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방사선 치료 선량 검증을 위한 섬광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기술번호 : KST2019002478
  • 담당센터 : 서울서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6124-693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방사선 치료 선량 검증을 위한 섬광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크릴 계열 모노머, 1차 염료, 광개시제, 파장변이재 및 활성물을 포함하여 3D 프린팅으로 제조되는 방사선 치료 선량 검증을 위한 섬광체가 제공된다.
Int. CL A61N 5/10 (2006.01.01) G01T 1/161 (2006.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80044132 (2018.04.16)
출원인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2034377-0000 (2019.10.14)
공개번호/일자 10-2019-0030150 (2019.03.21)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91018)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70117298   |   2017.09.13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8.04.16)
심사청구항수 13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용균 세종특별자치시
2 정현태 서울특별시 종로구
3 조천휘 대전광역시 유성구
4 박준식 경기도 군포시 군포로***번길 **, *
5 손재범 경기도 남양주시 도농로 **,
6 이상민 서울특별시 강남구
7 김동건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8 최준범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최관락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길 ** (역삼동) 동림빌딩 *층(아이피즈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송인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길 ** (역삼동) 동림빌딩 *층(아이피즈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동구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04.16 수리 (Accepted) 1-1-2018-0377622-44
2 선행기술조사의뢰서
Request for Prior Art Search
2018.09.06 수리 (Accepted) 9-1-9999-9999999-89
3 선행기술조사보고서
Report of Prior Art Search
2018.11.09 수리 (Accepted) 9-1-2018-0061315-18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9.03.2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209640-07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9.05.20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9-0514449-12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9.05.20 수리 (Accepted) 1-1-2019-0514447-10
7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05 수리 (Accepted) 4-1-2019-5155816-75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19.08.06 수리 (Accepted) 4-1-2019-5156285-09
9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9.09.27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701081-92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아크릴 계열 모노머, 1차 염료, 광개시제, 파장변이재 및 활성물을 포함하여 3D 프린팅 기법으로 제조되며, 상기 광개시제는 Diphenyl(2,4,6-trimethylbenzoyl) phosphine oxide(TPO),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Irgacure 184), 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Irgacure 819), 2,4-Diethyl-9H-thioxanthen-9-one(DETX), 4,4-'Bis(diethylamino)benzophenone(Ethyl Michler's Ketone, EMK) 중 적어도 하나로 선택되고,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모노머 대비 0
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는 Isodecyl acrylate(IDA), Ethoxylated (15 EO)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TMP(EO)15TA), Bisphenol A (EO)3 dimethylacrylate (BPA(EO)3DMA), Bisphenol A (EO)4 dimethylacrylate (BPA(EO)4DMA), Bisphenol A (EO)10 dimethylacrylate (BPA(EO)10DMA), Bisphenol A (EO)30 dimethylacrylate (BPA(EO)30DMA), Bisphenol fluorine (EO)6 diacrylate (BPF(EO)6DA), Bisphenol fluorine (EO)10 diacrylate (BPF(EO)10DA), Bisphenol fluorine (EO)15 diacrylate (BPF(EO)15DA), Bisphenol fluorine (EO)20 diacrylate (BPF(EO)20DA), Bisphenol fluorine (EO)30 diacrylate (BPF(EO)30DA), 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TMPTA), Methyl Methacrylate(MMA), 1,6-Hexanediol diacrylate(HDDA) 중 적어도 하나로 선택되는 방사선 치료 선량 검증을 위한 섬광체
3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머는 Bisphenol A (EO)30 dimethylacrylate인 방사선 치료 선량 검증을 위한 섬광체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염료는 2,5-Diphenyloxazole(PPO), 2-(4-Biphenylyl)-5-phenyl-1,3,4-oxadiazole(PBD) 중 적어도 하나로 선택되는 방사선 치료 선량 검증을 위한 섬광체
5 5
삭제
6 6
삭제
7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는 Diphenyl(2,4,6-trimethylbenzoyl) phosphine oxide인 방사선 치료 선량 검증을 위한 섬광체
8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변이재는 1,4-Bis(5-phenyl-2-oxazolyl)benzene(POPOP), 2,7-Bis[2-(9-ethylcarbazol-4-yl)vinyl]-9,9-dihexyl-9H-fluorene(ADSO86BE), Dimethyl-POPOP, Poly[2-(5-cyano-5-methylhexylowy)-1,4-phenylene](ADS120BE), 3,7-Bis[7-(9,9-di-n-hexylfluorenyl-2,7-diyl)]-9,9-di-n-hexylfluorene-2-yl] dibenzothiophene-S,S-dioxide (ADS156FS), N,N'-Bis(3-methylphenyl)-N,N'-bis(phenyl)benzidine (ADS01HTM), 9,9,9',9',9'',9''-hexakis(hexyl)-2,7';2',7''-trifluorene (ADS036FO) 중 적어도 하나로 선택되는 방사선 치료 선량 검증을 위한 섬광체
9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변이재의 함량은 모노머 대비 0
10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변이재는 2,7-Bis[2-(9-ethylcarbazol-4-yl)vinyl]-9,9-dihexyl-9H-fluorene이며, 함량은 0
11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물은 naphthalene, 1-methylnaphthalene, 2-methylnaphthalene, 1-naphthol, 2-naphtol, 1-naphthylameine, 2-chloronaphthalene, 1-pheylnaphthalene, 2-phenylnaphthalene, 2,3-dimethylnaphthalene, 2,6-diemhtylnaphthalene, acenaphthalene, 1,4-diphenylnaphthalene, 1,5-diphenylnaphthalene, 1,7-diphenylnaphthalene, 1,4,5,8-tetraphenylnaphthalene, fluorene, 9,10-dihydrophenanthrene, phenanthrene, tripheylene, dibenzofuran, cabazole, dibenzothophene 중 하나로 선택되는 방사선 치료 선량 검증을 위한 섬광체
12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방사선 치료 선량 검증을 위한 섬광체
13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는 메틸기인 방사선 치료 선량 검증을 위한 섬광체
14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프린팅 기법은 385 nm 및 405 nm 파장의 자외선을 이용한 DLP 방식이 적용되는 방사선 치료 선량 검증을 위한 섬광체
15 15
(a) 아크릴 계열 모노머, 1차 염료, 광개시제, 파장변이재 및 활성물을 혼합하여 광경화성 액체 레진을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광경화성 액체 레진의 단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단층을 경화시키는 단계; (d) 상기 (b) 단계 내지 (c)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3차원 섬광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되,상기 광개시제는 Diphenyl(2,4,6-trimethylbenzoyl) phosphine oxide(TPO),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Irgacure 184), Phenylbis(2,4,6-trimethylbenzoyl)phosphine oxide(Irgacure 819), 2,4-Diethyl-9H-thioxanthen-9-one(DETX), 4,4-'Bis(diethylamino)benzophenone(Ethyl Michler's Ketone, EMK) 중 적어도 하나로 선택되고,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모노머 대비 0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미래창조과학부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사선기술개발사업 3D 프린팅 플라스틱 섬광체 개발 및 치료선량 측정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