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ELF3 단백질을 이용한 식물의 개화시기 조절방법

  • 기술번호 : KST2019003969
  • 담당센터 : 경기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31-8006-1570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ELF3 단백질이 CO 단백질과의 복합체 형성을 통해 식물의 개화시기를 조절함을 규명한 것에 기초하여, ELF3 단백질과 CO 단백질의 복합체 형성을 조절하여 개화시기를 조절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ELF3 단백질과 CO 단백질 복합체의 형성은 개화시기 조절 핵심인자인 CO 단백질의 활성이 조절 가능하므로, ELF3 단백질과 CO 단백질 복합체 형성을 조절하여 개화시기를 조절함으로써 작물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t. CL C12N 15/82 (2006.01.01) G01N 33/50 (2017.01.01)
CPC C12N 15/827(2013.01) C12N 15/827(2013.01) C12N 15/827(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70136052 (2017.10.19)
출원인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9-0043936 (2019.04.2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2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송영훈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장제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 (역삼동, 윤익빌딩)(*T국제특허법률사무소)
2 이처영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언주로 ***, **층 (역삼동, 윤익빌딩)(*T국제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10.19 수리 (Accepted) 1-1-2017-1033763-94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ELF3 (early flowering 3) 단백질과 CO (CONSTANS) 단백질 복합체의 형성을 증가시켜 식물체의 개화시기를 지연시키는 방법
2 2
제1항에 있어서, 20~23℃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3
제1항에 있어서, 적색광과 원적색광을 3:1 내지 7:1의 비율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의 형성 증가는 ELF3 단백질 안정화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의 ELF3 단백질은 CO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6
ELF3 (early flowering 3) 단백질과 CO (CONSTANS) 단백질의 복합체 형성을 억제시켜 식물체의 개화를 촉진시키는 방법
7 7
제6항에 있어서, 15~18℃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8
제6항에 있어서, 적색광과 원적색광을 1:1의 비율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체의 형성 억제는 ELF3 단백질 분해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10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개화시기 조절인자를 스크리닝하는 방법:(a) 식물체에 개화시기 조절인자 후보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b) 상기 후보물질이 처리된 식물체에서 ELF3 (early flowering 3) 단백질과 CO (CONSTANS) 단백질의 복합체 형성 수준을 확인하는 단계; 및(c) ELF3 단백질과 CO 단백질의 복합체 형성 수준을 대조군 식물체와 비교하는 단계
1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ELF3 단백질과 CO 단백질의 복합체 형성 수준이 대조군 식물체에 비해 높은 경우의 후보물질을 개화시기 지연인자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ELF3 단백질과 CO 단백질의 복합체 형성 수준이 대조군 식물체에 비해 낮은 경우의 후보물질을 개화시기 촉진인자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농촌진흥청 아주대학교 바이오그린21사업 인터랙톰 기법을 이용한 광주기적 개화시기 조절 관련 신호전달 단백질 발굴 및 기능 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