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핵자기공명분광법을 이용한 약물 전달체의 물리화학적 성질 분석 방법

  • 기술번호 : KST2018016657
  • 담당센터 : 인천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2-420-358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핵자기공명분광법을 이용한 약물 전달체의 물리화학적 성질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첨가제의 함량 또는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amphiphilic block copolymer)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drug carrier)에 대해 핵자기공명분광법을 이용하여 1D 1H NMR 스펙트럼, T2 이완시간 값, 2D 1H NOESY 스펙트럼을 수득하고, 이를 토대로 첨가제의 함량 또는 종류에 따른 약물 전달체의 유연성 및 안정성과 같은 물리화학적 성질을 분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핵자기공명분광법을 이용한 1D 1H NMR 스펙트럼, T2 이완시간 값, 2D 1H NOESY 스펙트럼 측정을 통해 유연성 및 안정성과 같은 약물 전달체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용이하게 분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약물 전달체 제조시 사용되는 첨가제의 종류 및 함량과 같은 다양한 조건 변경에 따른 최적의 안정성을 갖는 약물 전달체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최적의 안정성을 갖는 약물 전달체를 개발하여 의약품, 화장품의 성능 향상과 관련된 연구에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Int. CL G01N 24/08 (2006.01.01) G01N 33/15 (2006.01.01) A61K 9/107 (2006.01.01) A61K 9/51 (2006.01.01) A61K 47/24 (2017.01.01) A61K 47/30 (2017.01.01)
CPC G01N 24/084(2013.01) G01N 24/084(2013.01) G01N 24/084(2013.01) G01N 24/084(2013.01) G01N 24/084(2013.01) G01N 24/084(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70077961 (2017.06.20)
출원인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8-0137979 (2018.12.28)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7.06.20)
심사청구항수 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이영복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노원구
2 공경현 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3 최익장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서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특허법인다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 *길 **, 신관 *층~*층, **층(역삼동, 광성빌딩)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06.20 수리 (Accepted) 1-1-2017-0591095-12
2 공지예외적용주장 증명서류 제출기한 안내문
2017.06.26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7-0086731-23
3 [공지예외적용대상(신규성, 출원시의 특례)증명서류]서류제출서
[Document Verifying Exclusion from Being Publically Known (Novelty, Special Provisions for Application)] Submission of Document
2017.06.27 수리 (Accepted) 1-1-2017-0613445-05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8.10.1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8-0706401-36
5 거절결정서
Decision to Refuse a Patent
2019.01.2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050423-1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amphiphilic block copolymer) 및 첨가제를 포함하는 후보 약물 전달체(drug carrier)에 대해 첨가제의 함량 또는 종류에 따른 1-차원(1D)의 1H NMR 스펙트럼을 수득하고;b) 첨가제의 함량 또는 종류에 따른 1-차원의 1H NMR 스펙트럼의 피크가 차이가 나는 영역의 T2 이완시간(relaxation time) 값을 핵자기공명분광기(NMR)를 통해 측정하고;c) 상기 T2 이완시간 값으로부터 유연성 및 안정성을 평가하여 약물 전달체에 포함시킬 첨가제의 함량 및 종류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약물 전달체의 물리화학적 성질(physicochemical property)을 평가하는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d) 상기 약물 전달체에 대해 핵자기공명분광기(NMR)를 사용하여 2-차원(2D)의 1H NOESY(nuclear overhauser effect spectroscopy) 스펙트럼을 수득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평가하는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전달체의 동적광산란(DLS) 분석을 통한 유체역학적 반경(hydrodynamic radius) 및 다분산 지수(PDI)를 측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평가하는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전달체에 생리활성물질을 추가하고, 그에 따른 약물 전달체의 물리화학적 성질의 변화를 조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평가하는 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물 전달체는 마이셀(micelle), 에멀젼(emulsion) 및 나노캡슐(nanocapsule)인 것인, 약물 전달체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평가하는 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b-폴리(ε-카프로락톤)(PEO-b-PCL), 폴리(에틸렌글리콜)-b-폴리(ε-카프로락톤)(PEG-b-PCL), 폴리(에틸렌옥사이드)-b-폴리(부틸렌옥사이드)(PEO-b-PBO),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ε-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리콜)(PEG-PCL-PEG)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부틸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PBO-PEO)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인, 약물 전달체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평가하는 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레시틴(lecithin) 또는 레시틴류 물질, 스핑고마이엘린(sphingomyelin), 포스파티딘산(phosphatidic acid),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 PC),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 amine, PE) 및 카르디오리핀(cardiolipin)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인, 약물 전달체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평가하는 방법
8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시틴(lecithin) 또는 레시틴류 물질은 1,2-디스테아로일-sn-글리세롤-3-포스포콜린(1,2-distearoyl-sn-glycerol-3-phosphocholine), 1-미리스토일-2-스테아로일-sn-글리세롤-3-포스포콜린(1-myristoyl-2-stearoyl-sn-glycerol-3-phosphocholine), 1-스테아로일-2-하이드록실-sn-글리세롤-3-포스포콜린(1-stearoyl-2-hydroxyl-sn-glycerol-3-phosphocholine) 및 1,2-디올레일-sn-글리세롤-3-포스포콜린(1,2-dioleoyl-sn-glycerol-3-phosphocholin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인 것인, 약물 전달체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평가하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