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기술번호 : KST2019000710
  • 담당센터 : 대구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3-550-145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활 시스템으로서, 일상생활에 필요한 동작이 하나 이상의 단계로 구성된 게임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게임영상을 시청함으로써 사용자의 뇌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획득하고, 획득된 뇌파 중에서 특정주파수를 갖는 SSVEP(Steady-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 상기 검출 장치에서 검출된 SSVEP(Steady-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가,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으로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판단 장치, 및 상기 판단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음 단계의 게임영상이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도록 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진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일상생활에 필요한 동작을 각각의 단계로 포함하는 게임영상을 제공하고, 각 단계별 게임영상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으로 시청이 되어야, 다음 단계의 게임영상으로 게임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게임영상의 객체의 움직임 순서에 따라 사용자의 거울신경세포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에게 일상생활에 필요한 동작의 재활 훈련을 제공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재활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 (1) 표시 장치가, 일상생활에 필요한 동작이 하나 이상의 단계로 구성된 게임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2) 검출 장치가, 상기 단계 (1)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게임영상을 시청함으로써 사용자의 뇌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획득하고, 획득된 뇌파 중에서 특정주파수를 갖는 SSVEP(Steady-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를 검출하는 단계, (3) 판단 장치가, 상기 단계 (2)의 검출 장치에서 검출된 SSVEP(Steady-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가,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으로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4) 게임 진행 장치가, 상기 단계 (3)의 판단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음 단계의 게임영상이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도록 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일상생활에 필요한 동작을 각각의 단계로 포함하는 게임영상을 제공하고, 각 단계별 게임영상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으로 시청이 되어야, 다음 단계의 게임영상으로 게임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게임영상의 객체의 움직임 순서에 따라 사용자의 거울신경세포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에게 일상생활에 필요한 동작의 재활 훈련을 제공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SSVEP(Steady-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를 이용한 시스템에서 단순히 깜빡이는 빛을 이용하였던 것과는 달리, 일상생활에 필요한 동작이 하나 이상의 단계로 구성된 게임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게임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의 뇌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획득하고, 획득된 뇌파 중에서 특정주파수를 갖는 SSVEP(Steady-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검출 장치에서 SSVEP(Steady-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가 검출되는 경우 다음 단계의 게임영상으로 게임이 진행되도록 하였으며, 특히, 일상생활에 필요한 동작을 각각의 단계로 포함하는 게임영상을 제공하고, 이러한 게임영상의 객체의 움직임 순서에 따라 사용자의 거울신경세포가 활성화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일상생활에 적용하는데 도움이 되는 동작의 재활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출 장치에서 검출된 SSVEP(Steady-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가,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으로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판단 장치, 및 판단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음 단계의 게임영상이 표시 장치에 표시되도록 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진행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일정 시간 동안 일상생활 동작의 일부분의 동영상을 반복 시청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동작을 익히도록 할 수 있고, 판단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시청 정도를 파악하여, 시청의 정도가 일정량을 넘어가게 되는 경우를 판단하여 게임을 진행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시청의 정도를 즉각적으로 반영하여 사용자의 게임 참여의지를 높이고, 집중력을 높임과 동시에, 사용자의 능동적인 재활 훈련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시청의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게임영상의 각 단계의 움직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각 단계의 움직임의 동작 구성, 움직임의 범위, 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재활 훈련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재활 훈련의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t. CL A61B 5/0482 (2006.01.01) A61B 5/048 (2006.01.01) A61B 5/0478 (2006.01.01) A61B 5/00 (2006.01.01)
CPC A61B 5/0482(2013.01) A61B 5/0482(2013.01) A61B 5/0482(2013.01) A61B 5/0482(2013.01) A61B 5/0482(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70101090 (2017.08.09)
출원인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1970804-0000 (2019.04.15)
공개번호/일자 10-2019-0016751 (2019.02.1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90419)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7.08.09)
심사청구항수 20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달서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구정훈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수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건우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로 ***, 에이동 ***호 특허그룹덕원 (가산동, 우림 라이온스밸리)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구광역시 달서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08.09 수리 (Accepted) 1-1-2017-0768246-16
2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03.21 수리 (Accepted) 4-1-2018-5049338-19
3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9.02.20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123744-52
4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9.03.21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9-0290378-70
