)는 하나이상의 음성 데이터 색인(360)을 구성함에 있어서, 자모음의 음소단위 색인(361), 음절 단위 색인(362), 단어단위 색인(363), 구절단위 색인(364), 문장단위 색인(365), 연속 발화 단위 색인(366), 발음의 고저 색인(36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과 음성 간 매칭을 통한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36 36
제 1항, 8항, 10항,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음성 데이터(310)를 소리, 음운론 기호, 음성학 기호, 안내 표식, 그림 중 하나이상의 부가적 표현으로 외부로 표현하는 데이터표현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과 음성 간 매칭을 통한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37 37
제 24항, 25항, 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변환부(300)는 상기 촬상 센서(150)에 의한 두경부 조음 기관의 변화 정보(151), 두경부 표정 변화 정보(152), 비언어적 표현(153) 중 하나이상의 촬상 정보를 상기 센서부(100)에 의한 조음 기관의 물리 특성에 기반한 음성데이터(310)와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 발화와 표정 간의 일치를 위한 두경부 조음기관의 물리특성 기반의 발화 측정 및 구현 시스템
38 38
제 1항 내지 3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해석부(200) 내지 데이터변환부(300)는 상기 음성 데이터(310)와 맵핑할 텍스트정보(510)를 외부로부터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획득하는 텍스트정보부(600와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과 음성 간 매칭을 통한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39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정보부(600)는 상기 화자(10)가 언어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지시문 정보(620) 내지 비언어적으로 표현하는 대사 정보(630) 중 하나이상의 텍스트 정보(610)를 외부로부터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과 음성 간 매칭을 통한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40 40
제 38항 내지 39항에 있어서,상기 텍스트정보부(600는 도출한 하나이상의 텍스트 정보(510)을 상기 데이터해석부(200)와 연동하여, 상기 센서부의 위치(210)와 근접한 상기 텍스트 정보(510)를 검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과 음성 간 매칭을 통한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41 41
제 38항 내지 39항에 있어서,상기 텍스트정보부(600는 도출한 하나이상의 텍스트 정보(510)을 상기 데이터해석부(200)와 연동하여, 상기 화자의 발화 특징(220)과 유사한 상기 텍스트 정보(510)를 검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과 음성 간 매칭을 통한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42 42
제 38항 내지 39항에 있어서,상기 텍스트정보부(600는 도출한 하나이상의 텍스트 정보(510)를 상기 데이터해석부(400)와 연동하여, 상기 화자의 음성(230)과 유사한 상기 텍스트 정보(510)를 검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과 음성 간 매칭을 통한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43 43
제 38항, 39항, 40항, 41항, 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변환부(300)는 상기 데이터해석부(200)와 텍스트정보부(600가 연동되어 검출한 상기 텍스트 정보(510)를 음성 데이터(310)와 맵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과 음성 간 매칭을 통한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구현 시스템
44 44
제 1항, 33항, 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변환부(300) 내지 상기 데이터표현부(500) 중 하나이상은 상기 센서부(100)를 통해 발화 특징(210) 내지 발화 변이(250)와 함께 실제 화자(10)의 성별, 나이, 인종에 따른 자모음 발화, 강세 중 하나이상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과 음성 간 매칭을 통한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45 45
제 1항, 33항, 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데이터변환부(300) 내지 상기 데이터표현부(500) 중 하나이상은 상기 텍스트정보부(600)에 의해 도출된 텍스트 정보(610)에서 파악되는 텍스트 상의 화자(10)의 성별, 나이, 인종에 따른 자모음 발화, 강세 중 하나이상을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경부의 물리 특성과 음성 간 매칭을 통한 발화 의도 측정 및 발화 구현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패밀리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1020180115599 KR 대한민국 FAMILY
2 KR1020180115600 KR 대한민국 FAMILY
3 KR1020180115601 KR 대한민국 FAMILY
4 KR1020180115602 KR 대한민국 FAMILY
5 KR1020180115604 KR 대한민국 FAMILY
6 KR1020180115605 KR 대한민국 FAMILY
7 KR1020190037156 KR 대한민국 FAMILY
8 KR1020190037183 KR 대한민국 FAMILY
9 KR1020200132796 KR 대한민국 FAMILY
10 KR102152775 KR 대한민국 FAMILY
11 KR102174188 KR 대한민국 FAMILY
12 KR102180331 KR 대한민국 FAMILY
13 KR102180551 KR 대한민국 FAMILY
14 US20200126557 US 미국 FAMILY
15 WO2018190668 W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 FAMILY

DOCDB 패밀리 정보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패밀리정보 - DOCDB 패밀리 정보 표입니다.
순번 패밀리번호 국가코드 국가명 종류
1 KR20180115599 KR 대한민국 DOCDBFAMILY
2 KR20180115600 KR 대한민국 DOCDBFAMILY
3 KR20180115601 KR 대한민국 DOCDBFAMILY
4 KR20180115602 KR 대한민국 DOCDBFAMILY
5 KR20180115604 KR 대한민국 DOCDBFAMILY
6 KR20180115605 KR 대한민국 DOCDBFAMILY
7 KR20180115639 KR 대한민국 DOCDBFAMILY
8 KR20190037156 KR 대한민국 DOCDBFAMILY
9 KR20190037157 KR 대한민국 DOCDBFAMILY
10 KR20190037175 KR 대한민국 DOCDBFAMILY
11 KR20190037183 KR 대한민국 DOCDBFAMILY
12 KR20190038392 KR 대한민국 DOCDBFAMILY
13 US2020126557 US 미국 DOCDBFAMILY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