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기술찾기

이전대상기술

붉은 멍게 튜닉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 기술번호 : KST2019005943
  • 담당센터 : 서울동부기술혁신센터
  • 전화번호 : 02-2155-3662
요약, Int. CL, CPC, 출원번호/일자, 출원인, 등록번호/일자, 공개번호/일자, 공고번호/일자,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심사진행상태, 심판사항, 구분,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기술이전 희망, 심사청구여부/일자, 심사청구항수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서지정보 표입니다.
요약 본 발명은 붉은 멍게 튜닉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붉은 멍게 튜닉에서 추출한 지방산은 TNF-α, IL-6, IL-1β의 생성을 억제하고, COX-2, iNOS의 발현을 억제하며, MAPK, NF-κB의 신호전달 경로 억제 및 PGE2의 생성을 억제하고 NO(nitric oxide, NO) 생성하는 효과가 있어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 조성물로 유용할 수 있다.
Int. CL A61K 35/60 (2015.01.01) A61K 8/98 (2006.01.01) A23L 33/10 (2016.01.01) A61Q 19/00 (2006.01.01)
CPC A61K 35/60(2013.01) A61K 35/60(2013.01) A61K 35/60(2013.01) A61K 35/60(2013.01) A61K 35/60(2013.01) A61K 35/60(2013.01) A61K 35/60(2013.01)
출원번호/일자 1020170154864 (2017.11.20)
출원인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등록번호/일자 10-2023053-0000 (2019.09.11)
공개번호/일자 10-2019-0057658 (2019.05.29) 문서열기
공고번호/일자 (20190919) 문서열기
국제출원번호/일자
국제공개번호/일자
우선권정보
법적상태 등록
심사진행상태 수리
심판사항
구분 신규
원출원번호/일자
관련 출원번호
심사청구여부/일자 Y (2017.11.20)
심사청구항수 8

출원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출원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대한민국 강원도 강릉시

발명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발명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박우정 강원도 강릉시 죽헌길 * 강릉원주대학
2 유상권 강원도 강릉시 죽헌길 * 강릉원주대학교 생

대리인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대리인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위병갑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길 * *층(대영빌딩)(위특허법률사무소)

최종권리자

번호, 이름, 국적, 주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인명정보 - 최종권리자 표입니다.
번호 이름 국적 주소
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강원도 강릉시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일자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행정처리 표입니다.
번호 서류명 접수/발송일자 처리상태 접수/발송번호
1 [특허출원]특허출원서
[Patent Application] Patent Application
2017.11.20 수리 (Accepted) 1-1-2017-1153162-45
2 보정요구서
Request for Amendment
2017.12.01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1-5-2017-0172931-09
3 [출원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Patent Application, etc.] Amendment
2017.12.06 수리 (Accepted) 1-1-2017-1214259-39
4 의견제출통지서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2019.02.12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100778-10
5 [명세서등 보정]보정서
[Amendment to Description, etc.] Amendment
2019.04.02 보정승인간주 (Regarded as an acceptance of amendment) 1-1-2019-0338991-52
6 [거절이유 등 통지에 따른 의견]의견(답변, 소명)서
[Opinion according to the Notification of Reasons for Refusal] Written Opinion(Written Reply, Written Substantiation)
2019.04.02 수리 (Accepted) 1-1-2019-0338990-17
7 등록결정서
Decision to grant
2019.08.08 발송처리완료 (Completion of Transmission) 9-5-2019-0573445-93
8 출원인정보변경(경정)신고서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s information
2020.10.20 수리 (Accepted) 4-1-2020-5235497-71
번호, 청구항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청구항 표입니다.
번호 청구항
1 1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껍질(tunic)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2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껍질(tunic)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3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껍질(tunic)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4 4
붉은 멍게 (Halocynthia aurantium) 껍질(tunic)에서 추출한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5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지방산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 괴사 인자-알파(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인터류킨 6(IL-6; interleukin 6) 또는 인터류킨 1 베타(IL-1β; interleukin 1 beta)의 생성을 억제하고, 염증발현 단백질인 시클로옥시게나아제-2(COX-2) 또는 유도성 산화질소 생성효소(iNOS)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지방산은 미토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MAPK;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신호전달 경로 억제, 핵 인자 카파 B(NF-κB; Nuclear Factor kappa B)의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 또는 프로스타글란딘 E2(PGE2; Prostaglandin E2)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지방산은 포화 지방산, 단일 불포화 지방산 및 다중 불포화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8
제 7항에 있어서,상기 포화 지방산은 팔미트산(palmitic acid; C16:0) 및 스테아르산(stearic acid; C18:0)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단일 불포화 지방산은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 C16:1n7), 올레익산(Oleic acid; C18:1n9), 바세닉산(vaccenic acid; C18:1n7) 및 에루스산(erucic acid; C22:1)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상기 다중 불포화 지방산은 리놀레산(Linoleic acid; C18:2n6), 감마리놀렌산(gamma linolenic acid; C18:3n6), 에이코사트리엔산(eicosatrienoic acid; C20:3n3), 에이코사펜타에노익산(eicosapentaenoic acid; C20:5n3), 도코사디에노인산(Docosadienoic Acid; C22:2), 도코사테트라엔산(Docosatetraenoic Acid; C22:4n6) 및 도코사헥사엔산(docosahexaenoic acid; C22:6n3)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9
삭제
10 10
삭제
11 11
삭제
12 12
삭제
지정국 정보가 없습니다
패밀리정보가 없습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전대상기술 뷰 페이지 상세정보 > 국가R&D 연구정보 정보 표입니다.
순번 연구부처 주관기관 연구사업 연구과제
1 해양수산부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해양수산생명공학기술개발 해양바이오 지역특화 선도기술 개발(동해안 해양생물자원 유래의 기능성 생물소재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