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방법 및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 시스템

  • 기술번호 : KST2019002034
  • 담당센터 : 대구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53-550-145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 기술을 통한 향의 갱년기 증상 완화 효능 검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Int. CL A61B 5/00 (2006.01.01) A61B 5/0476 (2006.01.01) A61B 5/01 (2006.01.01) A61B 5/024 (2006.01.01) A61B 5/053 (2006.01.01) G01N 33/50 (2017.01.01) A61K 38/095 (2019.01.01)
CPC A61B 5/4848(2013.01) A61B 5/4848(2013.01) A61B 5/4848(2013.01) A61B 5/4848(2013.01) A61B 5/4848(2013.01) A61B 5/4848(2013.01) A61B 5/4848(2013.01) A61B 5/4848(2013.01) A61B 5/4848(2013.01) A61B 5/4848(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70109705 (2017.08.29)
출원인 (주)아모레퍼시픽,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9-0025134 (2019.03.1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20.06.09)
심사청구항수 16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주)아모레퍼시픽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대한민국 대구 달성군 현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권구상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2 이란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3 조시영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4 문제일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수성구
5 고승호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6 임소연 대한민국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7 배지섭 대한민국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8 문선애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부평구
9 김광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노원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성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 (역삼동, 홍은빌딩)(워너비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08.29 수리 (Accepted) 1-1-2017-0838349-85
2 청구범위 제출유예 안내서
Notification for Deferment of Submission of Claims
2017.09.1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7-0126636-11
3 [대리인사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Resignation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7.12.05 불수리 (Non-acceptance) 1-1-2017-1211680-23
4 서류반려이유통지서
Notice of Reason for Return of Document
2017.12.1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7-0178803-03
5 [반려요청]서류반려요청(반환신청)서
[Request for Return] Request for Return of Document
2017.12.13 수리 (Accepted) 1-1-2017-1239513-62
6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12.19 수리 (Accepted) 4-1-2017-5208262-33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7.12.20 수리 (Accepted) 4-1-2017-5209451-34
8 서류반려통지서
Notice for Return of Document
2017.12.2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7-0184392-14
9 [대리인사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Resignation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7.12.22 수리 (Accepted) 1-1-2017-1279509-16
10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8.09.21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8-0947189-34
11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8.12.18 수리 (Accepted) 4-1-2018-5260250-39
12 [대리인사임]대리인(대표자)에 관한 신고서
[Resignation of Agent] Report on Agent (Representative)
2019.01.31 수리 (Accepted) 1-1-2019-0116813-04
13 [심사청구]심사청구서·우선심사신청서
2020.06.09 수리 (Accepted) 1-1-2020-0592909-33
14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6.18 수리 (Accepted) 4-1-2020-5134633-04
15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07.10 수리 (Accepted) 4-1-2020-5154791-67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a) 팔마로사 오일(Palmarosa oil), 카모마일 오일(chamomile oil), 클라리세이지 오일(clary sage oil), 캠퍼 오일(shiu oil 또는 camphor oil), 넛메그 오일(nutmeg oil),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파출리 오일(patchouli oil), 베르가모트 오일(bergamot oil), 로즈 오일(rose oil), 올리바넘 오일(olibanum oil), 바질 오일(Basil oil) 및 일랑일랑 오일(ylang ylang oi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를 인체의 비강을 통하여 흡입시키는 단계; 및 (b) 향취 흡입 시점의 심박 수와 흡입 이후의 최저 심박수 간 차이를 확인하는 심박 수 분석 단계, (c) 향취 흡입 시점의 피부전기활성도(EDA)와 흡입 이후의 