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단말에 대한 무선 자원 상태 제어 방법 및 장치

  • 기술번호 : KST2019004151
  • 담당센터 : 대전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42-610-2279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기지국에서 RRC(Radio Resource Control) 유휴 상태에 있는 단말로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 망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S1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한다. S1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한 페이징 레코드 리스트를 생성한 후, 상기 페이징 레코드 리스트를 포함한 RRC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페이징 레코드 리스트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방송한다.
Int. CL H04W 76/27 (2018.01.01) H04W 68/02 (2009.01.01)
CPC
출원번호/일자 1020180074293 (2018.06.27)
출원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10-2019-0045815 (2019.05.03)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대한민국  |   1020170137308   |   2017.10.23
법적상태 공개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N
심사청구항수 1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김형섭 대한민국 대전광역시 유성구
2 나지현 대한민국 대전 유성구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팬코리아특허법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길 **, 역삼***빌딩 (역삼동)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최종권리자 정보가 없습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8.06.27 수리 (Accepted) 1-1-2018-0633358-23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기지국에서 RRC(Radio Resource Control) 유휴 상태에 있는 단말에 대한 무선 자원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RRC 유휴 상태에 있는 단말로 전송할 하향링크 데이터가 발생한 경우, 망으로부터 상기 단말에 대한 S1 페이징 메시지를 각각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의 식별자를 포함한 페이징 레코드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레코드 리스트를 포함한 RRC 페이징 메시지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페이징 레코드 리스트를 포함한 시스템 정보 메시지를 방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에 대한 무선 자원 상태 제어 방법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통신 방송연구개발사업 셀룰러 기반 산업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위한 5G 성능 한계 극복 저지연, 고신뢰, 초연결 통합 핵심기술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