5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9.04.0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252419-10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재활 시스템으로서,일상생활에 필요한 동작이 하나 이상의 단계로 구성된 게임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게임영상을 시청함으로써 사용자의 뇌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획득하고, 획득된 뇌파 중에서 특정주파수를 갖는 SSVEP(Steady-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상기 검출 장치에서 검출된 SSVEP(Steady-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가,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으로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판단 장치; 및상기 판단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음 단계의 게임영상이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도록 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게임 진행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일상생활에 필요한 동작을 각각의 단계로 포함하는 게임영상을 제공하고, 각 단계별 게임영상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으로 시청이 되어야, 다음 단계의 게임영상으로 게임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게임영상의 객체의 움직임 순서에 따라 사용자의 거울신경세포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에게 일상생활에 필요한 동작의 재활 훈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사용자의 뇌파를 획득하는 뇌파 획득부;상기 뇌파 획득부에서 획득된 뇌파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주파수 분석부;상기 주파수 분석부에서 분석된 주파수와,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게임영상의 객체의 움직임이 갖는 주파수를 비교하는 주파수 비교부; 및상기 주파수 비교부에서 비교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게임영상의 객체의 움직임이 갖는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SSVEP(Steady-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
3 3
제2항에 있어서,게임영상의 객체의 움직임이 갖는 주파수는, 게임영상의 각 단계마다 동일한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
4 4
제2항에 있어서,게임영상의 객체의 움직임이 갖는 주파수는, 게임영상의 각 단계마다 상이한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
5 5
제1항에 있어서,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게임영상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객체의 동작이 하나 이상의 단계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의 단계는 순서대로 연결되는 움직임이고, 각각의 단계에서는 객체의 얼굴, 목, 팔, 다리, 허리, 손가락, 발가락 중 하나 이상이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장치는,특정주파수를 갖는 SSVEP(Steady-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가 검출되기 시작한 시점에서부터 검출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연속적으로 측정된 시간과,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
7 7
제1항에 있어서,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은, 게임영상의 각 단계의 움직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상기 게임영상의 진행을 위한 안내콘텐츠를 더 포함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
9 9
제1항에 있어서,상기 게임영상의 진행을 위한 음성콘텐츠를 출력하는 음성출력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TV,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TV, 및 태블릿 PC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
11 11
재활 시스템의 제어방법으로서,(1) 표시 장치가, 일상생활에 필요한 동작이 하나 이상의 단계로 구성된 게임영상을 표시하는 단계;(2) 검출 장치가, 상기 단계 (1)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게임영상을 시청함으로써 사용자의 뇌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획득하고, 획득된 뇌파 중에서 특정주파수를 갖는 SSVEP(Steady-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를 검출하는 단계;(3) 판단 장치가, 상기 단계 (2)의 검출 장치에서 검출된 SSVEP(Steady-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가,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으로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4) 게임 진행 장치가, 상기 단계 (3)의 판단 장치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다음 단계의 게임영상이 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도록 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일상생활에 필요한 동작을 각각의 단계로 포함하는 게임영상을 제공하고, 각 단계별 게임영상이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으로 시청이 되어야, 다음 단계의 게임영상으로 게임이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게임영상의 객체의 움직임 순서에 따라 사용자의 거울신경세포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에게 일상생활에 필요한 동작의 재활 훈련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의 제어방법
12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사용자의 뇌파를 획득하는 뇌파 획득부;상기 뇌파 획득부에서 획득된 뇌파의 주파수를 분석하는 주파수 분석부;상기 주파수 분석부에서 분석된 주파수와,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게임영상의 객체의 움직임이 갖는 주파수를 비교하는 주파수 비교부; 및상기 주파수 비교부에서 비교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게임영상의 객체의 움직임이 갖는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SSVEP(Steady-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를 추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의 제어방법
13 13
제12항에 있어서,게임영상의 객체의 움직임이 갖는 주파수는, 게임영상의 각 단계마다 동일한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14
제12항에 있어서,게임영상의 객체의 움직임이 갖는 주파수는, 게임영상의 각 단계마다 상이한 주파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15
제11항에 있어서,상기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게임영상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객체의 동작이 하나 이상의 단계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각의 단계는 순서대로 연결되는 움직임이고, 각각의 단계에서는 객체의 얼굴, 목, 팔, 다리, 허리, 손가락, 발가락 중 하나 이상이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의 제어방법
16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장치는,특정주파수를 갖는 SSVEP(Steady-State Visually Evoked Potentials)가 검출되기 시작한 시점에서부터 검출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연속적으로 측정된 시간과,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을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의 제어방법
17 17
제11항에 있어서,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은, 게임영상의 각 단계의 움직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의 제어방법
18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상기 게임영상의 진행을 위한 안내콘텐츠를 더 포함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의 제어방법
19 19
제11항에 있어서,상기 게임영상의 진행을 위한 음성콘텐츠를 출력하는 음성출력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의 제어방법
20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TV,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 TV, 및 태블릿 PC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상생활 동작훈련 순서가 적용된 거울신경세포 활성화 게임 방식의 재활 시스템의 제어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부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뇌졸증환자의 효과적인 거울신경시스템 활성의 극대화를 위한 BCI기술과 게임기술을 결합한 가상현실 재활 시스템 개발 및 임상적 유용성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