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장거리 및 저전력 전송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

  • 기술번호 : KST2018014994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장거리 및 저전력 전송을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통신 노드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게이트웨의 동작 방법은,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의 엔드-디바이스들 중에서 엔드-디바이스#1의 데이터 메시지#1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데이터 메시지#1의 중계를 위해 사용되는 중계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엔드-디바이스들 중에서 엔드-디바이스#2의 데이터 메시지#2가 수신된 경우, 상기 중계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ACK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메시지#2의 응답으로 상기 ACK 메시지를 상기 엔드-디바이스#2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Int. CL H04W 28/04 (2009.01.01) H04W 24/04 (2009.01.01) H04W 88/16 (2009.01.01)
CPC H04W 28/04(2013.01) H04W 28/04(2013.01) H04W 28/0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70056872 (2017.05.04)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8-0122816 (2018.11.14)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모상현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2 한규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3 정재영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4 박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5 김현석 대한민국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6 최원규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이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양재동, 우도빌딩 *층)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05.04 수리 (Accepted) 1-1-2017-0432972-09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통신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gateway)의 동작 방법으로서,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복수의 엔드-디바이스들(end-devices) 중에서 엔드-디바이스#1의 데이터 메시지#1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데이터 메시지#1의 중계를 위해 사용되는 중계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단계;상기 복수의 엔드-디바이스들 중에서 엔드-디바이스#2의 데이터 메시지#2가 수신된 경우, 상기 중계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ACK(acknowledgement)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데이터 메시지#2의 응답으로 상기 ACK 메시지를 상기 엔드-디바이스#2에 전송하는 단계; 및상기 엔드-디바이스#2로부터 상기 데이터 메시지#1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메시지#3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2 2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중계 파라미터들은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엔드-디바이스#1 간에 통신 장애가 발생된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 상기 엔드-디바이스#1의 주소, 상기 엔드-디바이스#1의 네트워크 세션 키(network session key; NwkSKey) 및 상기 엔드-디바이스#1의 애플리케이션 세션 키(application session key; AppSKey)를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3 3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중계 파라미터들은 상기 데이터 메시지#1의 수신 실패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에 설정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4 4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중계 파라미터들은 상기 복수의 엔드-디바이스들 중에서 상기 엔드-디바이스#1을 제외한 나머지 엔드-디바이스들에 전송되고, 상기 데이터 메시지#1에 포함된 데이터는 상기 나머지 엔드-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엔드-디바이스#2는 상기 나머지 엔드-디바이스들에 속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5 5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엔드-디바이스#2는 상기 복수의 엔드-디바이스들 중에서 상기 엔드-디바이스#1에 가장 인접한 엔드-디바이스인,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6 6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은,상기 중계 파라미터들의 설정 전에, 상기 복수의 엔드-디바이스들 각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조인-리퀘스트(join-request)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엔드-디바이스들 각각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7 7
통신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gateway)에 연결된 복수의 엔드-디바이스들(end-devices) 중에서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방법으로서,상기 엔드-디바이스#1의 데이터 메시지#1을 미리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단계;상기 데이터 메시지#1이 상기 게이트웨이에서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모드를 노멀(normal) 모드에서 긴급 전송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상기 긴급 전송 모드를 위해 미리 설정된 전송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메시지#1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 메시지#1은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전송되고, 상기 긴급 전송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 메시지#1은 상기 미리 설정된 주기에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방법
8 8
청구항 7에 있어서,상기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방법은,상기 데이터 메시지#1의 응답으로 ACK(acknowledgement)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상기 ACK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엔드-디바이스#1의 상기 동작 모드를 상기 긴급 전송 모드에서 상기 노멀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방법
9 9
청구항 8에 있어서,상기 ACK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엔드-디바이스들 중에서 상기 엔드-디바이스#1에 가장 인접한 엔드-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방법
10 10
청구항 8에 있어서,상기 ACK 메시지는 상기 복수의 엔드-디바이스들 중에서 상기 엔드-디바이스#1을 제외한 나머지 엔드-디바이스들로부터 수신되는,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방법
11 11
청구항 7에 있어서,상기 엔드-디바이스#1의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데이터 메시지#1의 전송 실패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 이상인 경우에 상기 노멀 모드에서 상기 긴급 전송 모드로 변경되는,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방법
12 12
청구항 7에 있어서,상기 미리 설정된 전송 방식에서 SF(spreading factor)는 12이고, 주파수 대역폭은 125KHz이고, PHY 비트 레이트(bit rate)는 250bit/s인,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방법
13 13
청구항 7에 있어서,상기 긴급 전송 모드에서 상기 데이터 메시지#1은 미리 설정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및 주파수 자원은 상기 게이트웨이에 의해 설정되는,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방법
14 14
통신 네트워크에서 게이트웨이(gateway)에 연결된 복수의 엔드-디바이스들(end-devices) 중에서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방법으로서,상기 엔드-디바이스#1의 데이터 메시지#1을 미리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단계;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데이터 메시지#1의 응답으로 ACK(acknowledgement) 메시지#1을 수신하는 단계;상기 ACK 메시지#1이 상기 복수의 엔드-디바이스들 중에서 엔드-디바이스#2의 데이터 메시지#2의 중계를 위해 사용되는 중계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모드를 노멀(normal) 모드에서 긴급 수신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및상기 긴급 수신 모드를 위해 미리 설정된 수신 방식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메시지#2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방법
15 15
청구항 14에 있어서,상기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방법은,상기 데이터 메시지#2의 탐색 결과 상기 데이터 메시지#2가 수신된 경우, 상기 데이터 메시지#2의 응답으로 ACK 메시지#2를 상기 엔드-디바이스#2에 전송하는 단계;상기 데이터 메시지#2에 포함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메시지#3을 생성하는 단계; 및상기 미리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상기 데이터 메시지#3을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방법
16 16
청구항 15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메시지#2의 탐색 결과 상기 데이터 메시지#2가 수신된 경우, 상기 엔드-디바이스#1의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긴급 수신 모드에서 상기 노멀 모드로 변경되는,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방법
17 17
청구항 14에 있어서,상기 중계 파라미터들은 상기 게이트웨이와 상기 엔드-디바이스#2 간에 통신 장애가 발생된 것을 지시하는 지시자, 상기 엔드-디바이스#2의 주소, 상기 엔드-디바이스#2의 네트워크 세션 키(network session key; NwkSKey) 및 상기 엔드-디바이스#2의 애플리케이션 세션 키(application session key; AppSKey)를 포함하는,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방법
18 18
청구항 14에 있어서,상기 미리 설정된 수신 방식에서 SF(spreading factor)는 12이고, 주파수 대역폭은 125KHz이고, PHY 비트 레이트(bit rate)는 250bit/s인,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방법
19 19
청구항 14에 있어서,상기 데이터 메시지#2는 상기 긴급 수신 모드를 위해 미리 설정된 수신 윈도우(receive window) 동안 탐색되며, 상기 미리 설정된 수신 윈도우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의해 설정되는,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방법
20 20
청구항 14에 있어서,상기 엔드-디바이스#1은 상기 복수의 엔드-디바이스들 중에서 상기 엔드-디바이스#2에 가장 인접한 엔드-디바이스인, 엔드-디바이스#1의 동작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부출연금사업(기관고유사업) 안전 사각지대 교량관리를 위한 Ambient EH 무선 센서태깅 기반 안전관리 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