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구강 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 모듈(100);상기 촬영 모듈(100)에서 촬영된 상기 구강 내 영상에 포함된 정보를 직접 분석하는 영상 분석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촬영된 구강 내 영상의 정보를 기설정된 기준으로 소견을 판단하고, 판단된 소견에 따라 가중치를 정하는 소견 판단 모듈(200); 및상기 소견 판단 모듈(200)에서 정해진 가중치를 연산하고, 연산된 결과에 따라 수면무호흡의 정도를 단계별로 나타내는 진단을 행하는 진단 모듈(300);을 포함하는,구강 내 영상 기반 폐쇄성 수면무호흡 진단장치
|
2 |
2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소견 판단 모듈(200)은, 촬영된 상기 구강 내 영상의 지정된 각 부위의 영상을 기설정된 기준으로 소견을 판단하고, 판단된 소견에 따라 가중치를 정하며,지정된 상기 각 부위는, 연구개(soft palate), 목젖(uvula), 후인두벽(posterior pharyngeal wall), 혀(tongue), 후편도지주(posterior pillars)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구강 내 영상 기반 폐쇄성 수면무호흡 진단장치
|
3 |
3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촬영된 상기 영상의 상기 연구개 점막의 모세관 선명도에 따른 것인,구강 내 영상 기반 폐쇄성 수면무호흡 진단장치
|
4 |
4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촬영된 상기 영상의 상기 목젖의 전체 면적과 모세관이 식별되지 않는 면적의 비율에 따른 것인,구강 내 영상 기반 폐쇄성 수면무호흡 진단장치
|
5 |
5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촬영된 상기 영상의 상기 목젖 점막의 주름 갯수에 따른 것인,구강 내 영상 기반 폐쇄성 수면무호흡 진단장치
|
6 |
6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촬영된 상기 영상의 상기 목젖의 길이와 폭의 비율에 따른 것인,구강 내 영상 기반 폐쇄성 수면무호흡 진단장치
|
7 |
7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촬영된 상기 영상의 상기 후인두벽의 면적에 따른 것인,구강 내 영상 기반 폐쇄성 수면무호흡 진단장치
|
8 |
8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촬영된 상기 영상의 상기 혀와 상기 목젖의 접촉여부에 따른 것인,구강 내 영상 기반 폐쇄성 수면무호흡 진단장치
|
9 |
9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촬영된 상기 영상의 상기 후편도지주의 좌측 및 우측 면적의 비율에 따른 것인,구강 내 영상 기반 폐쇄성 수면무호흡 진단장치
|
10 |
10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촬영된 상기 영상의 상기 목젖의 기저부 및 기저부와 첨부 사이의 소정 지점의 폭의 비율에 따른 것인,구강 내 영상 기반 폐쇄성 수면무호흡 진단장치
|
11 |
11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촬영된 상기 영상의 상기 목젖 표면에 접하는 접선의 변곡점 갯수에 따른 것인,구강 내 영상 기반 폐쇄성 수면무호흡 진단장치
|
12 |
12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촬영된 상기 영상의 상기 목젖과 상기 연구개의 색깔 차이에 따른 것인,구강 내 영상 기반 폐쇄성 수면무호흡 진단장치
|
13 |
13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기설정된 기준은, 촬영된 상기 영상의 상기 후편도지주 내측에 위치하는 수직 주름의 갯수에 따른 것인,구강 내 영상 기반 폐쇄성 수면무호흡 진단장치
|
14 |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진단 모듈(300)은 상기 연산 결과에 따라, 수면무호흡을 중증도별로 진단하는,구강 내 영상 기반 폐쇄성 수면무호흡 진단장치
|
15 |
15
(a) 구강 내 영상이 촬영되는 단계;(b) 촬영된 상기 구강 내 영상이, 상기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정보를 직접 분석하는 제 1 항에 따른 진단장치의 영상 분석 장치에서 기설정된 기준에 의해 분석되어, 가중치가 정해지는 단계; 및(c) 정해진 가중치가 연산되고, 연산 결과에 따라 수면무호흡의 정도가 단계별로 판단되는 단계:를 포함하는,구강 내 영상 기반 폐쇄성 수면무호흡의 정보제공방법
|
16 |
16
제 15 항에 기재된 정보제공방법을 실행시키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