최저 피부전기활성도 간 차이를 확인하는 피부 전도도 분석 단계, (d) 향취 흡입 시점의 손 끝 온도와 흡입 이후의 손 끝 최고 온도 간 차이를 확인하는 체온 변화 분석 단계 및 (e) 향취 흡입 후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뇌파의 알파 파와 베타 파의 파워 스펙트럼 비율을 통하여 안정감 지수(RI)를 확인하는 EEG 신호 뇌파 분석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를 포함하는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 수, 피부 전도도 및 체온을 포함하는 생체신호 및 뇌파는 베이스라인을 기점으로 분류하여 정규화 되며, 상기 각 생체신호의 정규화 값은 하기 식 2의 안정화 정도(REModor)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방법은,i) 자존감 관련 뇌 부위 활성화를 확인하는 fNIRS 분석; ii) 향 설문 분석; iii) 대인관계 변화 척도 설문 분석; iv) Rosenberg 자아존중감 척도 분석; v) 대인관계 증진 확인 프로토콜을 이용한 분석; vi) 자아존중감 증진 확인 프로토콜을 이용한 분석; 및 vii)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며 화상 또는 실물의 타인 얼굴 중 눈에 시선을 고정 주시한 시간(FD(%))을 확인하는 아이트래킹 분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갱년기 증상 완화 효능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방법은 갱년기 증상 완화 효능 검증용인,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카모마일 오일(chamomile oil), 클라리세이지 오일(clary sage oil) 및 올리바넘 오일(olibanum oil)은 옥시토신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방법
6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모마일 오일(chamomile oil), 클라리세이지 오일(clary sage oil), 넛메그 오일(nutmeg oil), 바질 오일(Basil oil) 및 파출리 오일(patchouli oil)은 뇌세포에서 옥시토신 분비를 촉진시키는,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방법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마로사 오일(Palmarosa oil) 및 캠퍼 오일(shiu oil 또는 camphor oil)은 옥시토신과 경쟁적으로 수용체에 결합하는,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방법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종 이상의 오일의 함량은 전제 조성물에 대하여 20 내지 50 중량% ,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방법
9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 조성물은 20 내지 50 중량%의 팔마로사 오일, 5 내지 40 중량%의 베르가모트 오일 및 5 내지 30 중량%의 파출리 오일을 포함하는,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방법
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 조성물은 20 내지 40 중량%의 팔마로사 오일, 5 내지 40 중량%의 캠퍼 오일 및 5 내지 30 중량%의 라벤더 오일을 포함하는,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방법
11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 조성물은 20 내지 30 중량%의 팔마로사 오일, 5 내지 40 중량%의 캠퍼 오일 및 5 내지 30 중량%의 파출리 오일을 포함하는,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방법
12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 조성물은 갱년기 증상 완화 효능 검증용인,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방법
13 13
(a) 팔마로사 오일(Palmarosa oil), 카모마일 오일(chamomile oil), 클라리세이지 오일(clary sage oil), 캠퍼 오일(shiu oil 또는 camphor oil), 넛메그 오일(nutmeg oil),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파출리 오일(patchouli oil), 베르가모트 오일(bergamot oil), 로즈 오일(rose oil), 올리바넘 오일(olibanum oil), 바질 오일(Basil oil) 및 일랑일랑 오일(ylang ylang oi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를 인체의 비강을 통하여 흡입시키는 흡입 모듈; 및 (b) 향취 흡입 시점의 심박 수와 흡입 이후의 최저 심박수 간 차이를 확인하는 심박 수 분석 모듈, (c) 향취 흡입 시점의 피부전기활성도(EDA)와 흡입 이후의 최저 피부전기활성도 간 차이를 확인하는 피부 전도도 분석 모듈, (d) 향취 흡입 시점의 손 끝 온도와 흡입 이후의 손 끝 최고 온도 간 차이를 확인하는 체온 변화 분석 모듈 및 (e) 향취 흡입 후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뇌파의 알파 파와 베타 파의 파워 스펙트럼 비율을 통하여 안정감 지수(RI)를 확인하는 EEG 신호 뇌파 분석 모듈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하는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 시스템
14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심박 수, 피부 전도도 및 체온을 포함하는 생체신호 및 뇌파는 베이스라인을 기점으로 분류하여 정규화 되며, 상기 각 생체신호의 정규화 값은 하기 식 2의 안정화 정도(REModor)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 시스템
15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 시스템은,i) 자존감 관련 뇌 부위 활성화를 확인하는 fNIRS 분석; ii) 향 설문 분석; iii) 대인관계 변화 척도 설문 분석; iv) Rosenberg 자아존중감 척도 분석; v) 대인관계 증진 확인 프로토콜을 이용한 분석; vi) 자아존중감 증진 확인 프로토콜을 이용한 분석; 및 vii) 하기 식 3으로 표시되며 화상 또는 실물의 타인 얼굴 중 눈에 시선을 고정 주시한 시간(FD(%))을 확인하는 아이트래킹 분석;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갱년기 증상 완화 효능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 시스템
16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 시스템은 갱년기 증상 완화 효능 검증용인, 멀티모달 생체신호 측정기술을 이용한 에센셜 오일 조성물의 향취 효능 검증 시스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국가 R&D 정보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